2021 패션산업에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의 현황과 장래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3107200
발간일
2021/07/30
체재
A4 / 195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95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패션산업은 수급예측의 난이도가 높아 대량생산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으나 재고가 부실해지기 쉬워 이익률 감소, 세일의 상시화, 자원낭비, 노동조건 악화를 초래하고 있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에 의해 산업모델을 최적화해야 한다. 그러나 섬유산업은 복잡한 공급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X가 국소적으로 되는 경향이 현저해, 산업모델을 최적화하는 데에는 과제가 있다.

본 조사에서는 패션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기획·제조」 「판매·판매촉진」 「관리·RFID 태그」 「치수·바디스캔」으로 카테고리 나누고, 어느 업무 프로세스에서 DX가 패션 산업을 활성화 시킬지 그 포텐셜을 분석한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패션산업은 대량생산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어 대량의 불량 재고를 안고 있다. 이것이 이익율 감소, 세일의 상시화, 자원낭비, 노동조건 악화를 초래하고 있어 DX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패션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DX를 업무 플로우별로 리포트해, 우선되어야 할 업무 플로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사대상: 패션의 DX 관련 주요 기업(업무 프로세스별)

(1) 제조·기획 (2) 판매·판매촉진 (3) 관리 (4) 치수 측정

•조사방법: 웹을 이용한 취재, 인터넷 설문, 우편, 문헌조사

•조사기간: 2021년 5월~2021년 7월

•정의: 본 조사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소셜 기술 등을 사용해 업무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국소적 DX」로 하고, 「공급망의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 그리고 소비자까지 디지털 베이스로 연결하는 것」을 「전체적 DX」로 하였다.

◆자료 포인트

• ‘패션산업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전략’에서 제목 변경

목차
Close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일본 패션산업의 현황과 외부환경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에 대하여

2. 일본 패션산업 현황

3. 패션산업의 현황과 방향성

4. 섬유·의류산업의 공급망 특징

5. 해외 글로벌 EC 및 소비자 대상 디지털 플랫폼 동향

6. 범용성 높은 디지털 솔루션과 해외의 기기 등 사례

제2장 패션산업 DX의 시장 잠재력 고찰

1. 중장기적으로 DX의 잠재력이 높은 업무 플로우

2. 주요 기업의 사업전략(카테고리별)

제3장 코로나 시대에서 패션테크의 위상

코로나19에 대한 주요 기업의 대응·견해(카테고리별)

제4장 패션산업의 DX·기업 개표

1. 기획 제조

2. 판매·판매촉진

3. 관리

4. 치수

<기업개표 내용> ※일부 기업은 항목이 다릅니다

  1. 회사개요

  2. 실적추이

  3. 제품·서비스에 대하여

  4. 차별화 전략

  5. 자사의 과제·목표에 대하여

  6. 패션산업의 문제·과제에 대하여

  7. 디지털 DX 전환의 방향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5장 패션기업 DX 현황(설문조사)

설문조사 결과

<설문 내용>

  1. 패션업계에서 DX가 진행되고 있는 업무 프로세스

  2. DX가 패션업계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3. 자사의 DX에 대한 대응 상황에 관하여

  4. DX 추진과제에 대하여

  5. 자사의 DX에 대한 대응은 몇 년 후에 완료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