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인터넷 통신판매 시장 백서(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코로나19에 따른 긴급사태 선언 등으로 외출을 자제해야 했던 2020년 일본의 BtoC EC 시장(물건판매, 디지털, 서비스)은 약 19조 2,779억 엔(2019년 대비 99.6%·경제산업성 자료)으로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20조 엔 돌파를 눈앞에 두고 답보 상태를 유지했다. 물건판매·디지털 분야가 크게 신장한 한편, 서비스계 분야가 대략 40% 감소해 축소된 것이 침체의 큰 요인이다. 이것은 경제산업성의 조사 개시 이래 처음으로 나타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조사년에 따라서 조사항목·내용의 변화 있음). 본 자료는 소매·서비스 업태를 20개 분야로 정밀 조사. 인터넷 통신판매 각 분야의 현황을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마케팅 자료로서, 제22판을 맞이하는 인터넷 통신판매 시장 조사의 스테디셀러 자료이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통신판매기업 및 통신판매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분석을 실시, 사업전략 입안을 위해 시장개황을 파악
• 조사대상시장:
인터넷을 채널로 물건을 판매하는 BtoC E커머스 시장(일부 BtoB, CtoC 있음)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와 디지털 분야에서 BtoC E커머스 시장(일부 BtoB 있음)
• 조사대상지역: 일본(일부 해외 관련 데이터 있음)
•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 포함) 및 전화취재, 기타 주변조사, 문헌조사
• 조사기간: 2022년 4월~2022년 6월
◆자료 포인트
• 조사대상
【상품판매】①종합소매(대형통신판매, 카탈로그, TV·백화점·GMS·CVS) ②가전·PC ③서적, 영상·음악제품 ④식품, 음료·주류, 건강식품 ⑤의약품, 화장품 ⑥가구·인테리어, 잡화, 일용품 ⑦의류·복식잡화 ⑧스포츠용품 ⑨자동차·이륜차, 부품
【서비스】 ⑩숙박·여행서비스, 교통수단 ⑪음식 관련 서비스 ⑫티켓예약 ⑬금융서비스(인터넷은행·인터넷증권) ⑭인터넷전문 생명보험 ⑮이미용 관련 ⑯음식배달서비스
【디지털】 ⑰전자출판(서적·잡지) ⑱유료음원서비스 ⑲유료동영상서비스 ⑳온라인게임
• 플러스 콘텐츠
·새로운 상장사의 컴팩트 개표 10사분 추가
·현금결제의 동향 조사
·EC 플랫폼 사업자 대상 청취조사 실시
·기타 참여기업의 EC 전략 고찰
제1장 E커머스 시장의 현황
1. E커머스 총 시장규모 동향
2. 네트워크 인프라의 진화와 변화
3. 인터넷 광고
4. 소셜미디어의 이용 동향
5. 캐시리스 결제의 동향
6. EC 플랫폼의 동향
제2장 E커머스 업계 기업 동향
1. 통신판매기업의 현황 ~인터넷 통신판매 매출액 339사 종합 랭킹/2020년도~
2. E커머스 관련 기업 동향
3. 인터넷 통신판매와 물류 업계
4. 통신판매기업의 풀필먼트
5. 글로벌 EC
제3장 분야별로 본 E커머스 동향
1. 물류판매 분야 개인 대상 E커머스 동향
2. 서비스 분야 개인 대상 E커머스 동향
3. 디비털 분야 개인 대상 E커머스 동향
제4장 E커머스 관련 비즈니스 기업 데이터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