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협동로봇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조사개요
ㆍ조사목적: 일본 및 해외 협동로봇 관련 주요 제조업체, 로봇 SI(시스템 인테그레이션) 기업, 협동로봇 렌탈 기업, 주요국의 정책 및 연구개발 등 현재 동향과 향후 전략을 조사·분석하고, 나아가 주변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세계 협동로봇 시장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향후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ㆍ조사대상: 협동로봇 제조업체, 협동로봇 주변기기 및 부품 제조업체, 로봇 SI 기업, 협동 로봇 렌탈 기업, 협동 로봇 도입 기업·점포, 정부 기관, 대학·연구소, 업계 단체 등. 본 보고서에서 취급하는 시장규모는 '산업용 매니퓰레이터 로봇'으로 ISO 10218-1, ISO 10218-2, ISO TS15066에 적합한 제품을 대상으로 하여 세계시장을 추산하고 있다.
ㆍ조사방법: 당사 전문 연구원의 대면취재를 베이스로 문헌조사 병용
ㆍ조사·분석기간: 2024년3월~7월
ㆍ그 외: 본 리포트에 게재한 수치 등의 데이터는 상기 기간의 조사결과에 일정한 추정을 더해 작성. 시장규모의 해당 연도는 1월~12월 달력 연도를 기준으로 한다.
◆자료 포인트
ㆍ「프로그래밍의 용이화」, 「플랫폼의 다양화」, 「기술 우위성」이야말로 시장 획득의 열쇠
〇자동화 흐름 확대, 2024년 9만 대 이상에서 2033년 68만 대 규모로 확대
〇제조업이 메인 시장으로서 성장하는 가운데 비제조업 점유율은 2033년에 20%로
〇조선업과 제철업, 건설업, 단체급식 등 새로운 시장에서도 활용이 확대
〇중국에서는 마사지·물리치료용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 기조
〇중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마사지 용도가 새롭게 등장, 피트니스 기반으로 전개 개시
〇3~5kg급 제품과 20kg 이상 가반중량의 니즈로 확대 조짐
〇소유에서 공유로 부담없이 로봇을 도입할 수 있는 렌탈·Raa 서비스가 확대
ㆍ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주요 국가별 시장규모 2022년부터 2033년까지의 전망치 갱신
·글로벌 주요 기업의 최신 동향 업데이트
·도입 업계별, 애플리케이션별 수요동향 수록
·NDIVIA,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의 로봇용 기술 도입 및 개발 동향 추가
조사결과 포인트
제1장 협동로봇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협동로봇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1. 시장규모 추이와 향후 예측
인력 부족 해소와 생산성 효율을 위해 자동화 흐름이 확대
2024년에는 약 9만 대 이상의 출하가 전망, 2033년에는 7배로 성장 예측
표. 협동로봇 세계시장 규모 추이(대수, 금액: 2022~2033년 예측)
그림. 협동로봇 세계시장 규모 추이(대수, 금액: 2022~2033년 예측)
2. 국가별 협동로봇 출하동향
제조업에서의 도입 확대·비제조업의 활용 확대가 시장 성장을 견인
표. 국가별 협동로봇 세계시장 규모 추이(대수: 2022~2033년 예측)
표. 국가별 협동로봇 세계시장 규모 추이(금액: 2022~2033년 예측)
그림. 협동로봇 시장 국가별 구성비(대수: 2022~2033년 예측)
그림. 협동로봇 시장 국가별 구성비(금액: 2022~2033년 예측)
3.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출하대수 및 동 금액 베이스 모두 UR이 가장 높은 점유율 획득
방심은 금물, 변동 가능성이 높은 유동적 상황
그림·표. 세계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그림·표. 세계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금액 기준, 2023년)
4. 도입 업계별 수요동향
제조업이 메인 시장으로서 성장하는 가운데 비제조업은 2033년에 20%로
그림·표. 업계별 협동로봇 구성비(대수 기준, 2023년)
그림·표. 업계별 협동로봇 구성비(대수 기준, 2033년 예측)
5. 가반중량별 수요동향
10kg 미만의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10kg 이상 증가 추세
그림. 가반중량별 시장점유율(2024년 전망)
그림. 고가반중량 협동로봇의 이미지
6. 협동로봇 시장 SWOT 분석/PEST 분석
시장 확대의 좋은 기회가 갖춰져, 조기 해외 전개도 하나의 방책이 된다
표. 협동로봇 시장 SWOT 분석
표. 협동로봇 시장 PEST 분석
7. 결론(시장확대 과제와 대책, 제언)
기술우위를 유지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가속화해야 한다
1) 시장확대 과제와 대책
①동작속도와 가반중량
②높은 프로그래밍 비용
③높은 초기 도입 비용
2) 제언
제2장 주요 국가별 시장 동향
1. 일본
노동인구 감소와 재해대책 등을 위해 로봇산업을 강화
1) 주요 정책·주요 지원제도
2) 기술동향
①티칭리스 제어 기술
②로봇에 대한 동작 교시를 효율화하는 기술
3) 시장규모
표. 일본의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그림. 일본의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제조업의 자동화 수요 증가 2024년 전년 대비 약 128% 증가 전망
4) 기업동향
해외 기업의 시장 진출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본 기업이 톱 점유율 획득
그림·표. 일본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표. 일본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일람
2. 중국
로봇산업 기술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지원방안 전개
1) 주요 정책·주요 지원제도
표. 중국 주요 지방정부 로봇 관련 지원 내용
2) 시장규모
표. 중국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그림. 중국의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정부의 정책·지원책에 힘입어 최대 수요국으로 세계시장 선도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77% 증가 전망
3) 기업동향
중국산 점유율 높아지는 2023년 주요 4사 시장 약 70% 독점
해외 기업의 신규 진출이 어려운 장벽
그림·표. 중국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표. 중국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일람
3. 한국
로봇코어 부품 국산화율, 현재 40%대에서 2030년 80% 이상으로
1) 주요 정책·주요 지원제도
①'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표.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②협동로봇 설치작업장 안전인증제도
2) 기술동향
①대규모 언어모델과 가상환경에 기반한 로봇작업 AI 기술
②위험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
③고정밀 디지털 트윈 기반의 AI 협동로봇 기술
3) 시장규모
표. 한국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그림. 한국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조선업-제철업-단체급식까지 용도 확대
연평균 120% 이상의 탄탄한 시장
4) 기업동향
6축 수직 다관절형 외팔 타입이 시장의 주류
브랜드파워 또는 가격경쟁력이 있으면 신규 진출 여지 있어
그림·표. 한국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표. 한국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일람
4. 미주
로봇 이용 확대 및 AI 실용화 확대에 주력
1) 미국의 주요 정책·지원제도
2) 기술동향
①6G 기반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
②LLM 기술
③모방학습
3) 시장규모
표 미주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그림. 미주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제조업 투자 확대가 시장을 뒷받침해 2024년에는 약 135% 증가를 전망
마사지 용도 새롭게 등장
표. 북미지역 주요 제조업 공장 설립 계획
4) 기업동향
UR가 가장 큰 점유율 유지,
중화계 기업의 활약으로 유럽계 기업의 점유율은 감소
그림·표. 미주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표. 미국의 주요 협동 로봇 제조업체 일람]
5. 유럽
경제성장과 사회과제 해결을 위해 로봇의 연구·이노베이션을 촉진
1) 주요 정책·지원제도
2) 유럽 주요 국가별 동향
①독일
②프랑스
③영국
3) 기술동향
①모방학습 기술을 이용한 환복 로봇
②충돌을 회피하는 자동경로 설계 기술
4) 시장동향
표. 유럽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그림. 유럽 협동로봇 시장규모 추이
(대수·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독일 중심으로 시장 수요 확대 2024년 129.7% 증가 전망
5) 기업동향
2023년도 UR이 1위 점유율을 유지
그림·표. 유럽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점유율
(대수 기준, 2023년)
표. 유럽의 주요 협동로봇 제조업체 일람
제3장 주요 도입 업계별 시장동향
1. 주요 도입 업계별 시장동향
미래에는 비제조업용이 대폭 성장
표. 협동로봇의 업계별 출하비율 추이(대수 기준, 2023~2033년 예측)
2. 주요 도입 업계별 특징과 자동화 현황 및 가능성
2-1. 자동차·자동차 부품 업계
'조립공정'과 '검사공정'에서 보다 강점을 발휘
①프레스공정(Stamping)
②용접공정(Welding)
③도장공정(Painting and Coating)
④조립공정(Assembly)
⑤검사 공정(Inspection)
2-2. 전자업계
조립 및 나사 체결 공정에서 도입이 증가 중
2-3. 금속 및 기계가공 관련 업계
복잡한 형상의 용접과 단순 반복 작업에 활용
2-4. 3품 산업(식품·의약품·화장품 업계)
인력 부족이 심각해 자동화 니즈가 높아
①식품 업계
②의약품 산업
③화장품 업계
2-5. 비제조업
①요식 업계
부품과 기능을 단순화한 저가, 저사양 제품이 인기
②기타
도입 업계 및 활용 용도가 무한대
제4장 협동로봇 관련 주요 기술 동향
1. 협동로봇 개요
1-1. 협동로봇의 정의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인간의 작업을 지원하고 협동하는 로봇
표. 로봇의 분류 및 도입처
표. 산업로봇 및 협동로봇의 정의
표. 기존 산업로봇과 협동로봇의 특징 비교
표. 산업용 및 협동로봇의 특징과 용도 분류
그림. 협동로봇 관련 국제표준규격
표. 주요국의 협동로봇 관련 안전요구사항 규격
표. 협동로봇 안전방책 분류
1-2. 협동로봇의 특징
안전책 없이 인간과 같은 공간에 설치 가능
①사람의 작업 부담을 경감
②프로그래밍 설정이 간단
③설치 자유도가 높아 단시간에 도입 가능
④안전성 확보
1-3. 협동로봇 도입 업계
그림. 협동로봇 도입 업계의 이미지
1-4. 협동로봇 활용 용도
그림. 협동로봇 주요 용도
표. 협동로봇 주요 용도
2. 협동로봇 시스템 구성
주변기기와의 패키지화, 표준 프로그래밍 개발이 진전 중
그림. 협동로봇 시스템 활용 이미지
표. 협동로봇 시스템 구성 및 주요 부품·주변기기 기술
표. 협동로봇 관련 주요 주변기기의 기능 및 주요 제조업체 일람
2-1. 로봇팔
1) 로봇팔의 종류
3차원 동작이 가능하며 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직다관절형
고정밀로 단순작업에 특화된 수평다관절형
그림. 수직다관절형 및 스칼라형 로봇의 구조 이미지
①수직다관절형
그림. 수직다관절형 협동로봇 이미지
②수평다관절형(스칼라형)
그림. 스칼라형 협동로봇의 이미지
2) 로봇팔의 주요 기술 동향
①자유도(DoF)
6자유도가 주류
그림. 로봇팔의 자유도와 회전운동방향의 이미지
그림. 로봇팔 축의 운동방향 이미지
②가반중량(Payload)
5~10kg 수요 많고, 20kg 이상 고가반 중량도 확대 추세
③리치(Reach)
1,000mm대 제품 주류
④위치 반복 정밀도(Repeatability)
0.05mm와 0.1mm가 주류
⑤표준 TCP 속도
저속·고속 듀얼모드 산업용 로봇 협동앱도 등장
2-2. 주변기기
2-2-1. 로봇손
로봇의 손재주를 좌우하는 열쇠
비용 메리트가 높은 범용 로봇손 수요가 증가
그림. 그리퍼 이미지
그림. 엔드이펙터 이미지
2-2-2. 로봇 컨트롤러
범용 제품 개발이 진행 중
2-2-3. 비전 시스템
AI 기술로 고정밀화
그림. 로봇 비전 시스템 이미지
2-2-4. AGV·AMR
단순 주행 기능을 넘어 지능화로
표. AGV와 AMR의 비교
2-3. 구동계
그림. 협동로봇 팔의 구성요소 및 액추에이터 구조
1) 액추에이터
전기구동식이 일반적이며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가 트렌드
표. 구동방식별 특징 비교
2) 인코더
인코더 없는 경량화로
3) 감속기
중국산 채용 확대
그림. 파동기어장치 구조 이미지
2-4. 주요 센서
1) 역각 센서
전류 센서와 토크 센서에 의한 힘 제어
2) 촉각 센서
2-5.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은 ROS가 주류
3. 협동로봇의 기술 및 개발 트렌드
3-1. AI 기술
LLM, 모방학습, 딥러닝, 디지털 트윈 활용이 트렌드
3-2. 모빌리티성
AGV, AMR 조합하여 이동성 부여
3-3. 풍부한 제품 라인업
용도에 따른 다양한 제품 종류
4. 협동로봇 산업을 둘러싼 환경
4-1. 협동로봇 산업의 가치사슬
그림. 산업용 및 협동로봇 도입의 흐름
그림. 산업용 및 협동로봇 산업의 밸류체인 구조
표. 산업용 및 협동로봇 산업의 밸류체인 개요 및 특징
4-2. 주요국 글로벌 특허동향 및 산업경쟁력 평가
그림. 협동로봇 관련 특허출원 건수 추이(2010~2019년)
표. 협동로봇 관련 특허출원 건수 추이(2010~2019년)
그림. 협동로봇 관련 특허출원 건의 구성비(2010~2019년 누계)
표. 주요국 협동로봇 관련 특허출원 순위(2010~2019년 누계)
그림. 주요 국가별 협동로봇산업 경쟁력 평가
4-3. 렌탈 RaaS
소유에서 공유로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는 서비스가 확대
제5장 협동로봇 관련 기업의 동향과 전략
Universal Robots A/S
업계에서의 높은 존재감 유지, 설계 개선과 사양 개선으로 혁신 지속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e시리즈' 제품을 메인으로 전개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3년 YoY 110% 증강,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그림. 협동로봇 생산능력 추이(2022~2024년 전망)
4. 출하동향
미주 출하가 시장 견인, 아시아는 감소세 지속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매출액 추이(2021~2024년 전망)
그림. 출하 국가별 매출액 및 구성비(2021~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중점 투자 분야는 머신 비전, AMR, 클라우드와의 연결성
ABB Co., Ltd.
산업용 로봇 협동 앱 제안, 고속작업을 통한 생산 효율화가 장점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고속도, 고정밀, 고가반 제품 추가
그림. 협동로봇 제품 이미지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3년 북미공장 증강, 2026년 유럽공장 개설 예정
표. 산업용 및 협동로봇의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신제품 거래 증가 2024년 115% 증가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협동로봇의 업계별 출하비율(일본 시장, 2023년)
5. 기술동향
산학연계로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강화
Neura Robotics GmbH
기술 선두 기업으로서 업계의 주목을 받는 독일 기업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AI 탑재 환경 인지 제품 전개
표. 'MAiRA 시리즈'와 'LARA 시리즈'의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및 출하동향
생산거점을 중국에서 독일로 이전하여 유럽사업 강화
Rethink Robotics GmbH
유럽 중시, 고정밀 제품 전개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고성능 토크 센서를 전 축에 탑재하여 고정밀 실현
표. 'Sawyer'와 'Baxter'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연산 천 대 이상의 생산체제
표. 협동로봇의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 YoY 115% 증가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예상)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 추이(2023년)
5. 기술동향
범용 소프트웨어 개발로 설치 및 운용면 개선에 힘쓰다
KUKA AG
중국 경영에 시동, 생산·개발을 더욱 강화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가반중량 6kg과 8kg 대응 6축 제품 추가
표. 'LBRiiwa 시리즈'와 'LBRiiisy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중국 거점 확대 계획이 진행 중
표. 로봇의 생산능력과 거점 목록
4. 출하동향
2024년 1천 대 진입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5. 기술동향
AI 기술을 활용한 기능 개선 추진 중
達明機器人股份有限公司(Techman Robot Inc.)
로봇비전 기술과 AI 기술로 경쟁 우위 확립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4년 가반중량 3kg 및 30kg 제품 공개 예정
그림. 'TM 시리즈' 이미지
표. 'TM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5년에 신공장 가동 예정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V자 회복 2024년 YoY 130% 기대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2022~2023년)
5. 기술동향
AI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트윈 개발 추진
遨博智能科技有限公司(AUBO Robotics Inc.)
중국시장에서의 견고한 기반 구축, 안정적인 출하 증가 유지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4년에 가반중량 35~50kg 제품 출시 예정
표. 'AUBO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6년 연산 6만 대 체제를 목표로
표. 협동로봇의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은 전년대비 2배 증가 기대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 추이(2022~2024년 전)
5. 기술동향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부품 개발 주력
上海节卡机器人科技有限公司(Shanghai JAKA Robotics Ltd.)
고신뢰성, 8만 시간 MTBF 달성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4년 20kg 가반중량 신모델 공개
표. 'JAKA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4년에는 5만 대 생산체제로 일본 생산도 계획 중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은 YoY 139% 증가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 추이(2022~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제품 패키지화 및 표준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
苏州艾利特机器人有限公司(Elite Robot Co., Ltd.)
글로벌 전개 속도 가속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3년 26종 신모델 출시
표. 'EC 시리즈'와 'CE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중국서 일괄생산 연간 8천 대 체제로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은 YoY 167% 증가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기술투자 및 글로벌 전개 가속화
深圳市越疆科技有限公司(DBOOT)
가반중량 5kg 이하가 주력 제품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스칼라형과 수직다관절형 제품 전개
표. DOBOT 협동로봇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중국 연산 8천 대 규모 자동화 공장 가동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은 YoY129% 증가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업계별 출하비율(2023년)
5. 기술동향
3만 시간 신뢰성 인증 획득
파낙 주식회사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브랜드파워, 고신뢰성, 내구성 강점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4kg에서 50kg까지의 폭넓은 제품 라인업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연산 2만 대 규모 협동로봇 생산능력 보유
표. 산업용 및 협동로봇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2023~2024년 전망)
4. 출하동향
유럽시장에 초점, 중국·미주 다음으로 중요한 시장으로 사업 강화
5. 기술동향
AI를 활용한 기능 확충
주식회사 야스카와전기
업계 및 용도에 적합한 제품 라인업 확충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10kg, 20kg, 30kg 제품 전개
그림. MOTOMAN-HC 시리즈 이미지
표. MOTOMAN-HC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미국에 신공장 건설 발표. 일본-중국-유럽 이어 글로벌 전략 가속
표. 산업용 및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제조업에 대한 주력과 병행하여 농업용으로의 전개도 본격화
그림. 로봇사업 매출액 추이(2021~2023년도)
5. 기술동향
협동로봇의 경량화를 위해 액추에이터 연구에 주력
가와사키중공업 주식회사
로보틱스 기술 선구기업, 신라인업 추가로 경쟁력 강화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수평방향 고속이동과 상하방향의 강성이 특징
표. duAro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일본-중국 2개국 생산체제
표. 협동로봇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중국으로의 출하가 50% 이상, 현지 제조업이 주된 유저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증감률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 추이(2022~2024년 전망)
그림. 협동로봇 업계별 출하비율 추이(2022~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사용자 친화적인 기술 및 원격지원기술 개발 추진 중
주식회사 덴소웨이브
독자 개발한 고성능 부품으로 제품의 차별화를 도모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경량, 고강성 토크 센서를 탑재하여 고속동작 시에도 고정밀 제어 가능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연산 천 대 규모의 생산능력 보유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2023~2024년 전망)
4. 출하동향
자동차 관련 업계, 랩 대상 영업 강화 2024년 YoY 108% 성장 전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도 전망)
그림. 협동로봇 국가별 출하비율(2023년도)
5. 기술동향
소프트웨어의 혁신과 원격조작이 개발의 주목 테마로
두산로보틱스 주식회사(Doosan Robotics Inc.)
솔루션 다양화와 소프트웨어 혁신을 통해 사업영역 확대를 목표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4년 가반중량 30kg 제품 공개, 2026년 17기종까지 확충
그림. Doosan 협동로봇 이미지
표. 'M 시리즈', 'H 시리즈', 'A 시리즈', 'E 시리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4년 국내 1국 생산에서 2026년 4국 생산체제로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4년은 YoY 125%로 해외 출하비율은 70% 이상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년~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한층 더 고성능화로
주식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Co., Ltd.)
주요 부품 내제화로 제조원가 대폭 절감, 수출 확대 주력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2024년 중 20kg 가반 모델, 2025년까지 특화 모델 추가 예정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설비투자가 진행되어 2025년 3,500대 규모로
표. 협동로봇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2023년부터 제조업·외식산업이 급증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머신비전과 AI 기능을 강화한 500g 가반 제품 개발을 추진
주식회사 뉴로메카(Neuromeka Co., Ltd.)
한국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점유율 확대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중국 기업과 제휴해 라인업 확장, 25kg 가반 모델도 조만간 제품화 예정
표. 협동로봇 제품 주요 사양
3. 생산동향
2024년까지 연산 18만 대 규모로 확대
표. 로봇의 생산능력과 거점 목록
4. 출하동향
의료기기 및 제철 제조업체와의 연계 등 사업 확대의 기회가 갖추어지다
그림. 협동로봇 출하대수 추이(2022~2024년 전망)
5. 기술동향
용도별 특화된 제품 개발, 감속기 및 모터 내제화 추진 중
주식회사 하모닉드라이브시스템즈
고기술력, 고신뢰성으로 파동기어장치 분야 선도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소형, 경량이지만 토크 용량이 커 정확한 위치 결정 가능
그림. 파동기어장치 구조 이미지
표. 파동기어장치 형상별 이미지 및 특징
3. 생산동향
월산 25만 대 규모 생산체제로 운영
표. 파동기어장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외국인 투자 증가 2024년 V자 회복 전망
5. 기술동향
'경량화', '소형화', '슬림화'에 주력
蘇州緑的諧波伝動科技有限公司(Leader Harmonious Drive Systems Co., Ltd.)
후발업체이지만 기술적으로 글로벌 수준을 달성
1. 사업개요
2. 제품라인업
고강성, 고정밀, 긴 수명, 고안정성이 특징
그림. 파동기어장치 이미지
3. 생산동향
연산 80만 대 생산체제 앞으로 설비투자 계속
표. 파동기어 감속기의 생산능력과 거점 일람
4. 출하동향
대중국 출하 호조에 더해 해외로부터의 거래도 증가 중
그림. 파동기어장치 용도별 출하대수 구성 비율(2023년)
NVIDIA Corporation
혁신적인 테크놀로지로 로봇 개발의 진화를 뒷받침
1. 사업개요
2. 기술동향
AI를 활용한 6G 연구 플랫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