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확대되는 시설원예의 시장 실태와 장래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02700
발간일
2024/09/30
체재
A4 / 578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578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최근 농업을 둘러싼 환경은 농업 종사자의 고령화에 의한 후계자 부족과 농업 소득 감소, 식량 자급률 향상 등 큰 변화 속에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농업 분야에서도 온실효과가스 배출량 저감에 대한 대응이 필요해지고 있어, 기존의 생산구조 그대로는 농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감이나 경험에 의지하는 기존의 형태가 아닌 시설원예가 주목받고 있다. 시설원예는 재배기간 단축, 수확량 증가, 품질 향상, 에너지 절약·비용 절감 등 재배의 고도화를 도모할 수 있어 농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당사에서는 재배 시스템(양액재배, 식물공장)·시설원예 관련 자재(복합환경제어, 시설원예용 히트펌프, 탄산가스 발생장치, 피복자재, 농업 ICT, 액체비료, 고온·연료비 급등으로 주목받는 에너지 절약 자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재 시설원예 시장의 실태와 과제를 밝혀 각 시장의 향후 시장성을 전망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설원예와 관련된 사업의 마케팅 활동에 해당 자료를 꼭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본 조사는 시설원예 시장 진출기업의 시설원예 관련 사업의 방향성과 기업 전략 및 취급 상품의 동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시설원예 시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했다.

• 조사대상 제품:

□시설원예 관련 자재[농업용 하우스, 양액재배시스템, 복합환경제어장치, 시설원예용 히트펌프, 피복자재 (농업용 필름), 농업 ICT, 액체비료, 차광제·차열제]

• 조사대상처:

시설원예 기업

□시설원예 관련 제조업체: 27사

□지자체, 관련 단체, 기업

□기타, 관련 관공서, 협회

• 조사항목: 목차 참조

• 조사기간: 2024년 4월~2024년 9월

•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 및 전화취재 실시

◆자료 포인트

• 일본 유력 기업(시설원예 사업자, 농업용 하우스 메이커·관련 기업)의 현재 대응을 소개

• 식량안보 확보와 더불어 대규모화가 진행되고 주목받는 시설원예 동향을 소개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환경보전형 농업에 관한 특집 게재

·탄산가스 발생장치와 고온·연료비 급등으로 주목받는 에너지 절약 자재(내부 커튼, 차광제·차열제) 조사

목차
Close

제1장 시설원예의 현황과 장래 전망

1. 일본 농업 현황 ~2022년 농업 총산출액은 전년대비 100.7%로 전년을 상회~

  (1)농업총산출액과 생산농업소득 추이(1984, 2016~2022년)

  (2)농작물의 경작면적 추이(2013~2022년)

  (3)기간적 농업 종사자 수 추이(2011~2023년)

  (4)기간적 농업 종사자 평균연령 추이

  (5)신규 취농자 수 추이

  (6)전국 농업경영체의 경영경지면적 규모별 경지집적비율 변화

  (7)농업경영체당 경영경지면적

  (8)농림수산물의 수출입 상황

    ①농림수산물 수출입액 현황(2023년)

    ②농산물 수출입액 추이(2014~2023년)

    ③농림수산물 수출입국 상황(2023년)

2. 급증하는 농지소유적격법인(농업생산법인) 상황

  (1)농업법인의 종류

  (2)현행 농지소유적격법인의 농지 권리 취득 요건

  (3)조직형태별 농업생산법인 수 추이(2010~2022년)

    ~농업생산법인 수는 20,000법인 돌파~

  (4)주요 생산작물별 농업생산법인 구성비(2023년)

    ~쌀·보리 법인은 2023년 총수로 9,822개 법인~

3. 농업의 6차 산업화 대처 상황

4. 식량농업농촌기본법 개정에 대해

5. 국내외 농업이 안고 있는 과제·문제점

  (1)국내 농업이 안고 있는 과제·문제점

  (2)해외 농업이 안고 있는 과제·문제점

6. 시설원예 현황

  (1)구역별 시설원예의 변화와 설치 실면적 및 신설면적 추이

  (2)석유 이용 가온설비와 대체 에너지화 동향

  (3)에너지절약장치 보급 상황

  (4)전국 시설원예의 재배작물 동향

  (5)시설원예 경영 동향

    ①규모별 시설원예 경영체 수 추이

    ②규모별 시설원예 경영체 소득

  (6)시설원예에 관련된 2025년도 예산 개산 요구 개요

7. 환경보전형 농업에 관한 대처

  (1)지속가능한 농업을 목표로 농림수산성이 '녹색식량시스템 전략'을 책정

  (2)녹색식량시스템법 시행

  (3)농림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기구 외 ZEG 프로젝트 실시

  (4)참여 기업의 친환경 농업에 대한 대처·견해와 대응책

8. 전국농업협동조합연합회(JA젠노(全農))의 시설원예 대응

  (1)실증농장 '유메팜 젠노'의 활동

    ①실증농장 ‘유메팜 젠노’ 개요

    ②향후 방향성

  (2)JA젠노 이와테 선진원예 실증농장

    ①선진원예 실증농장 설립 경위

    ②선진원예 실증농장 설립 개요

9. 고치현의 차세대형 시설원예시스템 대응

  (1)환경제어장치 보급 상황

    ~환경제어 보급면적은 477ha(2023년도)로 확대~

  (2)차세대 하우스 보급 추진 ~차세대 하우스는 90.4ha로 확대(2023년도)~

  (3)Next 차세대형으로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으로 전환~

  (4)영농지원서비스 SAWACHI ~2022년도부터 본격 운용 개시~

  (5)SAWACHI의 보급 상황과 효과

  (6)현 밖으로의 전개

  (7)향후 방향성 ~도입 수의 추가적인 증가와 분야의 확대~

10. 사가현의 시설원예진흥 '사가원예 88운동'의 대응

  (1)사가현의 농업 현황

  (2)'사가원예 888운동'에서의 신규 취농자·생산자에 대한 지원 내용

11. 시설원예의 생산비용 상승의 영향

  (1)농업비닐·폴리에틸렌 가격 추이

  (2)에너지 비용 추이

    ①농업용 A중유 가격

    ②전기요금 평균단가 추이

  (3)온풍식 난방기

  (4)화학비료 가격 추이

  (5)시설원예 생산자의 생산비용 상승의 영향

  (6)생산자의 시설원예 생산에 있어서 에너지 비용 등의 상승에 대하여

  (7)자사의 시설원예 생산에 있어서 에너지 비용 등의 상승에 대해서

12. 영농형 태양광발전 동향

  (1)영농형 태양광 발전이란 ~농지상 태양광발전 설치의 역사와 규칙~

  (2)영농형 태양광 발전 설치 상황

    ~급증하는 영농형 태양광, 최다 작물은 관상용 식물~

  (3)시설원예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구체적인 예

    ~비닐하우스에서의 발전에 대해서~

    ①팜클럽

    ②토미타테크놀로지

    ③교세라커뮤니케이션시스템

  (4)영농형 태양광 발전 보조금

    ~다양한 영역에서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 설치 기대~

  (5)영농형 태양광 발전 과제

13. 해외 시설원예 동향

  (1)네덜란드 동향

    ①네덜란드의 시설원예 현황

    ②네덜란드의 시설원예 생산자 규모 확대

  (2)중국 동향

    ①중국의 농업 총산출액 추이(2018~2023년)

    ~2020년 중국의 농업 총산출액은 158,507억 위안(약 314조 엔)~

    ②중국 채소, 과수, 화훼 재배면적 추이(2017~2022년)

    ③중국의 지역별 농업 총산출액(2020년)

    ~지역별 농업 산출액으로는 산둥성이 최대,

    10,191억 위안(약 19조 엔)으로 전국 점유율 7.4%~

    ④중국 원예용 시설의 종류별 면적(2020년: 터널 면적 제외)

    원예용 시설의 총면적은 187.3만ha(터널 제외)~

    ⑤중국의 원예용 시설 설치 면적 추이(2015~2020년)

    2025년까지 원예용 시설의 총면적(터널 제외)을

    200만ha로 확대시키는 목표~

    ⑥중국 원예용 시설의 지역 분포

    ~산둥·장쑤·랴오닝·허베이 4개 성에서 전체의 50%를 차지~

    ⑦'국가 제14차 5개년 계획(2021년~2025년)'에서 농업의 주요 목표

    ~2025년까지 채소 생산량을 7억t 이상으로 만드는 목표~

  (3)한국 동향

    ①한국의 시설원예 면적 추이(2014~2022년)

    ②2022년 시설원예 면적

    ③2022년 양액재배시스템 면적

    ~고형배지(코코피트)가 가장 보급~

    ④시설채소 생산량 추이(2019~2022년)

    ~2022년 가장 많은 생산량은 '수박'~

    ⑤한국의 방울토마토 생산비용 동향

  (4)시설원예 관련 기업의 해외전개

14. 시설원예 보급 확대를 위한 제언

  (1)SDGs 대응형 시설원예 확립 대책

  (2)시설원예서 바이오매스 이용 대응

  (3)친환경형 시설원예가 보급되기 위한 제언

제2장 다른 업종에서 농업에 참여하고 있는 시설원예 생산 사업자에 대한 사용자 조사

1. 설문 결과

2. 응답생산자 속성

3. 최근 수지 상황

  (1)최근 수지(영업이익 베이스)

  (2)재배면적별 수지 상황

  (3)가동년수별 수지 상황

  (4)재배작물별 수지 상황

4. 사업이 안정화될 때까지의 연수

5. 도입하고 있는 환경제어장치 제조업체

6. 도입하고 있는 식물육성용 광원

7. 생산비용 상승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

8. 생산비용 상승

  (1)몇 년 전과 비교한 생산비용 상승폭

  (2)생산비용 상승분의 판매가격 전가

9. 향후 경영(생산) 규모의 확대 의향

10. 기타 시설원예에 관한 자유의견

설문조사 개별 조사표

<태양광 이용형 시설원예 생산사업자>

□ (주)크리에이트히카루 / (주)모렐라 외

제3장 농업용 하우스·양액재배시스템 동향

1. 농업용 하우스 동향

  (1)시장 개황

  (2)일본 농업용 하우스의 주요 종류

  (3)농업용 하우스 설치비용 저감 방향

  (4)농업용 하우스 종류별 설치면적 추이

  (5)참여 기업의 주요 상품

  (6)주요 참여 기업의 상품 정책

  (7)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8)현재의 문제점과 과제점

  (9)시장 전망

  (10)주요 농업용 하우스 메이커

  (11)농업용 하우스 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12)농업용 하우스 향후 시장규모 추이(2024년~2028년 예측)

2. 양액재배시스템 동향

  (1)시장 개황

  (2)양액재배 설치면적

  (3)양액재배 유형별 동향

    ①수경재배 ~탄액형재배(DFT)~

    ②수경 재배 ~박막수경(NFT) ~

    ③고형배지

    ④분무경

    ⑤양액토경

    ⑥정리

  (4)참여 기업의 주요 상품

  (5)참여 기업의 개발과 제품 전략

    ①이노치오아그리 [AQUQUA BEAT] 상위 기종 [AQUA BEAT Mobius] 출시

    ②세이와 신급액 유닛의 개발·판매

    ③루트렉네트웍스 '제로 아그리 Lite' '제로 아그리 Plus' 동시 출시

    ④도요타네 '도요타네 배액 재활용 시스템' 출시

    ⑤주요 참여 기업의 상품 정책

  (6)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7)현재의 과제점과 문제점

  (8)시장 전망

  (9)양액재배시스템 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10)양액재배시스템의 향후 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3. 시설원예 유망기술 ‘로컬 5G’

  (1)농림수산·축산의 로컬 5G 비즈니스 동향

  (2)5G 솔루션 사례

  (3)로컬 5G의 잠재력

  (4)농림수산·축산분야 로컬 5G 시장규모 예측(2020~2030년도 예측)

제4장 시설원예의 생력화·에너지 절약·비용 절감을 위한 주목 자재 동향

1. 복합환경제어시스템

  (1)시장개요

    ①복합환경제어장치 보급 상황

    ②복합환경장치 구성

  (2)주요 참여 기업 동향

  (3)제품·기술 관련 동향

  (4)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5)현재의 문제점과 과제점

  (6)향후 사업의 방향성

  (7)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8)향후 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2. 시설원예용 히트펌프

  (1)시장개요

    ①시설원예의 가온면적 변화

    ②히트펌프 도입이 진행되고 있는 요인

  (2)주요 참여 기업 동향

  (3)제품·기술 관련 동향

  (4)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①시설원예용 히트펌프의 판매 동향

    ②시설원예용 히트펌프의 메이커 점유율(2023년)

  (5)현재의 문제점과 과제점

  (6)향후 사업의 방향성

  (7)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8)향후 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3. 탄산가스 발생장치

  (1)시장개요

    ①탄산가스 발생장치 개요

    ②시설원예에서 탄산가스 발생장치의 설치면적 추이

  (2)주요 참여 기업 동향

  (3)제품·기술 관련 동향

  (4)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5)현재의 문제점과 과제점

  (6)향후 시장 동향

  (7)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8)향후 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4. 피복자재(농업용 필름)

  (1)시장개요

    ①피복자재의 종류

    ②피복자재별 설치면적 추이

  (2)하우스의 피복재에 따른 분류

  (3)농업용 폐플라스틱 동향

  (4)주요 기업 동향

  (5)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①주요 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②농업용 폴리오레핀·PO·농업용 염화비닐필름의 기업 점유율(2023년)

  (6)향후 사업의 방향성

  (7)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8)향후 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5. 농업 ICT

  (1)시장개요

  (2)시설원예의 농업 클라우드 현황

  (3)시설원예의 농업 ICT 현황

  (4)농업 클라우드 시장규모 예측(2022년~2029년 예측)

6. 시설원예용 액체비료

  (1)시장개요

  (2)주요 참여 기업

  (3)참여 기업의 판매 동향

  (4)시장규모 추이(2019년~2023년)

  (5)시장규모 예측(2024년~2028년 예측)

7. 고온·연료비 급등으로 주목받는 에너지 절약 자재(보온·차광 자재)

  (1)내부 커튼

    ①시장 개황

    ②시장규모 추이·예측(2023년, 2024년, 2028년)

  (2)차열제

    ①시장 개황

    ②시장규모 추이·예측(2023년, 2024년, 2028년)

제5장 유력 참여 기업의 개별 동향

≪시설원예 관련 기업≫

아킬레스(주)

~바이오플라스틱 제품으로 친환경 농업에 기여~

(주)이즈

~농업 이외 용도 사용도 증가~

이노치오아그리(주)

~농업용 하우스부터 양액재배시스템, 관수제어반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

AGC그린텍(주)

~에프클린의 보급·확대로 시설원예의 환경 부하 저감에 기여~

(주)NTT애그리테크놀러지

~AI, 로보틱스를 접목한 원격 영농지원 프로젝트 시작~

MKV어드밴스(주)

~기술혁신의 추구에 의해 사람들의 풍요로운 삶의 실현과 사회 및 농업의 지속가능성 향상에 기여~

(주)M식수경연구소

~종합적인 수경재배 솔루션 제공, 고객의 성공을 최대한 지원~

OAT아글리오(주)

~기존형 액체비료 판매와 더불어 스마트농업·바이오스티뮬란트도 전개~

시그니파이재팬 합동회사 

~전기료 급등에 대해 광효율을 높인 신제품을 제안. 작업환경도 고려하여 생산 효율화~

(주)세이와

~제조사로서 ‘트윈 커튼’과 친환경형 제품 등의 개발을 진행, 교육에도 주력~

(주)SERAKU

~AI를 활용한 출하 예측을 활용하여 스마트 푸드 체인 시스템 전개~

다이킨공업(주)

~농업용 히트펌프는 안정적인 교체 중심의 움직임 ~

(주)다이센

~대규모 재배시설, 차세대형 원예시설용 제안 강화를 도모하여 탄소중립에 기여~

(주)다카미야

~' TAKAMIYA AGRIBUSINESS PARK ' 설립, 농업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종합농업파크를 지향~

다키론씨아이(주)

~산텔라의 농업용 폴리오레핀 사업 승계로 업계 내 세력 확대~

(주)덴소아그리테크솔루션즈

~Certhon 그룹과의 연계로 중대형 시설원예를 토탈 패키지로 판매~

도쿄잉크(주)

~에너지 키퍼의 보급·확대로 에너지 비용 저감에 기여~

도도흥업(주)

~공사 없이 설치 가능한 ‘전동 캔 키트 N제어반 Lite-Solar' 출시~

도미타테크놀로지(주)

~자사 시설 ‘Shonan Horti Campus’ 전개에 의한 정보 공개도 개시~

도요타네(주)

~오랜 세월에 걸쳐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농업생산자를 하드와 소프트 양면을 지원~

네타핌재팬(주)

~클라우드를 이용한 관수 시비 운영체제 '글로스피어' 출시, 최적의 관수 시비를 지향~

네폰(주)

~'하우스카온키' 리뉴얼, 색상 변경과 함께 통신 기능을 표준 탑재~

(주)Happy Quality

~휴대용 기공 관찰용 디바이스 'Stomata Scope' 본격 출시~

PLANT DATA(주)

~토양 분석, 제어에도 관심, 제어 범위 확대를 도모~

(주)플랜트라이프시스템즈

~라이선스 판매를 실시함으로써 신규 참여 기업에게도 수익을 올리기 쉬운 구조를 제안~

(주)루트렉네트웍스

~2023년 7월에 구보타의 연결 자회사화, 하우스재배 스마트화 추진을 더욱 강화~

와타나베파이프(주)

~'가이아 K 시리즈'와 '울트라 에이스 시리즈' 등 관련 자재에도 주력~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