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장래 전망 ~생력화·고품질 생산을 실현하는 농업IoT·정밀농업·농업로봇의 방향성~(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04000
발간일
2025/01/29
체재
A4 / 74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74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일본 전국의 농업경영체 수는 2013년에는 151만 4,100개였으나 2024년에는 88만 3,300개가 되어 최근 10년간에 63만 800개가 감소했다.

농업종사자는 2010년에 205만 명이었으나 2024년에는 111.4만 명이 되며, 이 중 65세 이상이 79.9만 명(구성비 71.7%)으로 고령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아지고 있다.

농림수산성의 조사에 따르면, 향후 20년간 농업종사자는 현재의 약 1/4(111만명→3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기존 생산방식을 전제로 한 농업생산으로는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할 수 없는 위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농업인이 급속히 감소하는 가운데, 농지 면적과 노동시간 당 수확량(생산성)의 향상 기술이 불가피하며, 단위 면적과 수확량 당 수익성을 확대(부가가치 향상)하여 경영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스마트농업 기술’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현재 보급이 시작되고 있는 농업IoT(농업 클라우드),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판매지원·경영지원, 정밀농업(스마트 농기계), 농업용드론, 농업로봇 등 참여기업의 현재 대응, 방향성과 농업생산법인의 ICT 이용 의향을 조사하여 확대가 기대되는 스마트 농업시장을 파악했다.

◆조사 개요

조사목적: 본 조사는 스마트농업 시장 참여기업의 농업ICT·정밀 농업의 방향성과 기업전략 및 취급상품의 동향을 조사·분석하여 스마트농업 시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제품:

재배지원 솔루션 (농업 클라우드/복합환경 제어장치/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판매지원 솔루션(농작물 판매처(식품관련 사업자·JA)의 업무를 ICT로 경감하는 시스템, 기상 데이터 등을 이용한 판매지원 서비스, 등)

경영지원 솔루션(농업용 회계 소프트웨어, 농업법인용 회계지원 서비스, 기상데이터 등을 이용한 경영지원 서비스, 등)

정밀농업(GPS 가이던스 시스템, 자동조종, 로봇농기계 시스템(스마트 이앙기시스템, 로봇트랙터 시스템), 위성정보를 활용한 시스템 등)

농업용드론 솔루션(드론을 이용한 농약·비료살포 서비스, 드론을 이용한 센싱·모니터링 서비스, 등(드론 하드웨어는 불포함))

농업용로봇(설비형 로봇(접목로봇 등), 매니퓰레이터형 로봇(수확로봇 등), 어시스트형 로봇(파워어시스트 슈트 등))

※농업용 POS, 농기계·드론 하드웨어는 해당 시장에 포함되지 않는다.

조사 대상:

·스마트농업 참여기업(46개 사)

·농업생산법인(논벼/농원예(채소·과수·화훼)) 100개 사

·기타 대학, 관련 관공서·협회

조사항목: 리서치내용 참조

조사기간: 2024년 6월~2025년 1월

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직접 대면취재 및 전화취재

◆자료 포인트

ㆍ대기업·스타트업 기업 등 스마트농업 참여기업 46개 사의 현재 대응과 시장규모를 2030년까지 예측

ㆍ농업생산법인 100개 사(논벼 68건, 농원예 32건)에 스마트농업·농업용드론 이용동향에 대한 설문조사

ㆍ농업생산법인(100개 사)의 J-크레딧 이용 의향을 설문조사

ㆍ농림수산 분야의 탈탄소(탄소농업(J-크레딧)) 동향을 특집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I장 농업의 현황과 장래 전망

 

1. 일본 국내 농업현황

  (1)농업 총 산출액과 생산농업소득 추이(1984, 2016~2023년)

  (2)농작물의 작부면적 추이(2013~2023년)

  (3)농업취업인구 추이(2013~2024년)

  (4)농업 취업자의 평균연령 추이

    ~농업취업 인구(기간(基幹)적 농업종사자)의 평균연령은 69.2세~

  (5)신규 취농자수 추이

  (6)일본 전국 농업경영체의 경영경지면적 규모별 경지집적비율 변화

2. 급증하는 농지소유 적격법인의 상황

  (1)농업법인의 종류

  (2)현행 농지소유 적격법인의 농지권리 취득 요건

  (3)주 조직형태별 농업생산 법인수 추이(2010~2023년)

    ~농업생산 법인수는 21,000개 법인을 돌파~

  (4)주요 생산작물별 농업생산법인 구성비(2023년)

    ~쌀·보리 작법인은 2023년 총수로 9,822개 법인~

3. 농업의 6차 산업화 대응 상황

4. 농업정책 동향

  (1)농정 헌법 「식량∙농업∙농촌기본법」 25년만에 개정

    ~스마트농업 진흥을 위해 법제화~

  (2)농림수산성 2025년도 개산 요구

    ~「스마트농업」 등을 중심으로 예산을 신설·확충~

  (3)농림수산성 스마트농업을 10년 이상 실시, 실증의 장에서 생산현장으로 보급 확대

 

제II장 스마트농업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1. 스마트농업 시장 개요

  (1)스마트 농업이란

  (2)스마트 농업이 요구되는 배경

    ①일본 국내 농업경영체는 2030년에 절반으로 감소.

     기존 생산으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할 수 없는 사태로~

    ②해외농업이 안고 있는 과제·문제점

    ③농림수산 분야에서의 일본시장과 해외시장의 변화(1990년→2020년→2050년)

  (3)데이터를 활용한 농업을 실시하고 있는 농업경영체 수 추이(2020~2024년)

    ~농업경영체수는 감소한 반면 데이터를 활용한 농업경영체는 증가~

  (4)스마트농업 참여기업이 타 기업단체와의 연계·협업을 잇달아 진행

2. 정부의 스마트농업 대응

  ~「스마트농업기술활용촉진법」이 2024년 10월 시행~

3. 농업데이터연계기반협의회 (WAGRI)

  (1)현재의 농업데이터연계기반협의회(WAGRI) 대응

  (2)스마트농업 참여기업의 농업 플랫폼에 대한 견해

  (3)스마트푸드 체인 플랫폼 「ukabis」

4. 농림수산 분야에서의 탈탄소화 대응

  (1)지구 온난화가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2)농림수산성의 온실효과가스 삭감 대책

  (3)J-크레딧 동향

    ~농업분야 J-크레딧 인증량은 약 1만6천tCO2 이상으로~

  (4)스마트농업 기술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고 고품질인 카본크레딧을 생성

  (5)바이엘 크롭사이언스 'regenerative 농업' 추진

  (6)JA·생산자의 J-크레딧(논벼 중간건조 연장) 사용자 조사결과

    ①논벼 중간건조기간 연장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 인지도

    ②논벼용 J-크레딧(중간건조 연장)에 대한 관심도

  (7)수소·전동농기계 연구개발

    ~CO2 제로 에미션화를 위해 농기계 탈탄소를 신속하게 진행~

  (8)스마트농업 참여기업의 친환경 농업에 대한 견해·대응

5. 해외에서 스마트농업을 전개하고 있는 주요 기업

6. 주요 참여업체 동향

  (1)재배지원 솔루션

    ①농업 클라우드

     ~농업∙식품산업기술총합연구기구가 일본 국내 최초! 농업특화형 생성AI 개발, Kubota도 생성AI 전개 예정~

    ②복합환경 제어장치

     ~소프트뱅크 「e-kakashi」를 기업에서 분사하여, 전 직원이 새 회사를 설립~

    ③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농업 이외에도 방재분야용 제품이 등장~

  (2)판매지원 솔루션

    ~SERAKU의 '녹색 클라우드 편리한 배송' 대폭적인 생력화(省力化) 효과~

  (3)경영지원 솔루션~NTT 애그리테크놀로지가 전개하는 'Digital Farmer'가 대규모시설 원예 생산자에게 보급~

  (4)정밀농업

    ①원격 센싱 동향

     ~JA 전농이 전개하고 있는 「xarvio」, JA단위로 보급 확대~

    ②로봇농기계 동향

     ~Kubota 무인농기계(레벨 3) 2026년 실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가속~

    ③스마트이앙기 시스템 보급 상황

    ④스마트이앙기 시스템 시장규모(2017~2024년도 전망)

    ⑤농업용 GPS 안내시스템·자동조종장치 보급 현황

    ⑥농업용 GPS 안내시스템·자동조종장치 시장규모(2012~2023년도)

    ⑦2050년 스마트농업(AI×로봇)의 방향

  (5)농업용 드론 솔루션

    ~드론 농약살포면적 목표인 100만ha 달성

    ①농업용드론 보급 현황

    ②농업드론을 전개하고 있는 주요 기업

  (6)농업용로봇~어시스트형 로봇(제초 로봇)이 보급 확대~

  (7)주요 참여기업의 스마트농업 전개 분야

  (8)주요 참여기업의 스마트농업 카오스 맵

7. 참여기업의 판매동향

  (1)재배지원 솔루션

    ①농업 클라우드~ 서비스 개시 후 6년 만에 등록생산자 수가 4만 명에 근접한 제품도~

    ②복합환경 제어장치~전개하고 있는 제품의 버전업과 초보자용 모델 등이 출시~

    ③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은 지자체와 지역 전체에서 도입이 진행~

  (2)판매지원 솔루션~출하량을 예측하는 솔루션 개발이 진행~

  (3)경영지원 솔루션 

    ~영농지도원 대상 데이터 구동형 원격 영농지원 보급을 기대~

  (4)정밀농업~Kubota 'KSAS'를 푸드밸류 체인 구축으로 발전,

    ISEKI농기계 '환경보전형 스마트농업' 추진~

  (5)농업용 드론 솔루션

    ①농업용 드론 출하 대수(누계) 동향(2018~2024년도 전망)

    ②주요 기업의 농업용 드론 누계 출하 대수

    ③농업용 드론 출하 대수 1위인 DJI JAPAN의 판매 동향

    ④주요 기업의 판매 동향

  (6)농업용로봇

    ~수확로봇에 적합한 농업용 하우스와의 토탈 솔루션으로 제안~

  (7)주요 참여기업의 스마트농업 관련 매출액

8. 스마트농업 현상 과제와 문제점

  (1) 로봇농기계(레벨 3)의 과제·문제점

  (2)솔루션별 스마트농업 현황의 과제·문제점

9. 스마트농업의 향후 사업 방향성

  (1)스마트농업의 잠재 타깃 사용자 수

    ①인증농가

     ~전국 20만 이상의 인증 농가가 타깃~

    ②농작업 수탁사업자

     ~전국 9만채의 농작업을 수탁하고 있는 생산자가 타깃~

    ③농업지원 서비스에 관한 의식·의향 조사결과(2023년)

     ~농업지원 서비스(유상)의 이용률은 26.9%인 결과로~

  (2)탄소농업 크레딧 시장규모(일본 국내)(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①오프셋 프로바이더→크레딧 구매기업 및 단체 기준

    ②오프셋 프로바이더→삭감 생산자·단체 기준

  (3)솔루션별 스마트농업의 향후 사업 방향성

10. 스마트농업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2023년도~2030년도 예측)

  (1)재배지원 솔루션

    ①농업 클라우드

     ~사용자 수는 확대되고 있지만, 저렴한 요금, 무료 플랜도 있어 시장은 약간 증가~

    ②복합환경 제어장치

     ~향후 주요 산지에 의한 대규모 시설원예의 데이터 구동형 농업을 기대~

    ③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대규모 생산자에게 보급 확대, 향후는 J-크레딧을 기대~

  (2)판매지원 솔루션

     ~JA용 솔루션 확대, 향후 AI를 활용한 수요예측을 기대~

  (3)경영지원 솔루션

     ~취득한 농작물 재배용지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영농지도를 기대~

  (4)정밀농업~레벨1 농기계가 혼슈에 보급 확대, 레벨3은 2026년 이후 실용화~

  (5)농업용드론 솔루션

     ~향후는 드론을 통한 변량시비에 이용 확대~

  (6)농업용 로봇~향후는 과수분야에서의 생력화 로봇 보급이 기대~

  (7)스마트농업 총 시장규모 추이

    ①스마트농업 시장 구성비(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②스마트농업 총 시장규모 추이

    ③스마트농업 보급을 위한 제안

제III장 농업생산법인(100개 법인)에 대한 농업ICT 이용의향 조사

 

1. 응답속성

2. 스마트농업 이용동향

  ~스마트농업을 이용하는 것으로 응답한 생산법인은 85%~

3. 스마트농업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최다~

4. 현재 농업생산·농업경영에서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농업

  (1)현재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농업 ~「농업용 드론·인공위성」과

    「PC를 사용한 「경영·생산 관리시스템」이 최다~

  (2)최근 몇 년간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스마트농업 ~농작물 재배용지 물관리 시스템의 이용 동향~

5. 농업생산현장, 농업경영에서 스마트농업의 보급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

  ~'비용에 맞는 도입효과가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최다~

6. 농업분야에서 스마트농업의 보급을 위하여 필요한 조건

  ~보조금 등의 도입지원이 가장 많은 결과로~

7. 향후(1~3년 후) 스마트농업 기술에 대한 설비투자 의욕

  ~'설비투자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겠다는 응답이 절반~

8. 향후 이용해보고 싶은 스마트농업

  ~'자동으로 벌초를 하는 무인 벌초로봇'이 최다~

9. 향후 스마트농업 이용 시 연간 투자가능액

  ~'연간 100만엔 이상'인 응답이 최다~

10. 스마트농업 관련 제품의 인지도 ~소리마치 '농업부기(簿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음~

11. 이용중인 스마트농업제품 ~Kubota 「KSAS」가 가장 많이 이용됨~

12. 이용중인 스마트 농업제품의 평가

  ~워터셀 '애그리노트'와 Kubota 「KSAS」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

13. 향후 이용하고자 하는 스마트농업 제품 ~JA 전농의 「xarvio」가 최다~

14. 농업용드론 동향

  (1)농업용드론의 이용 상황

    ~농업용드론의 이용률은 상승, 절반이 이용중~

  (2)농업용드론을 이용하고 있는 농업생산법인

    ~20ha 이상의 대규모 생산법인이 이용중~

  (3)농업용드론 제조기업의 인지도 ~DJI가 가장 높음~

  (4)농업용드론에 대한 향후 이용 의향

    "앞으로도 이용하지 않는다"가 52%, "현재 이용을 검토"가 38%~

  (5)앞으로 농업용 드론으로 이용해 보고 싶은 솔루션

    ~'농약 살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비료 살포', '농작물 재배용지 센싱'이 뒤를 이음~

15. 농업생산법인의 J-크레딧 이용 의향

  (1) 중간 건조기간 연장에 의한 온실효과가스 배출 삭감에 대한 인지도

    ~중간 건조기간 연장에 의한 온실효과 삭감성을 인지하는 응답자가 60%~

  (2)논벼용 J-크레딧에 대한 관심도

    ‘관심은 매우 있다’, ‘관심은 다소 있다’는 응답이 39.4%~

16. 스마트농업·정밀농업에 대한 자유의견

  ~지역에서 스마트농업을 이용할 수 있는 농업지원 서비스 확충과 과수용 스마트농업기술 개발 희망~

 

<농업생산법인(100법인) 개별조사표>

1) 논벼 <68개 법인>

  □(유)팜키토라

  □(농)시베쓰농원

  □(농)피리카팜

  □(유)아쓰마팜

  □(주)구레쓰보농장

  □(유)PFT 서비스

  □(농)미즈호파밍

  □(주)미야기시라토리농원

  □(유)애그리드나루세

  □(유)카와구치그린센터

  □(유)카나자와

  □(유)키타우라고

  □(농)슈자와팜

  □(유)드림즈팜

  □(농)리조넷

  □(주)마이스터

  □(농)나리유조합

  □(유)야마가타가와니시 산직센터

  □(유)덴파타

  □(농)애그리테크 도치기

  □(농)도쿠다농산

  □(유)나카조농산

  □(유)선라이스 우오누마

  □(유)팜링클

  가타

2. 농원예(채소·과수·화훼) <32개 법인>

  □(유)썬팜

  □(유)나라오카팜

  □(유)이와테 원예

  □(유)매쉬가든

  □(유)기쿠치 농산

  □(유)마루세이 과수원

  □(유)다테수이미쓰엔

  □(유)다카하시농원

  □(주)테루누마

  □(주)간토지구 무카시가에리노카이

  □(주)가제노오카팜

  □(주)카나이팜

  □(농)무라고쿠

  □(농)도부큐콘플랜트조합

  □(농)One

  □(주)사토농원

  □(주)머쉬앤푸르츠

기타

제IV장 스마트농업 유력 참여기업 개별 동향

 

□AGRIST(주)

~기술로 농업과제를 해결하는 벤처기업, 농업용 AI를 개발~

 

□(주)Agrihub

~농작업 관리 앱 '애그리허브'에 지도상에서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농작업 맵' 기능 추가, 대규모 논벼 농가 도입도 진행~

 

□(주)아메카제타이요

~생산자와 소비자의 교류를 가속화하여 분단해소와 추가적인 사업성장으로~

 

□이서포트링크(주)

~신선품 수발주 시스템으로 "한 입의 행복을 지탱하고 있다." ~

 

□이세키농기(주)

첨단기술 활용과 타업종 연계 추진으로 환경보전형 스마트농업 구현~

 

□inaho(주)

~자동 채소수확 로봇을 중심으로 한 생산자용 서비스 제공~

 

□(주)인터넷이니셔티브

~농촌지역의 정보통신 환경정비와 스마트농업 구현으로 지역활성화에 기여~

 

□워터셀(주)

~농업 정보플랫폼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에 기여~

 

□SB테크놀러지(주) (리덴(주))

~PERSOL Global Workforce와 외국인력 파견·소개에 관한 업무제휴 계약 체결~

 

□XAG JAPAN(주)

~농업용드론 'P100 Pro' 발매, 효율적인 농작업 구현~

 

□(주)NTT애그리테크놀로지

~차세대 시설원예 추진으로 '생산성 향상'과 '환경부하 경감' 모두 구현~

 

□NTT커뮤니케이션즈(주)

~카본크레딧 비즈니스의 추진으로 탈탄소사회 실현에 기여~

 

□(주)NTT데이터

~「아이사쿠®」를 중심으로 JA의 과제 해결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주)에노와

~논의 물관리를 스마트폰으로 실시하는 「paditch」를 개발, 일본 전국적으로 보급~

 

□(주)옵팀

~독자적인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로 일본 농업 DX 추진~

 

□(주)kikitori

~nimaruJA, 일본 전국 각지의 JA에서의 도입이 진행된다~

 

□(주)Kubota

~자동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한 레벨3 무인농기계를 2026년에 일본 국내 실용화 목표~

 

□그린(주)

~「e-kakashi」의 추가적인 성장을 목적으로, 소프트뱅크에서 개발·운영을 담당한 사원이 새 회사를 설립~

 

□국제항업(주)

~리모트센싱 기술을 더욱 연마하여, 「텐바레」의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함~

 

□지오써프 (주)

~독자적인 위치정보 솔루션으로 정밀농업 지원~

 

□(주)SERAKU

~유통 및 판매업무 효율화를 지원하여 농업 공급망 전체 고도화에 기여~

 

□전국농업협동조합연합회(JA전농)

~「Z-GIS」와 「xarvio® FIELD MANAGER」로 스마트농업 보급을 목표로 함~

 

□ 소리마치(주)

~농업이익창조연구소, JA전국농업협동조합중앙회, 농림중앙금고와 파트너십 협정 체결~

 

□DJI JAPAN(주)

~효율성과 안정성을 자랑하는 플래그십 모델 'AGRAST50' 발매~

 

□(주)DATAFLUCT

~청과물 중도매용 매입·판촉지원 서비스 「Fresus」를 전개~

 

□(주)Tmsuk

~workroid(노동용 로봇)로 농업사업자의 작업을 보조, 생력화 농업을 목표로 함~

 

□(주)텐치진

~활용 가능성이 풍부한 위성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주적 시점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현~

 

□(주)탑콘

~초보자용 모델 출시로 IT농업 보급 촉진~

 

□드론재팬(주)

~드론만의 데이터분석 지원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농업 지원~

 

□(주)나일웍스

~팜솔루션 확충으로 농자재 진화에 기여~

 

□(주)니콘 트림블

~독자적인 보정 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자동 조종시스템 전개~

 

□NEC Corporation

~「CropScope」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

 

□(주)NEWGREEN

~‘아이가모로보’(잡초 성장 억제용 로봇), '쌀 유통', '농업용 자재'로 녹색시장을 노린다~

 

□(주)농업정보설계사

~세계적으로 내비게이션 앱의 기능 강화를 추진하여 ‘슈퍼 앱’화를 목표로 함~

 

□(주)농업종합연구소

~자체 농산물 유통플랫폼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산업 실현을 목표로 함~

 

□Bayer CropScience K.K.

~타사와의 협조 연계 확대로 regenerative 농업 추진~

 

□Panasonic Production Engineering (주)

~ 토마토 수확 솔루션 / 토마토 자동 수확 로봇 개발 중~

 

□(주)하렉스

~실시간으로 핀포인트 및 상세한 기상정보로 농작업 효율화 지원~

 

□(주)히타치 솔루션즈 동일본

~농작물 재배용지 관리시스템을 비롯한 농업지원 어플리케이션 전개~

 

□(주)farmo

~독자적 기술을 담은 '맞춤형' 상품으로 지역사회의 과제를 해결~

 

□프리(주)

~농업 생산자용 「freee회계」이용자수는 순조롭게 확대, 농업경영 효율화에 기여~

 

□Magellan Systems Japan(주)

~제3세대 기기의 CLAS 대응 멀티 GNSS수신기 「Regulus」의 본격적 전개, 수요 전환이 진행~

□Yamaha Motor(주)

일본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농업 비즈니스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함~

 

□YANMAR AGRIBUSINESS(주)

~최첨단 농기계 x 데이터 활용으로 농업분야 과제 해결에 기여~

 

□Routrek Networks, Inc.

~일본에서 연마한 디지털 농업기술을 동남아 지역으로 보급하여 지속가능한 사회에 기여~

 

□(주)레그민

~파 조제기를 개발, 수확 후 파뿌리 썰기를 생력화~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