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가 높아지는 탄소농업(Carbon Farming)·환경재생형 농업의 동향과 장래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06300
발간일
2024/10/31
체재
A4 / 313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313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일본의 연평균 기온은 100년당 1.30℃의 비율로 상승하고 있으며, 2024년 일본의 여름 평균 기온은 관측역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현저한 고온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규모로 일어나고 있으며, 유엔환경계획(UNEP)의 최신 배출갭 보고서는 '현행 정책'대로라면 세계 평균기온은 금세기 중 최대 3.1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하고 있다

농림수산업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영향을 쉽게 받아 고온에 의한 품질 저하 등이 이미 발생했으며, 강우량 증가 등에 의해 재해가 늘면서 농림수산 분야에서도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일본의 GHG 배출량(2022년도)은 11.7억 3,500t으로, 이 중 농림수산 분야는 전체 배출량 4,790만t의 4.2%를 차지하고 있다. 농업 분야의 배출의 경우, 논과 가축의 소화관 내 발효, 가축 배설물 관리 등에 의한 메탄 배출 등이 주된 요인이다.

따라서 농업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이 시급하다. 대기 중의 CO2를 토양에 저장해 토양의 질을 향상시켜 온실효과 가스의 배출 감축을 목표로 하는 탄소농업(Carbon Farming)과 바이오 숯을 비롯해, 농지의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해 자연환경 회복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환경재생형 농업(Regenerative Agriculture)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해외의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의 대응과 농업 분야의 J-크레딧 동향을 조사함으로써 향후의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조사개요

ㆍ조사목적: 일본·해외에서의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의 대응과 농업 분야에서의 J-크레딧 동향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

ㆍ조사대상 제품:

·바이오 숯

·벼농사 크레딧(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AWD 등)

·낙농 크레딧(소화관 내 발효대책, 가축 배설물 관리대책, 등)

·환경재생농업

ㆍ조사대상처:

·탄소 크레딧 참여 기업·단체

·전국 JA(벼농사 분야: 64건, 낙농 분야: 20건)

·기타 대학, 관련 관공서·협회

ㆍ조사항목: 목차 참조

ㆍ조사기간: 2024년 5월~2024년 10월

ㆍ조사방법: 당사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 및 전화취재 실시

◆자료 포인트

ㆍ일본 국내, 해외의 탄소농업, 환경재생형 농업의 동향을 게재

ㆍ벼농사 주요 지역의 JA에 중간물떼기 연장 가능성, J-크레딧 이용 의향·바이오 숯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ㆍ홋카이도 내 JA에 낙농의 메탄 감축 대책 및 J-크레딧 이용 의향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목차
Close

제1장 온실효과가스 감축을 위한 대처 동향

1. 일본의 농업 분야 온실가스 감축 대책

  (1)지구 온난화가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2)농림수산성의 온실효과가스 감축 대책

  (3)J-크레딧 동향

2. 해외 농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대책

  (1)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2)메탄가스 배출량

  (3)미국의 농업 분야 온실효과가스 대책

  (4)EU의 농업 분야 온실효과가스 대책

  (5)낙농축산 강국 뉴질랜드의 농업 분야 온실가스 대책

제Ⅱ장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의 대처 동향

1. 일본에서 탄소농업에 대처하는 기업

  (1)주식회사 TOWING

    ~고기능 바이오 숯 '소라탄(宙炭)'을 전개,

    지속가능한 차세대 농업을 기점으로 하는 초순환사회의 실현을 목표~

  (2)Green Carbon 주식회사

    ~논 크레딧 지원, 국내 최대 규모 '벼농사 컨소시엄' 운영~

  (3)주식회사 페이거

    ~농업 유래 카본크레딧의 생성을 통해,

    세상을 더 지속가능하게. 사회의 공정함을 지향~

  (4)주식회사 팜노트데일리플랫폼

    ~'사람이 행복, 소도 행복한 목장을 넓히다'를 목표로,

    낙농 탄소중립 추진~

  (5)그 밖에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을 전개하고 있는 기업·단체

    ①바이오 숯 ~마루베니, 기린홀딩스 등이 바이오 숯에 진출~

    ②벼농사 중간물떼기 연장 ~구보타, 미쓰비시상사, NTT 커뮤니케이션 등이 전개~

    ③낙농 크레딧 ~아지노모토, 메이지그룹 등이 낙농 크레딧을 전개~

2. 일본의 환경재생형 농업 동향

  (1)환경재생형 농업이란

  (2)유기 농업과 환경재생형 농업(자연농법)의 비교

  (3)일본의 환경재생형 농업 대처 동향

3. 스마트농업을 이용한 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의 대응

  ~스마트 농업기술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고 고품질의 탄소배출권 생성~

4. 해외에서의 탄농업·환경재생형 농업의 대응

  (1)탄소농업·환경재생형 농업

    ~바이엘 등의 대기업 아그리 비즈니스와

    미쓰이물산 등이 환경재생형 농업에 참여~

  (2)바이오 숯

    ~마이크로소프트, 바이오 숯에 역대 최대 규모 계약,

    EU에서도 최대급 바이오탄 플랜트가 가동~

  (3)낙농 크레딧

    ~소의 트림에 의해 배출되는 메탄 감소 효과가 높은

    카기케노리의 상업화가 진행~

5. 친환경 농산물·축산물의 실수요자 대응

  (1)농수성 환경부하 저감대책 '가시화' 라벨 개시

  (2)국내·해외의 친환경 농산물·축산물 실수요자 대응

6.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 조사

  (1)정부의 여론조사

  (2)당사 조사에서의 지속가능한 푸드의 구입 이용 실태

    ①유기 JAS 인증 채소에 관한 소비자 조사

    ~유기 JAS 인증 채소의 인지상황~

    ~유기 JAS 인증 채소의 구입현황 ~

    ~유기 JAS 인증 채소의 허용가격~

    ②식물 유래 대체육(콩고기 등)에 관한 소비자 조사

    ~식물 유래 대체육(콩고기 등)의 인지상황 ~

    ~식물 유래 대체육(콩고기 등)의 구입, 시식상황 ~

    ~식물 유래 대체육(콩고기 등)의 허용가격 ~

    ③애니멀 웰페어 축산물에 관한 소비자 조사

    ~애니멀 웰페어 축산물 인지상황~

    ~애니멀 웰페어 축산물 구매현황~

    ~애니멀 웰페어 축산물 구입의향~

    ④MSC/ASC/MEL 인증 수산물 관련 소비자 조사

    ~MSC/ASC/MEL 인증 수산물의 인지상황~

    ~MSC/ASC/MEL 인증 수산물 구입현황 ~

제III장 JA에서의 J-크레딧 이용의향 설문조사

■벼농사 분야의 탄소농업 설문조사

1. JA(벼농사)의 탄소농업 설문지 회수결과

2.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의 인지도

3.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에 따른 J-크레딧 제도의 인지도

4. J-크레딧을 실시하고 있는 과제(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에 대처하고 있는 JA)

5.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J-크레딧)에 대응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모든 JA 대상)

6. 지역 전체에서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7일간 연장 가능성

7. 지역에서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7일간 연장 가능성 응답 이유

8. 수도용 J-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의 이용의향

9. 수도용 J-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의 이용의향 회답 이유

10. 바이오 숯 벼농사 담당자의 인지도

11. 바이오 숯을 이용상 과제

12. 바이오 숯에 의한 J-크레딧 제도의 인지도

13. 벼의 왕겨 처리방법

14. 향후 바이오 숯 이용의향

15. 향후 바이오 숯 이용의향의 이유

16. 바이오 숯이 보급되기 위하여 필요한 것

17. 벼의 J-크레딧(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바이오 숯)에 대한 자유회답

<벼농사(64JA) 설문조사 개별조사표>

■낙농분야 탄소농업 설문조사

 

18. JA(낙농)의 탄소농업 설문지 회수결과

19. 낙농 분야의 온실가스(메탄가스) 감축 대책 실시 여부

20. 온실가스(메탄가스) 감축 실시 내용(대책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JA)

21. 온실가스(메탄가스) 감축 대책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대책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JA)

22. 낙농 분야에서의 J-크레딧 제도의 인지도

23. 향후 낙농용 J-크레딧 이용의향

24. 낙농용 J-크레딧 이용의향 이유

25. 온실가스(메탄가스 감축) 대책이 보급되기 위해 필요한 것

26. 온실가스(메탄가스 감축) 대책에 대한 자유회답

<낙농(20JA) 설문 개별조사표>

제Ⅳ장 탄소농업 시장규모

1. 바이오 숯 시장규모

  (1)바이오 숯이란

  (2)바이오 숯의 장점·단점

  (3)바이오 숯의 과제를 해결하는 ‘고기능 바이오 숯’

    ①고기능 바이오 숯 도입 효과

    ②고기능 바이오 숯 양산화 시작

  (4)바이오 숯 일본 출하량 추이 예측(2023년도~2030년도 예측)

  (5)바이오 숯 CO2 감축량(저류량 기준) (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6)바이오 숯 크레딧 인증량(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7)바이오 숯 크레딧 시장규모(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①오프셋 프로바이더→크레딧 구입 기업 및 단체 기준

    ②오프셋 프로바이더→감축 생산자·단체 기준

2. 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시장규모

  (1)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이란

  (2)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에 대한 과제

    ①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의 연장으로 수확량이 저하되는 한편, 품질이 향상되는 경우도

    ②지역에 따라 J-크레딧 창출량이 달라

  (3)벼농사에서의 메탄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론으로 추경·건전·직파도 검토해야 한다

  (4)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CO2 감축량(저류량 기준) (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5)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크레딧 인증량(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6)벼농사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크레딧 시장규모(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①오프셋 프로바이더→크레딧 구입 기업 및 단체 기준

    ②오프셋 프로바이더→감축 생산자·단체 기준

3. 낙농 크레딧 시장규모

  (1)낙농 분야의 온실효과가스 감축대책

  (2)낙농 생산자가 온실효과가스 대책에 임하는 데 있어서의 과제

  (3)신기술 개발(루멘 미생물 제어)

  (4)낙농 CO2 감축량 (저류량 기준) (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5)낙농 크레딧 인증량(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6)낙농 크레딧 시장 모(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①오프셋 프로바이더→크레딧 구입 기업 및 단체 기준

    ②오프셋 프로바이더→감축 생산자·단체 기준

4. 일본 탄소농업 시장규모 추이 (2023년도~2030년도 예측)

  (1) CO2 감축량(저류량 기준) (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2) CO2 크레딧 인증량(일본) (2023년도~2030년도 예측)

  (3)탄소농업 크레딧 시장규모(일본)(2023년도~2030년도 예측)

    ①오프셋 프로바이더→크레딧 구입 기업 및 단체 기준

    ②오프셋 프로바이더→감축 생산자·단체 기준

5. 해외 탄소농업 시장규모 추이

  (1)바이오 숯

    ①바이오 숯 최대 감축 잠재력

    ②바이오 숯 온실가스 감축 가능량(2025년→2030년)

    ③바이오 숯 크레딧 시장규모(2025년→2030년)

  (2)논 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AWD)

    ①세계에서의 벼농사 면적

    ②간헐관개 기술(AWD)

    ~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메탄가스 감축과 비용절감을 모두 실현~

    ③논 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AWD) 최대감축 잠재력

    ④논 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AWD) 온실가스 감축 가능량(2025년→2030년)

    ⑤논 크레딧(중간물떼기 기간 연장, AWD) 시장규모 (2025년→2030년)

  (3)낙농 크레딧

    ①세계의 소 사육 마릿수

    ②낙농 크레딧 최대 감축 잠재력

    ③낙농 크레딧 온실가스 감축 가능량(2025년→2030년)

    ④낙농 크레딧 시장규모(2025년→2030년)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