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스포츠 관련 숍의 지역 마케팅 전략(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09400
발간일
2024/08/22
체재
A4 / 20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0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야노경제연구소가 보유하는 스포츠 관련 숍, 스포츠 시설의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지역별, 기업별, 스토어 브랜드별 등에서 경쟁환경, 출점 사례를 분석. 기존 점포의 입지환경을 인구통계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고찰했다. ABC마트, Alpen, XEBIO 등 스포츠 관련 유력기업의 출점 로케이션 사례를 상세하게 분석한 유일무이한 데이터를 담았습니다. 스포츠 숍의 점포 개발 담당자님을 비롯해 스포츠 관련 기업에서 지역 마케팅 업무에 종사하는 업계 관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조사개요

조사대상 기업:

Ⅰ. 슈즈숍 3사 입지환경 분석

주식회사 ABC마트, 주식회사 Chiyoda, 주식회사 G-FOOT

Ⅱ. 스포츠숍 4사 입지환경 분석

주식회사 Alpen, XEBIO홀딩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MEGA SPORTS, 주식회사 HIMARAYA

Ⅲ. 피트니스 시설 입지환경 분석

당사에서 확인된 일본의 민간 피트니스 시설

조사실시기간: 2023년 7월~2024년 7월

조사방법: 점포정보는 각종 웹사이트에서 수집, 통계정보는 당사GIS(지도정보시스템)에서 집계하고 조사원이 관련 자료조사 및 면접·전화취재를 실시

조사사항: 조사대상 기업의 슈즈숍 3사, 스포츠숍 4사 및 전국의 민영 피트니스 시설의 데이터를 수집한 후, GIS(지도정보시스템)에 임포트 해, 지역별, 기업별, 브랜드별, 업태별 등에 입지환경을 조사. 현재 시장 동향에 대해 인구통계를 종합해서 정량적으로 고찰했다.

◆자료 포인트

• 지역 마케팅의 적확한 분석수법, 분석 포인트를 소개하는 것과 동시에, 실제로 스포츠 관련 주요 점포, 시설의 경합 환경을 조사해, 신규 출점을 피해야 하는 지역, 타깃 지역의 힌트를 제공합니다.

• 소비의 중심이 EC로 전환하는 가운데, 리얼 점포가 하는 역할은 사업 활동에서 아직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리테일 사업자는 지역 마케팅의 리터러시를 지금까지 이상으로 갈고 닦을 필요가 있습니다. 본 자료는 지역 마케팅에 처음 종사하시는 분과 오랜 세월에 걸쳐 상권 조사에 종사하시는 분도 참고할 만한 데이터가 가득합니다. 실패하지 않는 출점 전략을 입안하는데 있어서도, 본 자료를 활용해 주세요.

목차
Close

[조사결과의 포인트]

Ⅰ. 지역 마케팅의 기초 지식

1. 지역 마케팅 파악방법

  (1)지역 마케팅의 중요성

  (2)지역 마케팅 파악방법

  (3)GIS(지도정보시스템)에 대하여

  (4)지역 마케팅 단계

  (5)지역 마케팅의 포인트

2 국세조사(國勢調査)에 대해

  (1)국세조사의 조사대상과 조사항목

  (2)주민기본대장과의 차이

  (3)종업지·통학지에 의한 인구

  (4)교통 수단

  (5)일본의 인구 증감(인구조사 2020년판과 2015년판의 비교)

  (6)일본의 인구 증감의 포인트

3. 3종류 인구 차이

  (1)인구의 종류

  (2)인구의 지표

  (3)3종류의 인구로 알 수 있는 것

Ⅱ 슈즈숍 3사 지역 마케팅

1. 슈즈숍 입지환경

  (1)입지환경 분석 개요

  (2)기업별 입지환경

  (3)기업별 전철역 앞형 점포 실태

  (4)기업별 교외형 점포 실태

  (5)브랜드별 영업점포 입지환경

  (6)폐점 점포의 입지환경

2. 상권 잠재력 랭킹

  (1)도도부현별 1점포당 인구

  (2)시구정촌별 1점포당 인구 랭킹 상위

  (3)전철역 앞형 1점포당 인구 랭킹(반경 1km) 상위·하위

  (4)역 앞형 점포 상권 점포 수 랭킹(반경 1km) 상위

  (5)교외형 1점포당 인구 랭킹(반경 3km) 상위·하위

  (6)교외형 점포 상권 점포 수 랭킹(반경 3km) 상위

3. 조사결과의 포인트

  (1)슈즈숍 통계 정리

  (2)기업별 입지환경 정리

  (3)브랜드별 입지환경 정리

Ⅲ 스포츠숍 4사의 지역 마케팅

1. 스포츠숍의 입지환경

  (1)입지환경 분석 개요

  (2)기업별 입지환경

  (3)기업별 전철역 앞형 점포 실태

  (4)기업별 교외형 점포 실태

  (5)브랜드별 영업점포 입지환경

  (6)폐점 점포의 입지환경

2. 상권 잠재력 랭킹

  (1)도도부현별 1점포당 인구

  (2)시구정촌별 1점포당 인구 랭킹 상위

  (3)전철역 앞형 1점포당 인구 랭킹(반경 1km) 상위·하위

  (4)역 앞형 점포 상권 점포 수 랭킹(반경 1km) 상위

  (5)교외형 1점포당 인구 랭킹(반경 3km) 상위·하위

  (6)교외형 점포 상권 점포 수 랭킹(반경 3km) 상위

3. 조사결과의 포인트

  (1)스포츠숍 통계 정리

  (2)기업별 입지환경 정리

  (3)브랜드별 입지환경 정리

Ⅳ 피트니스 시설의 지역 마케팅

1. 피트니스 시설의 입지환경(업태별 비교)

  (1)입지환경 분석 개요

  (2)업태별 입지환경

  (3)업태별 전철역 앞형 시설의 실태

  (4)업태별 교외형 시설의 실태

  (5)브랜드별 기존시설 입지환경

  (6)폐점시설의 입지환경

2. 상권 잠재력 랭킹

  (1)도도부현별 시설당 인구

  (2)시구정촌별 시설당 인구 랭킹 상위

  (3)시설별 시설당 인구 랭킹(반경 2km) 상위·하위

  (4)상권 시설 수 랭킹(반경 2km) 상위

3.구역별 참가인구와 출점여지 지역 추계

  (1)지역별 참가인구 추계

  (2)출점여지 지역의 추계

4. 조사결과의 포인트

  (1)피트니스 시설 통계 정리

  (2)업태별 시설 수 구성비

  (3)입지별 시설 수 구성비 추이

  (4)브랜드별 입지환경 정리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