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농약산업백서(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본 조사리포트는 농약 시장 참가기업의 농약사업의 방향성과 기업전략 및 취급상품의 동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농약 시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했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당 조사는 농약 시장 참가기업의 농약사업 방향과 기업전략 및 취급상품 동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농약 시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제품:
□농약 [원제, 제제]
(살충제, 살균제, 살충·살균제, 제초제, 미생물·생물농약, 기타)
조사대상처:
□농약 시장 참가기업(17사)
(일본 농약 원제·제제 메이커: 11사, 외국계 메이커·상사: 6사)
□농약 관련 업계 단체·관공서, 기타
조사항목: 후기 목차 참조
조사기간: 2024년 11월~2025년 2월
조사방법: 폐사 전문연구원이 직접 면접취재 및 전화, 앙케트조사를 실시.
◆자료 포인트
• '그린 식량 체계 전략' 수립으로 주목되는 농약 각사의 IPM, ICM 제공을 위한 방향성
• 세계적 재편이 진행되는 농약·종자 메이저의 동향과 방향성
• 대형 농약 메이커가 대응하는 토탈 솔루션 서비스
• 원제·제제, 농·비농경지 등 종합농약 메이커 전략
• 수요분야(농·비농·가정)별 종류별 농약 구성비
• 종류별 농약 수요분야 시장 구성비 게재
• 수요분야별·종류별 농약 시장규모·시장 예측
• 참가기업의 농약사업 전략 분석(일본 국내외·생산·유통 외)
• 유력 농약 시장 참가 25~30사 상세개별기업 동향
<2023년판과의 차이>
· 특집 게재 '주목되는 바이오스티뮬런트의 동향'
· 벼 작황 불량·수량 감소에 대응하는 각종 대책 동향
· 2023년도 시장 구성비·메이커 점유율 게재
· 2032년도 농약 시장 전망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의 포인트
1. 농약 시장 개황(농약 총 시장규모 추이: 2019~2023년도)
2. 기업동향
(1)일본국내용 농약제제 시장의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2)일본 농약 메이커 동향
①일본국내 원제 메이커 동향
②일본 제제 메이커 동향
③외국계 메이커의 일본 전개 동향
3. 농약 시장의 과제와 전망
(1)농약의 시장 확대 요인과 저해 요인
(2)일본국내 원제·제제 시장의 시장규모 예측
제1장 농약 마켓의 관련 동향
1. 농약 시장의 성장과 변혁 ~환경규제와 지정학 리스크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
(1)수요 확대와 규제 강화 사이에서 흔들리는 농약업계
(2)농약·종자 업계의 재편~새로운 경쟁의 개막~
(3)세계의 주요 농약 메이커에 의한 환경 부하 저감과 지속 가능한 농업에의 대응
①바이오농약 개발 및 보급
~주요 각사가 함께하는 그린 케미스트리 추진~
②농약 메이커의 디지털 농업기술 도입 및 전개
~데이터 구동형 농업의 진화와 지속가능한 생산의 실현~
2. 해외 유전자재조합작물의 보급상황
3. 스마트 농업시장 개요
(1)스마트 농업이란
(2)스마트 농업이 요구되는 배경
①2030년 일본 농업경영체 절반으로 감소.
기존 생산으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할 수 없는 사태로
②해외 농업이 안고 있는 과제·문제점
(3)농업용 드론 솔루션
~드론 농약살포면적 목표인 100만ha 달성~
①농업용 드론 보급 현황
②농업 드론을 전개하고 있는 주요 기업
(4)농약 살포에 대한 농작업 도급 현황
4. 확대되는 법인영농 ~농업 취업구조 변화와 법인영농 확대~
(1)기간적 농업 종사자 수 추이(2011~2023년)
(2)조직형태별 농지소유적격법인(농업생산법인) 수 추이(2010~2022년)
~농업생산법인 수는 21000개를 돌파~
(3)주요 생산작물별 농업생산법인 구성비(2023년)
~쌀·보리 작법인은 2023년 총수로 9,822법인~
(4) 대규모 농가용 규격 농약의 보급 추진
5. 생력화가 도모되는 벼 직파재배 면적의 추이
~최근 20년간 3배로 확대, 직파재배용 제제도 확충~
6. 거드닝·텃밭 시장의 확대와 변화
(1) 원예·텃밭 시장규모 추이 (2020~2024년도(전망))
(2)상품별 구성비(2023년도)
(3)가드닝·텃밭 시장 전망
7. 도시농업을 둘러싼 정세~그린 인프라로서 도시형 농지 가치를 재정의~
(1)도시농업에 대한 관심 고조
~텃밭·대여농원 등은 수도권·주쿄권·긴키권 3대 도시권에 많이 존재~
(2)차별화가 관건인 대여농원 사업
~농업체험의 장을 넘어 재해대책으로도 이어지는 대여농원~
8. 농림수산분야의 바이오 연구동향
(1)유전자조작(생물 등)규제법의 개요
(2)유전자조작(생물 등)규제법에 따른 제1종 사용규정이 승인된 유전자 조작 농작물 일람
9. 식물생장조정제 시장동향
(1)시장 개황
(2)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식물생장조정제)
(3)식물생장조정제 메이커 점유율
(4)식물생장조정제 메이커별 정제 일람(2023년도)
10. '그린의 식량 체계 전략' 책정으로 주목되는 농약 각사에 따른 IPM, ICM 제공을 위한 방향성과 화학농약 사용량(리스크 환산) 절감에 대한 대응, RNA 농약 등 신규 농약 개발 현황
(1)종합적 병해충·잡초 관리(IPM) 실천 지침
(2)Arysta LifeScience, 바이오스티뮬런트를 ICM의 기둥으로 전개
(3)AGRO-KANESHO와 SDS Biotech사에 의한,
바이오 농약분야에서의 협업 강화와 IPM 대응에 대한 대처
(4)Bayer Cropscience, 논 제초에서 맞춤형 농업 실현을 목표로 한다
(5)AgroDesign Studios, 분자표적형 신규농약을 개발
(6)RNA 농약 추진, 차세대 농약으로 실용화
(7)미국 GreenLight Biosciences, RNA 농약 판매 개시
11. 벼의 작황 불량·수량 감소에 대응하는 각종 대책의 동향
(1)고온·다습 환경에 대응한 병해충 방제 기술의 진화
(2)작물 스트레스 경감형 농약(바이오스티뮬런트 등)의 활용
(3)벼 병해충 대책에 있어서 농약의 구분과 향후 대응책
제Ⅱ장 시장의 현상 분석과 전망
1. 농약 시장규모 추이
(1)총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2)총 시장 구성비(2023년도)
(3)농약원제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①원제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②수 입원제·제제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4)농약제제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2. 농약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1)농약원제 시장(2023년도)
①원제 시장 구성비(일본/수출)
②일본국내 원제 시장(2023년도)
③수출원제 시장(2023년도)
(2)농약제제 시장(2023년도)
3. 참가기업 동향
(1)일본국내 원제 메이커 동향
(2)일본 제제 메이커 동향
(3)외국계 메이커의 일본 전개 동향
(4)미생물·생물농약 메이커 동향
※ 미생물·생물농약 등록·출하 상황 일람
(생물농약 살충제/BT제/생물농약 살균제/합성 페로몬제)
4. 유통채널 동향 ~ 홈센터 업계 동향과 유력기업~
(1)홈센터 시장의 현황
(2)홈센터 시장의 업계 재편
5. 농약 메이커의 제휴관계·합작사업
6. 수요분야별 시장동향
(1)농경지 분야
①시장 개황(농작물의 작부 면적 추이: 2014~2023년)
②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2)비농경지 분야
①시장 개황(종류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3)가정 원예 분야
①시장 개황(종류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7. 종류별 시장분석
(1)살충제
①시장 개황(수요분야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참가기업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③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와 시장전망
(2)살균제
①시장 개황(수요분야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참가기업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③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와 시장전망
(3)살충·살균제
①시장 개황(수요분야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참가기업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③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와 시장전망
(4)제초제
①시장 개황(수요분야별 시장 구성비:2023년도)
②참가기업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③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와 시장전망
8. 미생물·생물농약 시장
(1)시장개요
(2)참가기업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타입별 동향과 메이커 점유율~
(3)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와 시장 전망
9. 농약의 시장 확대요인과 저해요인
10. 농약 시장의 시장규모 예측(2024~2032년도)
(1)일본국내 원제·제제 시장
(2)수요분야별 시장
(3)종류별 시장
(4)미생물·생물농약 시장
제III장 유력 농약 메이커의 사업전략 분석
1. 일본전략
2. 해외전략
3. 신제품과 개발동향
4. 생산·상품구입 체제
5. 유통·판매 대책
6. 현재 문제점과 과제
7. 향후 사업전략
제Ⅳ장 <특집> 주목되는 바이오스티뮬런트의 동향
1. 일본 국내외 기후변화 현황
(1)세계의 기온상승(1901~2022년)
(2)일본의 기온상승(1901~2022년)
(3)일본의 호우 발생 횟수 추이(1976~2022년)
(4)전세계 토양염해에 대하여
2. 환경보전형 농업에 대하여
3. 그린 식량 시스템 전략동향
4. 바이오스티뮬런트 시장 개황
(1)일본 바이오스티뮬런트
(2)유럽 바이오스티뮬런트
(3)미국 바이오스티뮬런트
5. 바이오스티뮬런트 자재 시장규모(비료등록 등의 유무)
(1)비료 등록 등이 있는 바이오스티뮬런트 자재에 대하여
(2)비료 등록 등이 없는 바이오스티뮬런트 자재에 대하여
(3)시장규모
6. 바이오스티뮬런트 자재 시장규모(기능성 주성분별)
(1)바이오스티뮬런트의 분류
(2)시장규모
7. 농약 메이커에서의 바이오스티뮬런트의 동향
제V장 유력 농약 메이커의 개별 실태(17사)
<일본 농약 메이커(11사)>
AGRO-KANESHO오
OAT Agrio
Kyoyu Agri
KUMIAI CHEMICAL INDUSTRY
KUREHA
SUMITOMO CHEMICAL
Nissan Chemical
Nippon Kayaku
NIHON NOHYAKU
Hokko Chemical Industry
Mitsui Chemicals Crop & Life Solutions
<외국계 메이커·상사(6사)>
Arysta LifeScience
Corteva Agriscience
Summit Agro International
Tokai Trading
Nagase Sanbio
Bayer Crop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