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판 동남아시아의 반도체 시장동향과 향후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15920
발간일
2025/02/27
체재
A4 / 160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작금의 생성 AI 등의 신기술 성장과 함께 향후도 급속한 확대가 전망되는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그 수요를 충족시키는 신지역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동남아시아의 반도체 시장이다.

본 리포트에서는 이 지역의 반도체 시장을 리드하는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또한 최근 성장이 두드러지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주변국인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포함한 각국의 반도체와 관련된 촉진정책부터 참여기업의 상황까지를 파악해, 현재와 향후의 반도체 공급망 구조를 밝힘으로써 반도체 재료와 제조장치 분야에 강점을 가진 일본기업의 새로운 사업기회를 탐색, 또한 향후 사업전략의 입안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최근의 생성AI 등 신기술의 성장과 함께 향후도 급속한 확대가 전망되는 세계 반도체 시장. 한편, 미·중의 무역전쟁 등에 기인한 지정학적인 긴장 고조를 배경으로 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양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공급망의 갭 수요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지역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동남아시아 반도체 시장이며, 본 리포트에서는 그 개요를 조사하고 시장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일본 기업의 새로운 사업기회 탐색, 또한 향후 사업전략 입안에 이바지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조사대상: 본 보고서에서는 동남아시아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싱가포르 및 말레이시아, 또한 최근 성장세가 뚜렷한 베트남을 중심으로 주변국인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포함한 6개국의 반도체 정책과 투자 상황, 유력 기업의 동향에서 동남아시아의 반도체 시장의 지금과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했다.

또, 기업은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팹리스(Fabless), 파운드리(Foundry) 및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를 대상으로 했다.

• 조사방법:

(1)당사 연구원의 대면취재(온라인회의 포함)

(2)문헌조사 기타 데이터 수집

• 조사기간: 2024년 10월~2025년 2월

◆자료 포인트

• 세계 분단을 배경으로 한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 흐름이 가속화

·반도체의 중국 의존 탈피의 흐름 속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 흐름이 가속화. 지정학적인 관점과 인프라 환경의 만족도에서도 우위성이 높은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주변국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이 주목을 끌고 있다.

• 시장은 향후 '후공정'에서 첨단기술이 집적된 '전공정'으로의 진화를 목표로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OSAT의 후공정 중심의 반도체 시장이 향후 정부의 반도체 정책과 외국자본에 의한 기술 공여에 의해 반도체의 설계, 칩 제조의 전공정으로의 진화가 기대되어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반도체 시장 성장주의 베트남 동향에 이목이 집중되다.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유치 정책에 따라 최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 이은 반도체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향후, 고도의 인재육성과 확보가 시장 확대의 열쇠를 쥔다.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1장 동남아 반도체 산업 촉진 정책의 개요

1-1. 싱가포르

  도표1 'ITM 2025'(산업변혁 로드맵 쇄신)의 개요

1-2. 말레이시아

  도표2 국가 반도체 전략 'NSS'의 개요

  도표3 국가 반도체 전략 'NSS'에서의 '재정 지원'의 내용

1-3. 베트남

  도표4 ‘2030년까지의 베트남 반도체 산업의 발전 전략과 2050년 비전’ 목표

  도표5 2030년까지의 베트남 반도체 산업의 발전 전략과 2050년까지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획기적인 프로젝트와 태스크

1-4. 태국

  도표6 반도체 및 관련 산업에 대한 은전 내용

1-5. 인도네시아

  도표7 다운스트림 로드맵의 대상 품목

  도표8 포괄법(고용창출법)에 의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영향

  도표9 개척자 산업에 대한 택스 홀리데이 제도 개요

1-6. 필리핀

2장 동남아 반도체 시장 투자 현황

2-1. 싱가포르

  2-1-0. 투자 동향

    도표10 싱가포르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전체/제조업/반도체

    관련 카테고리/반도체 디바이스)(2014년~2022년)

    도표11 싱가포르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반도체 디바이스)

    (2014년~2022년)

  2-1-1. Applied Materials, Inc. (AMAT)

  2-1-2. VisionPowe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Pte Ltd (VSMC)

  2-1-3. GlobalFoundries

  2-1-4. UMC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2-2. 말레이시아

  2-2-0. 투자 동향

    도표12 말레이시아의 투자허가액 추이(반도체업계)(2014년~2023년)

  2-2-1. Intel Microelectronics

  2-2-2. Infineon

  2-2-3. Micron Technology

  2-2-4. ATX Semiconductor Group

2-3. 베트남

  2-3-0. 투자 동향

    도표13 베트남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가공·제조업)(2014년~

    2020년, 2022년~2023년)

  2-3-1. Amkor Technology

  2-3-2. NVIDIA

2-4. 태국

  2-4-0. 투자 동향

    도표14 태국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전기제품·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 (2015년~2022년)

  2-4-1. Western Digital (WD)

  2-4-2. Seagate Technology

2-5. 인도네시아

  2-5-0. 투자 동향

    도표15 인도네시아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금속, 기계,

    일렉트로닉스 제품, 의료기기, 정밀기기, 광학기기, 시계 등)

    (2017년~2023년)

  2-5-1. Infineon

  2-5-2. NVIDIA

2-6. 필리핀

  2-6-0. 투자 동향

    도표16 필리핀의 해외직접투자액 추이(제조업)(2014년~2023년)

  2-6-1. Texas Instruments Inc. (TI)

  2-6-2. Analog Devices, Inc. (ADI)

3장 동남아 반도체 시장 진입 반도체 기업 표

3-1. Intel Corporation

3-2. Samsung

3-3. QUALCOMM

3-4. Broadcom

3-5. NVIDIA

3.6. AMD

3-7. STMicroelectronics

3-8. TI

3-9. Infineon Technologies AG

3-10. Micron Technology, Inc.

3-11.NXP

3-12. onsemi

3-13. Western Digital Corporation

3-14. Seagate Technology

3-15. Analog Devices

3-16. Renesas

3-17. Nexperia

3-18. Global Foundries

3-19. VIS

3-20. UMC

3-21. Amkor Technology

4장 동남아 반도체 시장의 향후 전망

4-0. 동남아 전체

4-1. 싱가포르

  도표17 신이니셔티브 '동남아 제조업 동맹(SMA)'의 개요

  도표18 ‘인도·싱가포르 반도체 에코시스템·파트너십’의 개요

  도표19 싱가포르의 '일렉트로닉스 제품' 수출액 추이(2020년~2024년)

4-2. 말레이시아

  도표20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수출액 추이(2015년~2023년)

4-3. 베트남

  도표21 베트남의 '일렉트로닉스 제품, 컴퓨터, 그 부품'

  수출액 추이(2014년~2023년)

4-4. 태국

  도표22 태국 EV 신규 등록대수 추이(2020년~2023년)

4-5. 인도네시아

  도표23 인도네시아의 EV 판매대수 추이(2021년~2024년)

4-6. 필리핀

  도표24 필리핀의 반도체 수출액 추이(2019년~2024년)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