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025년판 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17600
발간일
2025/02/28
체재
A4 / 449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449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주목받는 xEV 시장 및 자동차용 LiB 시장의 최신 동향 수록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 미국, 유럽, 중국의 xEV 관련 정책 및 환경규제를 철저히 조사해, 주요 자동차 메이커 14개사와 주요 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이하 LiB) 메이커 11개사의 최신 동향을 조사함으로써 자동차용 LiB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자동차 메이커: 일본계 메이커 (4사), 유럽 메이커 (5사), 미국 메이커 (3사), 한국 메이커 (1사), 중국 메이커 (1사)

자동차용 LiB 메이커: 일본 메이커 (5사), 한국 메이커 (3사), 중국 메이커 (3사)

• 조사방법: 폐사 전문 조사원의 대면취재를 베이스로 문헌조사 병용.

• 조사·분석기간: 2024년 10월 4일~2025년 2월 20일

• 기타:

①본 리포트에 게재한 수치·공급관계 등의 데이터는 상기 기간에서의 조사결과에 일정한 추정을 더해 작성

②조사 시에는 지난 번 리포트에 게재된 데이터에 관해서도 재검증을 실시해, 필요에 따라서 수정(따라서 시장규모 등이 일치하지 않는 케이스도 있음)

③셀 형상과 관련하여 래미네이트형은 파우치형과 폴리머 타입을 포함

◆자료 포인트

• 세계 자동차의 전체 시장규모 추이와 xEV 시장규모 추이를 지역별로 산출

-성장률이 다른 2가지(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시장규모 예측(대수기준: 2019년~2030년 예측, 2035년 예측)

•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을 xEV 타입별로 산출

-성장률이 다른 2개(시장기반·정책기반)의 시장규모 예측(HEV/PHEV/EV용 등)

• 지역별 xEV 관련 정책, 주요 자동차 메이커/자동차용 LiB 메이커 동향 게재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시장 예측 범위에 2025~2030년 연 추이 추가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시장 전망

중국의 PHEV 시프트가 제시하는 사용자 니즈의 보편성

  '양면진화'로 거듭되는 성장 물결에 대비하라

  정체기야말로 내적 경쟁력 강화로 장래의 차별화로 이어진다

제2장 xEV 시장 현황과 장래 전망

xEV 시장을 둘러싼 환경

1-1. 주요국 연비규제

  (표)주요 각국의 승용차 연비 규제

  (표)주요국의 배기가스 규제 도입 상황(승용차)

  (표)각국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선언 상황

1-2. 주요국 전동차 보급 목표

  (표)세계 각국의 전동차 보급 계획·목표(2025년, 2030년, 2035년 이후)

1-3. 주요 OEM의 전동화 계획

  (표)주요 자동차 메이커의 전동화 계획, 2022년 시의 전동차 판매 상황

1-4. 각국의 충전인프라 동향

  (표)EV 충전기의 정의

  (그림)2023년 충전인프라 국가별 점유율

  (표)5개 지역(일본, 유럽, 미국, 중국, 인도)의 정비 상황 비교

1-5. 충전규격 동향

  (표)지역별 공공충전 인프라 비교

  (그림)NASC 충전 회로 개요

  (그림)세계 CHAdeMO 설치 상황

1-6. 탄소중립과 LCA

  (그림)자동차의 생애주기 평가

  (표)라이프사이클 CO2 배출량 간이 산출방법

  (그림)XC40과 C40 Recharge의 20만km 주행 시 CO2 배출량

  (표)자동차 메이커의 생산 분야의 탈탄소화 동향

1-7. 합성연료(e-fuel)

  (그림)합성연료의 분류

  (그림)연료별 에너지 밀도

  (그림)풍력발전량과 합성연료 플랜트의 분포

제3장 세계 xEV 시장 동향

1-1. 세계 자동차 시장 동향

  자동차 시장 전체에서 과거의 최고 수준 도달은 2025년 가능성

  HEV를 포함한 EV 비율은 30% 이상을 예측

  (그림·표)지역별 자동차 생산량 추이(ICE 차량 포함 전체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세계 자동차 생산대수(ICE 자동차 포함) 대 xEV 생산대수

  (Aggressive: 정책기반예측, 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구성비 추이

  (CY2018〜CY2025, CY2030, CY2035)

1-2. 세계 xEV 시장 동향

  (표)xEV 시장규모 산출조건

  (표)승용 EV의 탑재 전지 용량 구분(전지팩 기준)

  xEV 시장 Consevative: 시장기반 예측: 성장성은 PHEV/레인지 익스텐더

  의 한계에 의존

    (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세계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지역별 xEV 생산대수 추이

    (CY2019〜CY2030, CY2035)

  xEV 시장 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지속적으로 중국이 시장 확대를 주도

  견인차는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PHEV/레인지 익스텐더로 전한 가능성

    (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세계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지역별 xEV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1-3. 유럽

  유럽xEV·전지 관련 정책 동향

    (표)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의 정책분야

    (표)넷제로 기술의 개요

    (표)CRMA의 중요 원재료와 전략 원재료(굵은 글씨로 표시)

    (표)EU 신전지 규칙

    (표)유럽의 연비 규제 개요

    (표)유럽의 배출가스 규제(EURO6)

    (표)유럽의 배출가스 규제(EURO6, 소형상용차: GVW1.7~3.5t)

    (표)'EURO7'의 대형차(M2/M3/N2/N3)의 배기가스 기준치

    (표)'EURO7'의 승용차(M1) 및 밴(N1)의 배기가스 기준치

    (표)'EURO7'의 승용차(M1)/밴(N1) 구동용 전지의 내구성 요건

    (표)연비·CO₂배출량(평균)의 실제치와 WLTP 측정치와의 차이(승용차)

    (표)EU 경쟁력 나침반 3개의 기둥(Pillars)

    (표)EU 경쟁력 나침반 5개 분야 횡단적 수단(Horizontal enablers)

    (표)EU 자동차산업의 장래를 위한 전략대화

    (표)EU의 전동승용차 우대정책 마련(2024년 기준)

    (표)산업 육성을 위한 'Design-Build-Sustain' 접근법(영국)

    (표)중국산 BEV에 대한 추가 관세율

  유럽 xEV 시장 예측

    (그림)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유럽지역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그림)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유럽지역 xEV 타입별 생산량

    예측(CY2030)

    (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유럽지역 xEV 타입별 생산대수

    추이(CY2019~CY2030, CY2035)

    (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유럽 지역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추이(CY2019~CY2030, CY2035)

1-4. 북미

  미국 xEV·전지 관련 정책 동향

    (표)기업평균연비(CAFE) 규제 최종안과 초안 비교

    (표)2027 MY 이후의 기업평균연비(CAFE) 규제안

    (표)소형 자동차의 GHG 배출 기준치

    (표)중형 자동차의 GHG 배출 기준치

    (표)소형 자동차 신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파워트레인 구성비 비율

    (표)소형 자동차의 크레딧 부여 상한 추이

    (표)Tier4의 NMOG+NOx 규제치(FTP25℃, HFET, US06, SC03)

    (표)Tier4의 PM 배출 기준(FTP(25℃, -7℃), US06)

    (표)Tier4의 CO 배출 기준

    (표)소형·중형 자동차의 배기가스 구분(Bin)

    (표)캘리포니아 주의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주 일람

    (표)규제 대상 자동차 메이커 일람

    (표)ACC에서의 LVM 및 IVM에 요구되는 ZEV 크레딧

    (표)ACCⅡ에서의 LVM 및 IVM에 요구되는 ZEV 크레딧(밸류)

    (표)ZEV 판매 100%에 찬동하는 주요 주의 GHG 감축 목표

    (표)중·대형 트럭의 신차 판매에서 차지하는 ZEV 비율

    (표)소형 자동차에 대한 배출 기준치(FTP 모드)

    (표)소형 자동차에 대한 배출 기준치(US06·SC03 모드)

    (표)IRA의 클린차 세액 공제 개요

    (표)지정 중요 광물

    (표)중요 광물요건 및 전지 구성부재 요건의 일정 비율

    (표)IRA의 첨단 제조업에 대한 세액 공제 개요

    (표)대중 추가 관세 조치

  북미 xEV 시장 예측

    (그림)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북미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그림)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북미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북미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북미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1-5. 일본

  일본 xEV·전지 관련 정책 동향

    (표)일본의 연비 규제 개요

    (표)연비개선 기술 및 연비개선율(승용차 & 소형상용차)

    (표)일본의 배출가스 규제치

    (표)배출가스 규제에 기초한 차종·운행 규제

    (표)자동차 분야의 GX 실현에 필요한 가치

    (표)보조금액의 결정방법에 관하여

    (표)도쿄도 'ZEV 보조금'의 기본보조액

    (표)도쿄도 'ZEV 보조금'에 따른 조건부 보조금

    (표)사이타마현의 보조금 교부액

    (표)축전지 산업 전략의 대처와 전체상

    (그림)축전지에 관한 공급확보계획의 인정 신청 흐름도

  일본 xEV 시장 예측

    (그림)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일본에서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그림)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일본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일본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추이

    (CY2019〜CY2030, CY2035)

    (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일본의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1-6. 중국

  중국 xEV·전지 관련 정책 동향

    (표)중국의 자동차 기술 발전 목표(주로 연비 등의 부분에 대하여)

    (표)제1~제5단계의 연비목표치 및 규제치의 국가표준

    (표)중국 승용차에 대한 연비 규제와 목표치(4단계, 5단계, 6단계)

    (표)기업평균연비 연도 요구

    (표)슈퍼크레딧

    (표)EV에 대한 연비 규제와 목표치(2026년 이후)

    (표)중국의 NEV 제도 개요

    (표)재활용 이외의 기술/디바이스를 포인트 계산에 포함하는 것에 관한

    관련 규제

    (표)가솔린/디젤차의 중국 배출가스 규제 개요

    (그림)승용차 생애주기 탄소배출 개산 기술규범 정책체계 사상

    (표)감세대상 신에너지 자동차 제품 기술요구

    (표)폐차갱신보조금의 새로운 기준

    (표)'신에너지 시영버스 및 동력전지 갱신 보조금 실시 세칙 제1장

    (표)지방정부 교체 보조정책(베이징시, 광저우시, 상하이시, 선전시)

    (표)'신에너지 자동차 무역협력의 건전한 발전 지원에 관한 의견(발취)'

    (표)"흑연품 수출관리 잠정조치 최적화·조정에 관한 공고(발취)"

    (표)리튬이온전지 업계 규범 조건 (일부 발췌) (2024년)

  중국 xEV 시장 예측

    (그림)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중국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그림)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중국의 xEV 타입별 생산대수 예측

    (CY2030)

    (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중국의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표)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중국의 xEV 타입별 생산량 추이

    (CY2019〜CY2030, CY2035)

제4장 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시장 현황과 장래 전망

1. 세계 자동차용 전지 시장 동향

  1-1. 자동차용 전지(LiB, Ni-MH) 시장동향

    (표)자동차용 전지(Ni-MH·LiB) 시장규모 추이

    (Conservative: 시장예측 용량 기준: CY2019~CY2030, CY2035)

    (표)자동차용 전지(Ni-MH·LiB) 시장규모 추이

    (Conservative: 시장예측 금액 기준: CY2019~CY2030, CY2035)

  1-2.x EV타 입별 자동차용 LiB 시장 동향

    2025년 1TWh 규모 예측, 2030년 2TWh 초과는 EV 수익성 지속 여부에 의존

    (그림·표)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xEV 타입별 세계 자동차용 iB 시장규모 추이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구성비(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xEV 타입별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xEV 타입별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규모 추이

    (금액: CY2019~CY2030, CY2035), (그림)구성비(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xEV 타입별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규모 추이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구성비(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xEV 타입별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규모 추이

    (금액: CY2019~CY2030, CY2035), (그림)구성비(금액: CY2019~CY2030, CY2035)

  1-3. 지역별 자동차용 전지(LiB·Ni-MH) 시장 동향(유럽·미·일·중, 기타)

    미국·유럽 EV 시장 뒷걸음질 칠 경우 중국 비중 다시 50% 넘을 듯

    (그림)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자동차용 전지(LiB·Ni-MH) 시장의 지역별 구성비(CY2030, CY2035)

    (그림)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자동차용 전지(LiB·Ni-MH) 시장의 지역별 구성비(CY2030, CY2035)

    (그림)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유럽, 북미, 일본, 중국,

    기타 지역의 xEV 입별 자동차용 전지 시장구성비(CY2030)

    (그림)Aggressive(정책기반) 예측: 유럽, 북미, 일본, 중국,

    기타 지역의 xEV 타입별 자동차용 전지 시장구성비(CY2035)

    (표)Aggressive (정책기반) 예측: 지역별 x EV 타입별 자동차용 전지

    (LiB·Ni-MH) 시장규모 추이 (CY2019~CY2030, CY2035)

    (그림)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유럽, 북미, 일본, 중국,

    기타 지역의 xEV 타입별 자동차용 전지 시장구성비(CY2030)

    (그림)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유럽, 북미, 일본, 중국,

    기타 지역의 xEV 타입별 자동차용 전지 시장구성비(CY2035)

    (표)Conservative (시장기반) 예측: 지역별 xEV 타입별 자동차용

    전지(LiB·Ni-MH)의 시장규모 추이(CY2019~CY2030, CY2035)

  1-4. 전지형상별 자동차용 LiB 시장 향

    원통형, 형에서 신규 채용, 신규 진출 확대 방향

    파우치형은 일정 포지션 유지, 원통형과의 차이는 축소 가능성

    (표)주요 자동차 메이커별 리튬이온전지 조달 상황(전지 형상별)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시장규모 추이(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

    구성비(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

    규모 추이(원통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

    구성비(원통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각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

    구성비(각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표)Conservative(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파우치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그림)시장기반 예측: 세계 자동차용 LiB 형상별 시장규모 추이 구성비

    (파우치형, 용량: CY2019~CY2030, CY2035)

  1-5. 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 메이커 점유율 동향

    Top3는 CATL, BYD, LGES에서 변함없어, 용량 기준 성장률은 둔화세가

    눈에 띄다

    (표)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 메이커 점유율 추이(CY2021~CY2024 전망)

    (그림)세계 자동차용 LiB 시장 메이커 점유율(CY2024 전망)

2. 공급망 동향

  2023년 후반기를 변화점으로 2024년 전략 재고 움직임 증가

    (표)자동차 메이커의 xEV 타입별 리튬이온전지 조달 상황

    (표)자동차 메이커의 리튬이온전지 조달 상황(2025년 2월 기준)

  구미에서 잇따른 신흥 LiB 메이커의 경영 파산·자동차 OEM의 전지 생산계획 재검토

  일본은 2025년 이후 능력 증강, 신규 거점 계획 증가

    (표)중국의 세계 주요 LiB 메이커의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CY2021~CY2024 계획)

    (표)북미의 세계 주요 LiB 메이커의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CY2021~CY2024 계획)

    (표)한국의 세계 주요 LiB 메이커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CY2021~CY2024 계획)

    (표)일본의 세계 주요 LiB 메이커의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CY2021~CY2024 계획)

    (표)유럽에서의 세계 주요 LiB 메이커의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CY2021~CY2024 계획)

3. 전지 부재 동향

  한국과 일본의 LFP 셀이 앞으로 양산단계로

  (표)주요 LiB 메이커 LiB 셀 타입, 양극재 및 음극재 채용·개발 동향①, ②

  탈중국 추진 음극재 미정부 보조정책 재검토 속도에 영향 가능성

4. LiB 열화진단 업계 동향

  중고 EV의 잔가가치 평가방법 확립을 위한 대처가 활발화

  폐 LiB에 의한 ESS 구축도 실증시험단계 돌입

  (표)일본, 한국, 중국에서의 LiB 열화진단 관련 기업 사례

제5장 주요 자동차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토요타자동차 주식회사

  멀티패스웨이×독자노선, 고객 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강점 추구

  (표)토요타자동차 주요 xEV 라인업

  2024년, PHEV+EV 모두 판매대수 전년도를 넘어 HEV는 향후 500만대를 시야에 두고

  (표)토요타자동차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신형 엔진 개발로 HEV, PHEV의 한층 더 경쟁력 강화를 추진

  (표)토요타자동차 전동화 전략 업데이트 상황(2015~2024년)

  미국 판매 'Camry' 등 HEV 설정만으로 전환 착수

  바이폴라형 Ni-MH 탑재 모델도 점차 증가

  2020년 이후 내실화되는 PHEV에서는 엔진과 전지 유닛의 위치를 「재정의」

  한층 더 전동 주행거리 연장을 목표로 하다

  중국에서 bZ 시리즈 라인업 확충

  유럽용으로는 스즈키에서 OEM 공급 EV를 2025년 투입할 예정

  FCEV, BMW와의 연계 강화 중국 하이마자동차 FCEV 실증 시작

  (표)토요타자동차 FCEV 관련 외부 제휴 상황

  중국, 현지 연계 강화 추진 Lexus 단독 출자로 공장 설립 발표

  미국 첫 EV 생산 2거점 생산 개시 시기 재검토

  태국서 EV 실증 추진, 브라질서 플렉스 연료설비 투자

  (표)토요타 충전 인프라 관련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 추진

  PEVE를 토요타 전지로서 완전 자회사화, PPES 모두 능력 증강을 실시

  TBMNC는 HEV용 LiB 생산부터 시작, 토요타 자동직기 바이폴라형 Ni-MH는 탑재 차종 확대

  (표)토요타자동차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조달처

  (표)토요타자동차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LiB 차세대는 퍼포먼스판에 이어 바이폴라형을 목표로 하다

  (표)토요타자동차 차세대 전지 3그레이드

  재사용, 재활용 관련해서는 미국, 중국에서의 제휴 등을 추진

  (표)토요타자동차 자동차용 전지 재활용 관련 주요 대처

Volkswagen AG

  시황 변화에 따라 전동화 전략 재구축

  판매대수 전체에서 차지하는 EV·PHEV 비율은 2023년에 10%대에 도달

  2024년 판매대수 전체는 ICE를 포함한 전체, PHEV+EV 모두 전년도 감소

  (표)Volkswagen 그룹의 주요 xEV 라인업

  (표)VW 그룹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EV 목표 비율은 그대로 두면서,

  향후 10~15년은 ICE차, PHEV 라인업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유지 자세

  (표)Volkswagen 그룹 전동화 관련 주요 발표 내용(2016년~2024년 3월)

  (표)VW 브랜드 그룹별 영업이익률 중장기 목표(2024년 3월 발표)

  PF 전략은 SSP 연기를 바탕으로 MEB 개량판을 출시할 예정

  (표)Volkswagen 그룹 전동차 전용 플랫폼

  현재 EV 생산계획을 재검토, 향후 2만유로 EV의 시장 출시를 VW, Skoda, Cupra에서 예정

  PHEV는 전지용량 증가로 EV 주행 100km 달성 모델을 그룹 내에서 확충

  (표)Volkswagen 브랜드의 전동차 판매 목표/제품 라인업·향후 계획

  (표)Audi, Porsche 브랜드의 전동차 판매 목표/제품 라인업·향후 계획

  (표)Skoda, SEAT/Cupra 브랜드의 전동차 판매 목표/제품 라인업·향후 계획

  합성연료(e-fuel)에 관해서는 Porsche, Audi가 개발·생산을 위한 대처 추진

  (표)Audi, Porsche 합성연료(e-Fuel) 관련 대처

  중국 신흥·샤오펑자동차(Xpeng)에 출자, 공동개발 추진

  아우디, 상하이자동차와 중국시장용 신PF 공동개발

  (표)VW의 중국 합작·출자처 전동화 관련 동향

  북미 신흥·Rivian에 대한 출자를 발표, 소프트웨어 개발 주체의 회사를 설립

  플렉스 연료차 등의 전개를 내다보는 브라질 사업에서는 추가 투자를 발표

  (표)VW 지역별 충전 인프라 관련 대처

  Power Co의 4번째 거점 이후는 결정을 연기, 출자처인 Northvolt는 확장 계획을 재검토

  (표)VW그룹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조달처

  (표)VW그룹 자동차용 LiB 출자처, 내제 거점

  드라이코딩 기술은 2026년까지 양산 개시를 목표로

  'MEB+'/'MEB Entry'부터 탑재 예정

  (표)VW그룹의 전지개발 동향

  (표)VW LiB의 원재료 확보를 위한 대처 상황

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

  다양한 파워트레인 라인업과 브랜드파워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 최대화를 목표로 하다

  2030년 360만대 EV 판매 목표 유지

  HEV 모델 확충, EREV 도입에도 주력

  (표)현대자동차그룹 주요 xEV 라인업①(현대자동차)

  (표)현대자동차그룹 주요 xEV 라인업②(기아)

  (표)현대자동차그룹 세계 판매량 추이(2021년~2024년)

  현대: EV 캐즘에 차세대 하이브리드 및 EREV 도입으로 대응

  (표)'Hyundai Way'에서의 3가지 전략

  (표)EV 판매대수 목표

  2030년 전기차·PBV·HEV로 글로벌 xEV 시장 선도

  (표)기아 '2024 CEO Investor Day'의 2030 전략

  (표)현대자동차 그의 EV 전용 2세대 플랫폼 개요

  현대는 북경의 생산체제를 축소하는 한편, 미국의 현지생산을 앞당기고 기아가 PBV로

  일본 시장 진출

  (표)현대자동차 EV 케어 프로그램

  (표)현대자동차 '2025 EV Every Care'

  인도에서 원료까지 포함한 EV 공급망 구축 추진

  (표)현대자동차그룹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조달처

  태국에서 EV와 전지모듈 생산거점 설립

  (표)현대자동차그룹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현대제철, ECOPROBM과 연계하여 LFP전지 양극재 기술 개발

General Motors Company

  전망이 까다로운 중기 이정표 달성, 전략 재검토·체제 재구축 착수

  2024년, 전체 판매대수는 전년도 하회, EV는 미국 판매 호조로 전년도 이상이지만 구성비는

  여전히 한 자릿수 %대

  (표)GM그룹의 xEV 주요 라인업

  (표)GM 그룹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향후는 가격경쟁력이 있는 EV 제품 확충, 2027년까지 PHEV 출시를 목표

  현대차와 제휴 검토 새로 발표

  (표)GM 전동화 전략의 변경 사항

  Ultium 전지 탑재 EV 전용 플랫폼 'BEV3' 채용 차종 확대

  중국 시장에서는 판매량 감소가 계속

  자율주행 택시 개발 중단, 앞으로는 개인용 자율주행 차량 개발로 전환

  (표)GM 충전 인프라 관련 대처

  울티움 셀즈 3공장 LGES 매각 방침

  향후에는 LFP 셀 조달, 장래적인 자체생산을 검토

  (표)GM그룹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GM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LiB 부재, 美기업 조달·제휴 추진

  (표)GM LiB 부재 공급망 관련 대처 상황

  (표)GM LiB의 원재료 확보를 위한 대처 상황

Stellantis N.V. (PSA/FCA)

  전동화 조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 제휴 확대 추진

  2023년의 플러스 추이에서 전환, 2024년 판매대수 전체는 다시 마이너스 추이

  (표)Stellantis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전망)

  (표)Stellantis 주요 xEV 라인업①(FCA)

  (표)Stellantis 주요 xEV 라인업②(PSA)

  2030년 전동화 목표는 유지를 목표

  PHEV 잘 나가는 미국에 픽업트럭 첫 시리즈 하이브리드차 투입

  영국에서는 Vauxhall이 EV와 MHEV를 동일 가격으로 판매하는 모델을 발표

  (표)Stellantis 주요 브랜드의 EV 브랜드로의 이행 시기/PHEV 라인업 상황

  브라질 최초의 플렉스 연료 하이브리드 자동차 제조

  「STLA」 플랫폼을 멀티 드라이브 전개로 자리매김하여 새롭게 정보를 발신

  (표)Stellantis 차기 플랫폼별 주요 BEV 투입 계획

  포르투갈 공장서 EV 생산 시작 발표, 미국 공장서 투자계획 재검토 움직임

  기존 중국 현지 합작사업은 神龍汽車만

  새롭게 중국 신흥 EV 메이커 零跑汽車(Leapmotor)와의 합작 설립을 발표

  (표)Stellantis 충전 인프라 관련 모빌리티 사업 추진

  ACC 독일 이탈리아 공장 건설 중단

  전지팩 생산거점은 유럽을 중심으로 확충을 추진

  (표)Stellantis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Stellantis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표)Stellantis 전지팩 생산거점

  CATL을 파트너로 하여 LFP 전지 생산을 목표

  (표)Stellantis의 전지 전략 개요

  (표)Stellantis 전지 원재료 조달에 관한 대처

  (표)Stellantis 차세대 전지에 관한 대처

Ford Motor Company

  EV 사업의 적자 지속, 전동화 전략은 현실화로의 전환을 도모

  전체적으로는 흑자전환 한편, EV 사업의 적자폭 확대로 전동화 전략 재검토

  (표)Ford의 xEV 라인업

  (표)Ford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전망)

  (표)Ford 조직 개편: 6 비즈니스 유닛

  유럽에서의 2030년 EV 100%는 실질 철수 분위기, 북미도 BEV 계획 연기를 발표

  당분간 HEV로 주축 전환 방향

  (표)Ford 전동화 전략의 변경 사항

  유럽 시장용으로는 VW 'MEB 플랫폼'을 채용한 BEV2 모델을 출시

  인도 첸나이 공장 생산 재개 발표

  전지 공급업체 조달 축소 합작·단독 자체제작분도 당초 계획에 하향 조정

  (표)Ford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Ford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표)Ford 전지 시스템, 패키징 생산 거점

  (표)Ford LiB의 원재료 확보를 위한 대처 상황

혼다기연공업 주식회사

  현실적인 HEV를 활용, EV와의 쌍륜으로 탈 ICE로의 여정을 목표

  세계 판매대수 부진 속에 전동화 비율은 상승 방향

  (표)혼다기연공업의 xEV 라인업

  (표)혼다기연공업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단기로는 HEV 주력 자세, 2030년까지 판매대수 130만대 목표

  (표)혼다기연공업 판매지역별 EV·FCV 목표 비율(2022년 발표 시)

  신세대판 'e:HEV'에서는 축적한 실측 데이터 활용으로 LiB 용량 사용영역 확대

  소형 LiB 셀 채택으로 경량화 실현

  최초의 경상용 EV를 일본에서 발매

  미국에서는 GM과의 공동개발 EV에 이어 독자 PF를 채택한 EV를 2025년 말부터 생산 예정

  2026년에 Honda 0 시리즈 「SALOON」, 소니와의 「AFFELA」를 출시 예정

  신형 FCV에서는 미국 GM과의 JV에서 실시하는 FC 시스템을 채용

  중국 현지 기업과의 연계 강화를 통한 '燁(Ye:예)' 시리즈 새롭게 선보인다

  EV 전용 공장을 총 24만대/년 체제로 가동 개시

  북미, 오하이오주 기존 공장 EV 전용 마더공장으로 개조

  캐나다에서는 EV~전지 부재를 커버하는 가치사슬 구축을 추진할 방침

  인도네시아에서 2025년에 EV를 출시 예정 태국은 기존의 생산공장을 집약할 방침

  (표)혼다 충전 인프라 관련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 추진

  전지 부재도 포함한 지역생산 지역소비체제 구축 추진, 전고체전지 파일럿 라인 공개

  (표)혼다기연공업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혼다기연공업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표)혼다기연공업 자동차용 LiB 부재 합작·출자 제휴처

  (표)전지를 중심으로 한 EV의 포괄적 가치사슬 구축

  (표)혼다기연공업 전지 재사용·재활용/전지

  원재료 조달 관련 외부 제휴·연계 상황

닛산자동차 주식회사

  주력시장 변화에 직면하여 다음 전개 모색

  2024년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 추이, 주력인 북미 시장의 성장 둔화, 중국은 전년 대비 지속

  (표)닛산자동차의 xEV 라인업

  (표)닛산자동차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표)닛산자동차 전동화 전략의 변경점

  신형 LEAF를 2025년에 생산 개시 예정, 2026년도에는 PHEV 전개 계획

  누계 150만대 돌파의 e-POWER, 미국 등으로 더욱 판매지역 확대를 2026년 이후로 계획

  中서 NEV 콘셉트 4개 차종 발표, 미국산 EV는 개발 연기

  (표)닛산자동차 충전인프라 관련 모빌리티 사업 추진

  2030년도까지 연간 135GWh의 생산능력 확보를 목표

  일본에서는 자체 LFP 셀 생산 계획

  (표)닛산자동차 자동차용 LiB의 주요 외부 조달처

  (표)닛산 자동차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100MWh 규모 전고체전지 파일럿 라인 공개

吉利汽車/Volvo (Geely Auto Group)

  사업을 전략적으로 집약, 2025년 신에너지차 목표 150만대

  (표)吉利汽車의 xEV 라인업

  (표)吉利集団의 판매대수

  (그림)吉林銀河 판매량 추이

  바이두와의 ‘極越汽車’는 해체

  그룹 내 브랜드 통합으로 향후 해외 전개 가속

  HEV, PHEV용 차세대 뇌신 EM-i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독자 개발한 각형 LFP 셀 '神盾短刀电池' 신규 채용

  (그림)吉利 「神盾短刀电池」외 관

Mercedes-Benz AG

  현재의 시장 변동을 고려하여 전동화 전략을 재구축

  (표)Mercedes-Benz Gr.의 xEV 라인업

  2024년 승용차·밴 판매 모두 감소, xEV 비율도 후퇴

  (표)Mercedes-Benz AG 세계 판매대수 추이 2021~2024년)

  2030년 이후에도 ICE 판매 지속 전망

  (표)Mercedes-Benz Gr 분야별 EV 출시 상황(2021~2022년)

  (표)Mercedes-Benz Gr 차세대 EV 전용 플랫폼 도입 계획

  BBAC는 중국 시장용 모델을 확충할 방침

  BYD와의 합작 'DENZA'는 BYD의 완전 자회사로 변경

  2025년부터 북미에서 Tesla의 Supercharger를 이용할 수 있게

  일본 EV용 충전 서비스 사업 본격 진출, 인증 중고차 프로그램 확충도 발표

  (표)Mercedes-Benz Gr 충전 인프라에 대한 대처

  독일에 콤피텐스센터 'eCampus' 설립, 차세대 EV용 셀 개발을 자체적으로 추진

  (표)Mercedes-Benz Gr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Mercedes-Benz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Sila의 실리콘 음극 채택 추진 독일 기업과 연계하여 LiB 재활용 신공장 개설

  Factorial Energy와의 공동 개발에 의한 전고체전지 「Solstice™」 발표

BMW AG

  전동화 전략, 제2 스테이지로의 전환을 목표

  (표)BMW 그룹의 xEV 라인업

  2024년 ICE를 포함한 전체 대수는 전년도에 비해 하락, EV는 판매증가 유지, PHEV는 전년도 지속

  (표)BMW 그룹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브라질 신규투자 PHEV, 플렉스연료차도 대상

  (표)BMW 충전인프라 관련 모빌리티 사업 추진

  Neue Klasse용 전지 공급망 조정

  (표)BMW 그룹 자동차용 LiB 셀 주요 외부 조달처

  (표)BMW 그룹 자동차용 LiB 모듈, 팩 생산거점

  2025년에 전고체전지 탑재 차량의 시연을 실시할 예정

  (표)BMW LiB의 원재료 확보를 위한 대처 상황

Renault Group

  HEV, EV 라인업 확충을 통한 전동화 전략 추진

  (표)Renault 그룹 주요 xEV 라인업

  유럽 주력시장 판매호조 순이익 흑자 전환

  (표)Renault 그룹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Ampere의 비용감축으로 유럽에서의 EV 대중화를 도모. 2026년에는 첫 SDV 출시 예정

  (표)Ampere 사업전략

  (표)Renault·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체제에서의 연계 강화 전략(2020년 발표)

  (표)2030년 공동 로드맵 'Alliance 2030'(2022년 발표)

  중국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2만유로 미만의 소형 EV 개발 추진

  상용 EV 개발을 위해 Volvo그룹과 함께 합작회사 Flexis SAS 설립

  한국의 부산 공장에 차세대 EV용 개발, 생산설비 투자 방침

  Geely와의 합작 HORSE Powertrain이 차세대 EREV 기술을 발표

  Renault Korea, 4년만의 신차 'GRAND KOLEOS' HEV 공개

  Mobilize는 2025년에 2개 차종의 초소형 EV를 새롭게 출시할 예정

  (표)Renault 그룹의 중국 사업체제

  LFP 셀과 Cell to Pack 기술의 융합을 통한 전지 전략 전개

  (표)Renault 그룹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Renault 그룹 자동차용 LiB 합작·출자 제휴처

  순환경제 영역의 새로운 회사 THE REMAKERS 설립

  (표)Renault 그룹의 전지 재료 조달에 관한 계약 상황

Tesla, Inc.

  '자율주행' X '저가 모델' 키워드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모색

  판매가격 인하로 2023년은 수익 감소, 2024년은 세계 판매대수가 처음으로 전년도 하회

  (표)Tesla의 xEV 라인업

  (표)Tesla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저가판 EV '가칭: Model Q'는 2025년 출시 예정

  완전자율주행 EV 'Robotaxi', 'Robovan' 최초 공개

  멕시코 신거점 건설 일시 동결, 독일에서는 거점 확장 계획을 일부 재검토

  (표)Tesla 거점별 생산차종 생산능력

  여러 자동차 OEM이 NACS 충전 어댑터를 제공하기 시작

  (표)자동차 OEM NACS 충전 어댑터 제공 동향

  4680셀 생산체제 확충 추진

  (표)Tesla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 조달처

  (표)Tesla 자동차용 LiB(내제) 생산거점

  자사 리튬제련소 2024년 12월 가동

미쓰비시자동차공업 주식회사

  강점인 PHEV 기술로 사용자를 사로잡는 제품 만들기 추구

  2024년 전체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플러스로 추이

  (표)미쓰비시자동차의 xEV 라인업

  (표)미쓰비시자동차 세계 판매대수 추이(2021~2024년)

  전동 항속거리를 개선한 신형 Outlander PHEV, 상용 MiNICAB-EV 출시

  처음인 독자적인 StrongHEV 시스템 탑재 X PANDER를 태국에서 출시

  태국, 인도네시아 전동차 생산 추진, 중국에서는 미쓰비시 브랜드 차량 현지 생산을 종료

  (표)미쓰비시자동차 충전 인프라 관련, EV 판매 관련 대처

  (표)미쓰비시자동차공업 자동차용 LiB 주요 외부조달처

제6장 주요 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Ltd.)

  톱 메이커가 할 수 있는 다층적인 솔루션 전개로 시황 변화에 대응

  2024년에도 전년도를 웃도는 출하량으로 추이, 성장률은 2022년 이후 둔화세를 이어간다

  (표)寧徳時代新能源科技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寧徳時代新能源科技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표)寧徳時代新能源科技 자동차용 LiB 수주 및 거래 상황(외국계 OEM)

  2024년 600GWh/년 체제, 2025년 700~800GWh 체제 계획

  (표)寧徳時代新能源科技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상용 EV용 신브랜드 '천행'을 새롭게 발표

  레인지 익스텐더용으로는 LiB+나트륨이온전지의 조합을 제안

  (표)CATL 2022~2024년 발표 전지 제품

  (표)CATL LiB 개발 로드맵

  NCM의 OEM처 확대 방향, Li는 시세 급락을 근거로 조달을 재고

  (표)CATL LiB 부재 관련 대처 상황

  (표)CATL LiB 부재 원료(Co, Li) 관련 대처 상황

  'Choco-SEB'의 최신형을 새롭게 발표, 2025년 대응 차종 확충 예정

比亜迪股份有限公(BYD)/弗迪電池(FinDream Battery)

  수직통합체제 활용, 차량-전지 양륜진화로 차별화 가속화

  PHEV의 성장률 증가에 따라 2024년 용량 기반의 성장률은 전년도를 밑도는 형태로 추이

  (표)比亜迪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比亜迪(弗迪電池)의 LiB 채용 x EV 라인업

  엔진 열효율을 개선한 'DM' 플랫폼 5세대 시스템 발표

  (표)BYDEV, PHEV용 플랫폼

  헝가리, 독일, 터키 등 해외전개는 공장건설을 포함하여 활발해지는 방향

  (표)아세안 지역의 BYD 진출 상황

  생산능력은 400GWh/년까지 확대

  (표)比亜迪/弗迪電池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2020~2024년에 걸쳐 블레이드 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 추진

  (표)BYD 블레이드전지 참고 스펙 추이(2020~2024년)

  (표)NCM(EV용) 개발 로드맵

주식회사 LG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s, Ltd.)

  전지 제조의 영역을 넘어 향후 에너지 순환 생태계의 중심 역할로

  사업영역의 비약을 목표

  분사 이후 최초 기업 비전 'Empower Every Possibility' 발표

  (표)LGES의 4가지 중장기 전략

  미국 Rivian을 새로운 고객으로 획득

  (표)LGES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표)LGES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국내 전지 업체 최초로 EV용 LFP 전지 유럽시장 개척 성공

  미국 거점 단독·합작 모두 계획 재검토 가능성

  (표)LGES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표)LG ES자동차 OEM(GM, Stellantis, 현대자동차)과 합작 생산 거점 계획

  파우치, 원통, 각형 3개의 폼 팩터 전략을 구축

  전지 셀을 '1일'에 설계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새롭게 개발

  고전압 미들니켈과 파우치형 CTP 기술을 융합, 상용차용으로 제안

  중국 양극재 업체와 저가형 시장용 LFP 공급계약 체결

  LG화학 양극재 북미 생산체제 구축 추진

  국내업체와의 JV로 전구체 시제품 생산 성공

  (표)LG화학 양극재 생산능력 추이

  (표)LGES·LG화학의 양극재 원재료 조달에 관한 계약 상황 일람

  (표)LGES, LG화학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채용 동향

  (흑연, 주변 부재 조달 관련 포함)

파나소닉에너지 주식회사/플럼플래닛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전동차 시장의 다음 스테이지를 내다본 생산체제·개발을 추진

  부진한 파나소닉에너지는 Tesla 의존 탈피 추진, PPES는 EV용 비율 상승

  (표)파나소닉에너지/PPES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파나소닉에너지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표)PPES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파나소닉에너지는 북미 제3거점을 재검토하여 2030년도 150~160WGh/년 체제로

  일본에서는 4680셀을 취급하는 와카야마 공장이 태동

  (표)파나소닉에너지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수요 동향에 따른 능력 증강과 함께 생산공정상 CO2 감축 대처도 추진

  히메지 공장에서는 2026년부터 토요타 차세대 퍼포먼스판 LiB의 생산 개시를 예정

  (표)PPES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코발트 사용량의 추가 인하를 추구하는 재료 조달 측면에서의 CO2 저감도 다각적으로 추진

  (표)파나소닉에너지 전지 재료 관련 개발, 대처 상황

  차세대 퍼포먼스판 LiB에서는 용량 향상과 비용 절감의 양립을 목표

삼성SDI 주식회사(Samsung SDI Co., Ltd.)

  제품 라인업 확충, 재료 서플라이 강화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 확보를 목표

  프리미엄 자동차용 전지가 출하를 이끈다

  (표)Samsung SDI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Samsung SDI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한국 거점에서는 2025년에 46π셀, 2026년에 ESS용 LFP셀의 양산 개시를 목표

  미국 Stellantis 합작공장 조기 가동

  (표)Samsung SDI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표)Samsung SDI 자동차 OEM(Stellantis, GM)과의 합작에 의한 생산거점 계획

  EV용 'PRiMX'는 2026년에 Gen.7의 양산 개시를 목표

  상용 EV용 LFP 전지, 부품·중량 저감한 'Cell to Pack' 기술 새롭게 공개

  (표)Samsung SDI 각형 셀 라인업

  (표)Samsung SDI 제품 로드맵

  (표)Samsung SDI 글로벌 R&D 거점

  양극재는 합작사업과 더불어 내제능력 확대 추진

  (표)Samsung SDI의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채용 동향

  전고체전지 양산 로드맵 최초 공개

  900Wh/L 에너지밀도 실현, 최소 2027년 양산화 목표

  (그림)Samsung SDIASB (All Solid Battery) 로드맵

合肥国軒高科動力能源有限公司(Hefei Guoxuan High-tech Power Energy Co., Ltd.)

  해외 전개에 대한 주력도가 높아지다

  2024년에도 전년도를 상회하는 출하를 유지

  (표)国軒高科 매출액 추이

  (표)国軒高科 영업비용·이익률

  (표)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国軒高科 자동차용 LiB 수주 프로젝트 일람(중국)

  해외 생산거점 구축 강화, 2025년 총 200GWh 초과 계획

  (표)国軒高科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2025년에 미국의 팩 거점이 ESS용으로 가동 개시 예정

  '5C 슈퍼차지 G그레이드 전지' '4695 스타 NCM 전지' 개발

  3세대 LFP 전지 ‘启晨 L600 LMFP‘ 개발

  VW용 UC 표준 전지 샘플 공급

  반고체전지-전고체전지 개발 추진

  재료 관련해서는 음극재 일관생산 프로젝트를 새롭게 시작

SK on 주식회사(SK on Co, Ltd.)

  원가, 기술, 제조 등에서의 핵심역량 확립에 주력

  2023년 출하량은 전년대비 119.1%, 2024년 Q3 출범 이후 첫 영업흑자 달성

  (표)SK on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표)SK on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2025년까지 180GWh의 글로벌 생산능력 증강을 목표

  (표)SK on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표)SK on 자동차 OEM(Ford, 현대자동차, EVE 등)과의 합작에 의한 생산거점 계획

  NCM9, SF(Super-Fast) Battery, LFP셀 개발 추진

  재료의 안정적 조달을 위한 JV 설립 움직임도 활발화

  각형 셀은 개발이 완료, 원통형 셀도 개발을 추진하여 2026년에 LFP 전지의 양산을 목표

주식회사 AESC 그룹(AESC Group Ltd.)

  향후 고객·시장 니즈를 고려한 다면적 전개 유지

  2024년은 주요 공급처 EV의 판매 동향에 영향을 받는다

  (표)AESC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AESC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이바라키 거점, 프랑스 거점에 이어 2026년에는 스페인 거점이 더해져 세계 6개국 체제로

  (표)AESC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제5세대(Gen.5) 셀 생산을 새롭게 시작하여 한층 더 고용량화를 풀 라인업

  셀 내에서 추진

  (그림·표)AESC Gen.4~Gen.7/Post LiB 기술 로드맵

  (표)AESC 'High Energy', High Voltage' 셀의 주요 부재 채택 상황

주식회사 GS유아사(주식회사 블루에너지)

  HEV 수요 증가에 대응하면서 고객의 다음 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PHEV, EV용 LiB 공급을 위한 대처를 추진

  HEV용은 계속 출하량·공급처 모두 확대, PHEV용은 회복 조짐

  (표)GS유아사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GS유아사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기존 거점에서는 HEV용 LiB에 이어 PHEV용 LiB 생산능력 인상 계획

  2027년에 EV용, PHEV용 타깃 신공장이 가동 예정

  (표)GS유아사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PHEV용, EV용 모두 LiB 셀 라인업 추가

  (표)LEJ 자동차용 LiB 셀 제품 라인업

  (표)Blue Energy 자동차용 LiB 셀의 특징

  (표)GS유아사 차세대 전지 관련 개발 동향(2019~2025년)

비히클에너지재팬 주식회사

  HEV용을 축으로 하면서 자신의 영역 확대로

  고객의 향후 전동화 니즈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

  6세대 이후 셀을 통해 솔루션 확충 가능성 추구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 제품 라인업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48V 전지팩

  (표)비히클에너지재팬 자동차용 LiBHEV용 모듈

토요타전지 주식회사

  HEV용은 Ni-MH, LiB의 양륜체제를 확립, 향후 EV용으로 영역을 확대

  HEV 시장 성장에 따라 출하 증가를 지속

  (표)토요타전지 자동차용 LiB 출하량 추이

  (표)토요타전지 자동차용 LiB 주요 수주 프로젝트 일람

  2025년에 HEV용 LiB 생산능력을 1단 더 확충

  (표)토요타전지 자동차용 전지 생산거점·생산능력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