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건설DX(ConTech) 시장의 실태와 전망 ~소프트웨어·솔루션편(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19300
발간일
2025/03/28
체재
A4 / 24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4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2024년 3월 발간된 '2024년판 건설현장 DX 시장의 실태와 전망'은 시공현장에서 구현되는 주로 하드웨어 측면에 관한 기술을 중심으로 리포팅하여 시공현장의 자동화·생력화 등의 기술동향을 조사했다.

이번에 신규로 발간하는 2025년판 건설 DX(ConTech) 시장 실태와 전망~소프트웨어 솔루션편~에서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업~건물 인도까지 이르는 건축 프로세스에서의 솔루션·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건설테크(CONTECH) 시장의 실태와 장래성을 분석, 전망했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건설테크 시장에 관한 데스크 리서치 및 해당 시장에 진출하는 주요 플레이어에 대한 청취조사를 바탕으로 건설테크 시장의 실태와 장래성을 분석하여 장래에 대한 전망을 정리했습니다. 본 자료가 당 업계를 비롯한 관련 업계 각위의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 조사편집기간:

조사·분석기간 2024년 12월~2025년 3월

편집기간 2025년 3월

• 조사대상: 건설테크 시장 및 건설테크 관련 주요 플레이어

• 조사방법:

·전문 조사원의 대면취재

·공표 데이터 수집 및 문헌조사

◆자료 포인트

• 건설DX(ConTech) 시장을 전망하는 신규 마케팅 리포트

• 2030년까지의 건설DX(ConTech) 시장 규모를 정량적으로 예측

• 유력 사업자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참여하는 스타트업 등 주목 사업자의 동향을 게재

• 향후 트렌드, 방향성 등의 파악에 기여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의 포인트

1. 시장동향

2. 기업동향

3. 전망과 과제

제1장 건설업계의 과제와 건설테크(ConTech)에 대한 일본의 움직임

(1)건설업계의 특징 정리

  ①건설업의 비즈니스 모델

  ②건설시장의 규모

  ③건설업계의 구조와 플레이어

  ③-1 건설업계의 구조

  ③-2 건설업계 플레이어

  ④ 건설업계의 사업자 수·사업자 규모

  ⑤ 건설업계 종사자 수/인재 확보·육성책

  ⑤-1. 건설업계 종사자 수

  ⑤-2. 건설업의 인재 확보·육성책

    (1)건설 캐리어 업 시스템(CCUS)(인재확보방안)

    (2)특정 기능 외국인 수용(인재확보방안)

    (3)여성 확보(인재확보방안)

    (4)그 외 인재확보방안

    (5)그 외 인재육성방안

    (6)민간기업의 인재확보 대처

  ⑥건설업 2024년 문제(잔업시간 상한 규제)

  ⑦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

  ⑧건설비용은 상승

  ⑨건설업의 IT화 침투 상황

  ⑩건설업에서 DX화가 늦어지고 있는 이유

  ⑪건설업의 IT투자 동향

(2)건설테크(ConTech)에 대한 일본의 움직임

  Ⅰ)국가의 움직임

    ①i-Construction

    ②BIM

    ③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증제도

    ④'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종목(DX종목)' 선정

  Ⅱ)민간의 움직임

    ①업계단체의 대처

    ②민간기업의 대처

    (1)민간기업의 협업에 관한 대처

    (2)건설사업자의 연구개발비 동향

    (3)대형 종합건설사·하도급 업체·하우스 메이커의 디지털 관련에 관한 경영계획

    (4)건설 대기업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상황

제2장 건설테크(ConTech) 시장개황

(1)건설테크의 정의·조사대상 영역

(2)건설테크(ConTech)의 필요성

(3)건설테크(ConTech)에 임하는 주요 플레이어(영역별)/프로덕트 리스트

(4)생성AI에 관한 대형 사업자의 대처 사례

(5)일본 건설테크 스타트업 자금 조달 순위

(6)건설테크(ConTech) 시장규모 추이·예측(7개 영역별)

  ①영업, ②설계, ③VR/AR, ④적산·견적, ⑤조달·수배, ⑥시공관리, ⑦ERP

(7)기업동향

(8)전망과 과제

제3장 유력 진출 플레이어의 실태

<측량>

nat 주식회사

~누구나 쉽게 현실공간을 고정밀도로 디지털화하는 iOS 앱 'Scanat'을 전개~

<CAD 소프트웨어>

오토데스크 주식회사

~CAD 툴의 디팩토 표준 [AutoCAD]를 전개~

<CAD 소프트웨어>

주식회사 다이텍

통합설비 CAD 'CAD We'll Tfas' 등을 전개. 유연하고 섬세한 서포트가 호평~

<CAD 소프트웨어>

후쿠이컴퓨터그룹

~업계 최고 수준의 납품 실적을 자랑하는 건축 CAD 소프트 'ARCHITREND ZERO' 시리즈 등을 전개~

<머티리얼 플랫폼>

DesignFuture Japan 주식회사

~디자인하는 사람과 소재를 연결하는 머티리얼 샘플 플랫폼 'Material Bank®Japan' 운영~

<DX솔루션 및 관리업무 지원>

아카리 주식회사

~도쿄대학 마쓰오연구실발의 AI 스타트업. AI 기술을 활용하여 건설업계 DX 추진~

<공사관리 및 매칭>

REMODELA 주식회사

~내장공사 발주자와 수주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제공~

<시공관리>

주식회사 알다그램

건설업·부동산업·제조업 등의 논데스크워크 업계에서의 현장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DX서비스 'KANNA'를 전개~

<시공관리>

스파이더플러스 주식회사

~시공관리업무를 앱 하나에 담은 건축도면 및 현장관리 앱 'SPIDER PLUS'~

<시공관리>

주식회사 포트랙션

~건설현장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올인원 건설플랫폼 SaaS ‘Photoruction’~

<노무관리>

주식회사 SHO-CASE

~언제·누가·어느 현장에 있었는지를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는 노무관리 SaaS ‘SHO-CASE’~

<기간업무관리시스템>

SCSK 주식회사

~도입기업 600개사 이상에 이르는 건설공사 및 주택기간업무관리시스템 ‘PImacs’ 시리즈 제공~

<기간업무관리시스템>

애니원 주식회사

~3,400여개 업체에 도입, 공무점, 리모델링 회사에 특화된 업무관리시스템 AnyONE~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