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주목되는 동남아시아 4개국(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식품 관련 산업과 소비동향 최신 트렌드(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0900
발간일
2025/03/27
체재
A4 / 274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74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기업 성장을 위해 해외진출 기업이 증가, 주목받고 있는 동남아시아 4개국의 식품 시장을 조사.

농림수산성은 2024년 농산물 수출액이 1.5조 엔을 기록해, 일식 인기를 배경으로 사상 최고를 갱신했다고 발표했다. 일본 시장은 저출산 고령화, 인구 감소가 계속되는 가운데 식품 관련 기업들은 다음 성장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을 검토하는 기업이 늘고 있어 정부도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동남아는 인구 증가, 중산층 확대를 배경으로 한 구매력 향상을 기대하는 기업이 많다. 구미와 비교해 물류를 확보하기 쉬운 점, 일본과 같은 아시아권이기에 기호성이 비슷한 점 등도 시장성을 유망시하는 요인의 하나다.

이번에는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주목도가 높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타깃으로 시장조사를 실시해 식품 관련 산업 현황을 정리했다. 또, 베트남에 대해서는 현지 소비자 조사도 실시해 음식의 라이프 스타일과 일본 브랜드와의 터치 포인트 등을 조사했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내수 축소로 식품 관련 산업의 해외 전개가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지방의 중견·중소기업에서도 해외전개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어 농림수산성도 이러한 대응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조사에서는 ASEAN 중에서도 특히 전개처로서 주목도가 높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4개국을 대상으로 현지 경제환경을 정리하고, 현지 식품제조업, 식품소매업, 일본의 식품 관련 산업 진출 동향 등의 시장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해외전개 강화를 전망하는 중견·중소기업의 해외전개 강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 조사대상: ASEAN 국가 중에서도 경제성장률이 높고 중산층 확대가 기대되는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4개국을 대상으로 했다.

• 조사방법:

·각국의 공적 통계로부터 국가의 동향, 경제환경 등을 정리

·당사 전문연구원, 파트너에 의한 현지조사

·인터넷 소비자 조사(베트남)

• 조사기간: 2024년 9월~2025년 3월

◆자료 포인트

•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슈퍼마켓, 편의점 등의 근대 소매업이 급확대되고 있는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타깃으로 시장조사를 실시.

• 최근 일본 기업의 진출이 눈에 띄는 베트남에 대해서는 현지 거주자의 소비자 조사도 실시.

• 현지 소매업, 식품 메이커 등 현지 정보도 다수 포함시켜 향후 전개를 검토하기 위한 1권으로 정리.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1. 각종 경제지표로 본 ASEAN 4개국 현황

2. ASEAN 4개국 식품업계 동향

1. 태국

(1)기초정보

  ①인구 추이

  ②인구 동태

  ③합계출산율, 출생수 추이

  ④가구 특징

  ⑤경제 동향

    ·국내총생산(GDP)

    ·실질 GDP 추이

  ⑥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상승률 추이

  ⑦실업률의 추이

  ⑧개인소비지출현황

    ·가구당 월평균 지출

    ·가계의 연간 개인소비지출액 추이

  ⑨경제특성~재벌지배에 의한 태국경제~

(2)태국 식품제조업 동향

  ①국내생산의 개황

    ·생산금액 기준

    ·생산수량 기준

  ②주력 제품 카테고리(가공식품)의 트렌드

  ②-1. 유제품

  ②-2. 가루·면류

  ②-3. 과자류, 당류

  ②-4. 조미료류

  ②-5. 음료, 알코올음료

(3)식품소매업의 동향

  ①개황

  ②근대 소매업(MT) 동향

  ③슈퍼마켓

  ③-1. Big C

  ③-2. Lotus’s

  ③-3. Tops

  ③-4. UFM FUJISUPERMARKET

  ③5. 돈키호테

  ③-6. 세븐일레븐

  ③-7. 로손

2. 베트남

(1)기초정보

  ①인구 추이

  ②인구 동태

  ③합계출산율, 영아사망률

  ④가구수, 가구인원수

  ⑤경제 동향

    ·국내총생산(GDP)

    ·실질 GDP 추이

  ⑥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상승률 추이

  ⑦노동인구의 상황

  ⑧실업률의 추이

  ⑨가계의 상황

(2)베트남의 식품제조업 동향

  ①국내생산의 개황

  ②식품 수출입 동향

  ③베트남의 식품산업 토픽스

  ④주요 제품 카테고리(가공식품)의 트렌드

  ④-1. 유제품

  ④-2. 가루·면류

  ④-3. 과자류

  ④-4. 조미료류

  ④-5. 음료, 알코올음료

(3)베트남의 식품소매 사정

  ①베트남의 식품소매업 현황

  ②베트남의 근대 소매업 동향

  ③베트남의 강력한 소매업

  ③-1. Wincommerce

  ③-2. 호치민시 상업합작사(사이공코프)

  ③-3. GO!(구 Big C)

  ③-4. 이온그룹

  ③-5. 미니스톱

  ③-6. 기타 편의점

(4)베트남 소비자의 식사 실태 조사(소비자 조사)

  ■조사의 전제

  ■응답자 속성

  ①가구 인원수

  ②가구 구성

  ③가구 연수입

  ④1개월당 식비(가구당)

  ⑤평상시 식사형태

  ⑥외식빈도

  ⑦외식으로 자주 이용하는 장소

  ⑧반찬 구입빈도

  ⑨반찬 구입장소

  ⑩평소 식사에서의 주식(아침/점심/저녁)

  ⑪평소 식사에서 중시하는 포인트

  ⑫식사의 주요 단백질 섭취원

  ⑬식품 구입빈도(신선식품/가공식품)

  ⑭식료품 구입장소(신선식품/가공식품)

  ⑮식품 구입에 자주 이용하는 슈퍼, 편의점 체인

  ⑯좋아하는 요리의 장르·지금까지의 시식 경험

  ⑰일본 브랜드의 식품 구입 현황

  ⑱일본 식품 브랜드를 알게 된 계기

  ⑲일본 식품 브랜드를 구입하게 된 계기

  ⑳일식과 일본 식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㉑일본 식품 브랜드의 향후 구입 의향

3. 인도네시아

(1)기초정보

  ①인구 추이

    ·전체 인구, 지역별 인구

    ·소득 계급별 인구

  ②인구 동태

  ③합계출산율, 출생수 추이

  ④가구 특징

  ⑤경제 동향

    ·국내총생산(GDP) 추이

    ·실질 GDP 성장률 추이

  ⑥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상승률 추이

  ⑦실업률의 추이

  ⑧가계 상황~1인당 월평균 지출~

(2)인도네시아의 식품제조업 동향

  ①국내생산의 개황

  ②외식 동향

  ③식품 수출입 동향

  ④인도네시아의 최근 식 트렌드

  ⑤주력 제품 카테고리(가공식품)의 트렌드

  ⑤-1. 유제품

  ⑤-2. 가루, 면류

  ⑤-3. 과자류

  ⑤-4. 양념류

  ⑤-5. 음료, 알코올음료

(3)식품 소매업의 동향

  ①개황

  ②근대 소매업(MT) 동향

  ③-1. Alfamart/Alfamidi(Sumber Alfaria Trijaya 그룹)

  ③-2. Indomaret(Indomarco Prismatama)

  ③-3. Hypermart, Foodmart, Hyfresh, FMX(PT Matahari Putra Prima Tbk)

  ③-4. Hero supermarket(PT Hero Retail Nusantara)

  ③-5. LAWSON

  ③-6. FamilyMart

  ③-7. GoFood/GoMart(Gojek)

  ③-8. Papaya Fresh Gallery(일본계 슈퍼)

4. 필리핀

(1)기초정보

  ①인구 추이

  ②인구 동태

  ③합계출산율, 출생수 추이

  ④가구수, 가구특징

  ⑤소득 분포

  ⑥경제 동향

    ·국내총생산(GDP) 추이

    ·실질 GDP 성장률 추이

  ⑦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상승률 추이

  ⑧실업률의 추이

  ⑨소득과 지출~필리핀 가계조사~

  ⑩식품에 대한 지출

(2)필리핀의 식품제조업 동향

  ①국내 생산의 개황

  ②외식 동향

  ③식품 수입 동향

  ④필리핀의 최근 식 트렌드

  ⑤주력 제품 카테고리(가공식품)의 트렌드

  ⑤-1. 유제품

  ⑤-2. 가루·면류

  ⑤-3. 과자류

  ⑤-4. 조미료류

  ⑤-5. 음료, 알코올음료

(3)식품소매업의 동향

  ①개황

  ②근대 소매업(MT) 동향

  ②-1.SM Retail, Inc.

  ②-2.Robinsons Supermarket

  ②-3.PUREGOLD PRICE CLUB, INC.

  ②-4.Metro Retail Stores Group

  ②-5.7-Eleven

  ②-6.LAWSON

  ②-7.FamilyM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