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의료 ICT 시장의 현황과 전망 ~클리닉·약국 시장편~(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2600
발간일
2025/02/28
체재
A4 / 181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81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본 자료에서는 최근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클리닉과 약국용 의료 ICT 및 기간시스템(전자의무기록시스템, 전자약력)의 시장 현황과 장래 전망을 분석한다. 또, 클리닉 설문조사(온라인진료를 중심으로 한 의료 ICT에 관해서)도 실시한다.

해당 자료는 '2022년판 차세대 의료 ICT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재구성해 클리닉·약국용 제품군을 조사대상으로 한 자료다.

◆조사개요

• 조사취지: 본 자료에서는 최근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클리닉과 약국용 의료 ICT 및 기간시스템(전자의무기록시스템, 전자약력)의 시장 현황과 장래 전망을 분석한다. 또, 클리닉 설문조사(온라인진료를 중심으로 한 의료 ICT에 관해서)도 실시한다.

해당 자료는 '2022년판 차세대 의료 ICT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재구성해 클리닉·약국용 제품군을 조사대상으로 한 자료다.

• 조사방법: 의료 ICT 진출기업에 대한 취재(원격, 전화 포함), 문헌조사 병용

• 조사·편집기간: 2024년 11월~2025년 2월

• 조사·집계분석 유의점:

(1)분류항목에 대해서는 각 기업의 견해를 바탕으로 폐사 독자적으로 분류

(2)시장규모 실적 및 예측은 모두 일본 국내시장 기준

◆자료 포인트

• 클리닉·약국용의 의료 ICT 및 기간시스템(전자의무기록시스템, 전자약력)의 시장 현황과 장래 전망을 분석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은 '2024년판 의료정보 시스템(EMR·EHR) 시장의 장래 전망'에서 일부 갱신 인용

• '2022년판 차세대 의료 ICT 시장의 현황과 전망」에서의 조사대상에 더해, 종합 ICT, PHR 관련 서비스(주로 클리닉용), 전자약력 등의 시장도 조사. 또한 신흥 IT(전자의무기록시스템 작성 지원 AI, 요양계획서 작성 지원) 개요도 게재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1. 의료 ICT 시장의 개요

1.1 시장개요

  1.1.1 본 자료에 대한 의료 ICT 시장의 분류와 현황

    도표1.1-1: 본 자료에서 다루는 의료 ICT 시장의 범위

    도표1.1-2: 클리닉용 의료 ICT 등의 전체상

    도표1.1-3: 클리닉·약국의 기간시스템 관련 M&A 개요

  1.1.2 의료 ICT 보급의 배경 ①환자측: 스마트폰 보유현황

    도표1.1-4: 연령계급별 스마트폰 보유율(2013~2023년)

  1.1.3 의료 ICT 보급기반 ②의료기관측: 각종 요인

    도표1.1-5: 의료시설 종사 의사 수(클리닉)

    도표1.1-6: 클리닉 신규 개업 시 의료 ICT 도입 상황

1.2 시장규모 추이

  도표1.2-1: 클리닉·약국 의료 ICT 계약시설 수 추이(표)

  도표1.2-2: 클리닉·약국 의료 ICT 시장규모 추이(표)

  도표1.2-3: 클리닉·약국 의료 ICT 시장규모 추이(그래프)

  도표1.2-4: 클리닉 의료 ICT 시장규모 추이(그래프)

  도표1.2-5: 약국 의료 ICT 시장규모 추이(그래프)

2. 클리닉 ICT 시장

2.1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시스템

  2.1.1.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시장 개요

    도표2.1-1: 일반진료소에서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화 상황※2023년 10월 기준

    도표2.1-2: 일반진료소에서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률 추이

  2.1.2 정부의 의료DX 시책과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시장에 미치는 영향

  2.1.3 진출기업

    도표2.1-3: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진출기업 예

    도표2.1-4: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기업별 가동 시설 수·점유율(2024/7 기준)

    ①온프레미스형 중심 및 클라우드형 병매 기업

    ②클라우드형 전업 기업

  2.1.4. 무상진료소에서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률 예측(@2030년)

    도표2.1-5: 의료시설 종사 의사 수(진료소)

    도표2.1-6: 단순화한 모델에 의한 무상진료소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화 상황의 시산

    도표2.1-7: 일반진료소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추계 가동시설 수 추이(2018~2030년 예측)

    도표2.1-8: 무상진료소에서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률 예측@2030년

  2.1.5. 일반진료소에서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클라우드형 비율 예측(~2030년)

    도표2.1-9: 일반진료소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클라우드형 비율·실수 추이(~2030년 예측)

  2.1.6. 일반진료소(무상)용 시스템 금액 시장 추이

    도표2.1-10: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금액 시장 추이(Total/분야별)

    도표2.1-11: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금액 시장 추이(온프레미스)

    도표2.1-12: 일반진료소(무상)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금액 시장 추이(클라우드)

2.2. 종합 ICT

  2.2.1 시장개요 및 진출기업

  2.2.2 시장규모·장래전망

    도표2.2-1: 종합 ICT 계약시설 수 추이

    도표2.2-2: 종합 ICT 시장규모 추이

2.3. 진료예약시스템

  2.3.1 시장개요

    도표2.3-1: 신규 개업 시의 진료예약시스템 도입 상황 이미지

  2.3.2 진출업체

    도표2.3-2: 주요 진료예약시스템 기업의 계약 시설 수(2024/12기준 추계)

    도표2.3-3: 진료예약시스템 벤더와 개요

  2.3.3 시장규모

    도표2.3-4: 진료예약시스템 계약시설 수 추이(전문/종합 ICT·옵션 등 별도)

    도표2.3-5: 진료예약시스템 시장규모 추이(전문 시스템)

  2.3.4 장래전망

2.4. 전자문진(Web문진/태블릿문진) 시스템

  2.4.1 시장개요

    도표2.4-1: 전자문진시스템 도입의 장점

    도표2.4-2: 병원에서의 시간외 노동의 주된 이유(복수응답)

  2.4.2 진출업체

    도표2.4-3: 주요 전자문진시스템 기업의 계약시설 수(2024/12 기준 추계)

  2.4.3 시장규모

    도표2.4-4: 전자문진시스템 계약시설 수 추이(전문/종합ICT·옵션 등 별도)

    도표2.4-5: 전자문진시스템 시장규모 추이(전문시스템)

  2.4.4 장래전망

2.5. 온라인진료시스템

  2.5.1 시장개요

    도표2.5-1: 온라인진료, 온라인진료 권장, 원격 건강의료 상담 분류

    도표2.5-2: 진료수가의 변화

  2.5.2 진출업체

    도표2.5-3: 주요 온라인진료시스템 기업의 계약시설 수(2024/12기준 추계)

    도표2.5-4: 코로나 사태 이전의 주요 온라인진료시스템 진출기업

    도표2.5-5: 코로나 사태 이후의 온라인진료시스템 진출기업

  2.5.3 시장규모

    도표2.5-6: 온라인진료시스템 계약시설 수 추이(전문/종합 ICT·옵션 등 별도)

    도표2.5-7: 온라인진료시스템 시장규모 추이(전문시스템)

  2.5.4 장래전망

2.6. PHR 관련 서비스(주로 클리닉용)

  2.6.1 시장개요 및 진출기업

    도표2.6-1: PHR/PHR 관련 서비스의 개요

    도표2.6-2: PHR 관련 서비스의 분류

    도표2.6-3: 의료기관에 대한 PHR 공유 서비스 기업 예

  2.6.2 시장규모

    도표2.6-4: PHR 관련 서비스(주로 클리닉 대상) 계약시설 수 추이

    도표2.6-5: PHR 관련 서비스(주로 클리닉 대상) 시장규모 추이

    도표2.6-6: 헬스케어 앱의 사업 전개 형태의 전체상

  2.6.3 장래전망

2.7. 가장 최근의 주목 서비스 시장의 개황

  2.7.1.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작성 지원 AI 서비스

  2.7.2. 요양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3. 약국 ICT 시장

3.1 전자약력시스템

  3.1.1 시장개황

    도표3.1-1: 약국의 전자화 상황

    도표3.1-2: 전자약수첩과 약력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점(복수응답)

  3.1.2 진출기업

    도표3.1-3: 주요 전자약력시스템 기업의 계약시설 수(2024/12 기준 추계)

    참고| 약력 작성 지원 AI 서비스 개요

  3.1.3 시장규모

    도표3.1-4: 전자약력시스템 가동시설 수 추이

    도표3.1-5: 전자약력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3.1.4 장래전망

3.2. 약국 ICT(복약팔로우업/온라인복약지도)

  3.2.1 시장개황

    도표3.2-1: 복약팔로우업의 개요

    도표3.2-2: 복약지도 등 업무평가의 주요 재검토 항목(복약팔로우 관련 발췌)

  3.2.2 진출기업

    도표3.2-3: 주요 약국 ICT 기업의 계약시설 수(2024/12 기준 추계)

  3.2.3 시장규모

    도표3.2-4: 약국 ICT 계약시설 수 추이

    도표3.2-5: 약국 ICT 시장규모 추이

  3.2.4 장래전망

    참고| 기타 약국을 위한 ICT(PHR) 서비스 개요(전자약수첩/기타)

4. 클리닉 설문조사

4.1. 클리닉 설문조사 요강

4.2. 설문결과(단순집계)

  문제1. 귀원의 진료과목(모두)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2. 귀원의 1일당 평균 환자 수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3. 귀원의 코로나19 온라인진료의 시한적·특례적 취급

  (이하 시한조치) 종료 이전(2024년 3월 이전) 월평균 온라인진료 실시

  건수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4. 귀원의 시한조치 종료 후(2024년 4월 이후) 월평균 온라인진료 실시

  건수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5. 귀원에서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향후 월평균 온라인진료 실시 건수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6. 귀원의 시한조치 종료 후(2024년 4월 이후)의 온라인진료에

  관련하여, 이하의 각 항목의 실시대상 정도로서 가장 가까운 것에 ○를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7. 귀 병원의 온라인진료 실시에 있어서 이하의 각 항목에 과제가

  있거나, 가장 가까운 것에 〇을 기입해 주십시오.

  문제8. 의과클리닉의 온라인진료의 적절한 보급을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진료방법

  항목이 어느 정도 기여한다고 생각되는지 가장 가까운 것에 〇을 기입해 주십시오.

  ※사견으로 문제없습니다.

  문제9. 아래의 온라인진료시스템의 시한 조치 종료 후 이용 상황으로 가장

  가까운 것에 ○를 기입해 주세요.

  문제10. ①범용시스템(Zoom 등)이 아닌 온라인진료시스템으로 온라인

  진료를 하는 이유 및 ②온라인진료시스템이 아닌 범용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진료를 실시하는 이유를, 각각 대답해 주세요.

  이하의 각 행의 시스템·기기에 대하여 도입 상황·향후 도입 의향으로서

  가장 가까운 것에 〇을 기입해 주십시오.

  이하의 각 행의 시스템의 이용 만족도로서 가장 가까운 것에 〇을 기입해 주세요.

  문제13. IT/ICT 서비스의 주된 정보수집 수단(모든 것)에 〇을 기입해 주십시오.

  14. 앞으로 어떤 서비스, 기기 등이 있으면 도움이 되는가(온라인진료 등 ICT

  한정되지 않음) 의견이 있으시면 기입해 주십시오.

5. 기업 개표

 

株式会社iMedX
株式会社アクシス
agree株式会社
株式会社EMシステムズ
株式会社医針盤
株式会社インテグリティ・ヘルスケア
ウィーメックス株式会社
ウィーメックスヘルスケアシステムズ株式会社
株式会社NTTデータ
株式会社MG-DX
株式会社おいしい健康
株式会社カケハシ
kanata株式会社
GMO医療予約技術研究所株式会社
GMOヘルステック株式会社
ジェイ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株式会社システム計画研究所
ドクターキューブ株式会社
株式会社HERO innovation
株式会社ファーマシフト
株式会社Pleap
株式会社MICIN
メディカルデータカード株式会社
株式会社メドレー
メドピア株式会社
株式会社レイヤード

 

서머리 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