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의 전망과 전략(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조사개요
조사목적: 일본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의 현재 시장동향, 바이오 플라스틱(생분해성, 바이오 베이스) 메이커 및 사용 기업에게 사용 상황, 어플리케이션 동향 및 정책 등을 조사하여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의 현황과 향후 동향을 파악한다.
조사대상: 생분해성 플라스틱 메이커,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제조기업, 유저 기업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의 대면 취재 및 문헌 조사 병행.
조사·분석기간: 2024년 12월 1일 ~ 2025년 4월 2일
◆자료 포인트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바이오매스 나프타 유래의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규모 산출, 유저기업 설문조사 폐지, 일본·유럽의 정책 등, 인증제도, 바이오 원료에 대해 게재, 글로벌 시장의 동향을 게재
리서치 내용
제1장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의 전망과 전략
후방산업 기업은 '비화석화'라는 그린케미칼의 소구를 통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을 확대
유저 기업에게는 '환경적 부가가치' 등 프리미엄 가치 부여를 통해 구매의욕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
현재는 제1세대 유래 바이오매스인 바이오 플라스틱이 시장의 중심
글로벌 대기업이 장악한 바이오 PE·PLA 속에서 일본이 선택해야 할 바이오화 전략
(그림) 생분해성 플라스틱 밸류체인 예(제1세대, 제2세대 유래)
(그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밸류체인 예①(제1세대·제2세대→바이오 PE)
(그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밸류체인 예②(제1세대~제3세대)
(그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밸류체인 예③ (CO2를 원료로 한 경우)
(그림)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별로 일본이 추진해야 할 대응
(그림) 바이오 플라스틱 메이커· 유저기업이 가져야 할 시각
일본산 바이오매스 나프타라는 잠재력이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확대의 길
(표) 세대별 바이오매스 원료, CO2의 잠재력
현재로서는 리스크와 잠재력 2개의 축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에 양립
(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한 일본산 SAF의 생산량 추이(2024~2030년)
중장기적으로 보면 CO2 유래의 화학제품도 게임 체인저로 시장에 기여
그린수소 일본 제조기술과 가격 저하가 CO2 유래 제품 보급 확대의 열쇠
2021년~2022년에 4차례 개최된 검토회를 통해 로드맵 구현을 추진
일부 민간기업의 노력으로 채용사례와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나 정부의 인센티브도 중요
2030년 일본산 SAF의 부산물인 바이오매스 나프타의 생산 잠재력은 최대 12.6만t/년
(그림) 폐식용유를 원료로 한 일본산 SAF의 시장 잠재력
(그림) 일본산 SAF의 부산물로 보는 바이오매스 나프타 생산량(중량 기준)
(표) 바이오매스 나프타 유래의 각 수지 잠재력 (2030년)
2030년 바이오 플라스틱 단품 일본산 판매량 잠재력 8.1만t으로 예측
(표) 바이오 플라스틱 단품 일본 판매량 잠재력(2021년~2030년)
(그림) 바이오 플라스틱 단품 일본 판매량 잠재력(2021년~2030년)
제2장 바이오 플라스틱 정책·인증 제도 동향
2-1.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주요지역 정책동향
①일본
②유럽
③미국
2-2. 바이오 플라스틱에 관한 인증제도
①TÜV AUSTRIA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인증제도로 정착
②DIN CERTCO
취득 메리트는 유럽 시장으로의 참여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
③식별표시 제도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일률적으로 적용한 그린 플라스틱 인증제도를 2021년에 폐지
생분해성 중에서도 세분화한 생분해성 식별표시 제도를 통해 기준을 엄격화
(표)TÜ VAUSTRIA의 OK바이오 인증
(표) DINCERTCO(TUV RHEINLAND) 인증제도
(표)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인증제도
제3장 바이오 플라스틱 원료 동향
①제1세대 바이오매스
시장을 이끌어 온 식용유래 원료도 최근에는 Food vs. Plastic 문제가 표면화됨
한편, 시장 확대·보급에는 제1세대의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결
(표) 제1세대 바이오 원료 리스트의 일례
②제2세대 바이오매스
푸드 체인(식품 공급구조)과 경쟁관계가 되지 않아 유럽을 필두로 유망시되었으나
기술개발 및 원료조달 비용이 과제가 되어 일부 수지를 제외하고 상업화에 이르지 못함
(표) 제2세대 바이오 원료 리스트의 일례
③제3세대 바이오매스
3세대 바이오매스의 가장 큰 특징은 지속가능성과 고효율 에너지 생산력
(표)바이오매스 원료 세대별 비교
폐식용유·목질 찌꺼기 필두로 바이오 나프타 유래 바이오 플라스틱도 서서히 확대
구미 석유기업이 바이오 정제 시스템를 건설하여 바이오에 특화된 공장을 가동
미생물이 당과 유지를 탄소원으로 체내에 저장하는 제2세대 바이오 플라스틱도 개발
(표)제2세대 바이오 플라스틱 사례
(표)장기적인 포지션 이미지(2035년경)
식물 및 바이오매스 유래가 아닌 CO2가 화학제품의 새로운 자원으로 대두
탄소 재활용 기술을 중심으로 일본 메이커도 잇따라 CO2 유래 수지를 개발
(표) 화학환원 적응 시 주요 반응·제품 예
제4장 바이오 플라스틱 수지별 동향
(그림)바이오 플라스틱 상관도
(표)바이오 플라스틱 분류표
일본에서 유통되는 바이오 플라스틱 대부분이 수입되며, 일본 생산은 아직 일부에 불과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 PE및 바이오 PET도 원료는 브라질과 인도 유래
생분해성 플라스틱
①PLA
일본에서는 PLA와 PBAT, PHA의 최적 배합률을 확립하여 멀티필름으로 사용 증가
일본 기업은 UNITIKA, Highchem, Oji Holdings 등이 상업화를 위해 개발
(표) PLA 용도별 제품 사례
(그림) Highchem 및 TEIJIN FRONTIER의 PLA 수지펠릿
(표) UNITIKA 'TERRAMAC®' 용도 사례
②PBAT
PBAT는 석유유래 수지에도 불구하고 흙으로 돌아가는 생분해성 특질을 가진다
③PBS
바이오 PBS 주요국은 사탕수수와 카사바를 원료로 하는 태국, 미쓰비시케미칼과
태국 PTTGC의 JV가 2025년 중에 BioPBS™의 공장에서 20,000t 증강 예정
(표)바이오 PBS 사용용도 사례
④PHA
일본에서는 KANEKA가 PHBH를 GreenPlanet®로 스타벅스의 바이오 빨대로 생산한 실적
해양 생분해성을 가진 수지로서 땅, 하천, 해양에서 모두 생분해 가능
(표)PhaBuilder 제품 브랜드 및 특징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①바이오PE
일본 바이오PE는 10년 이상 브라질 최대 기업인 Braskem의 ‘I'm Green’ PE를 채택
최근에는 바이오매스 나프타 등 비식용 유래를 원료로 Mass balance방식으로 바이오 PE 개발
(표)바이오PE 용도별 제품 사례
(표)바이오PE vs. 생분해성 플라스틱 비교표
(표)바이오 PE(에탄올 유래)와 바이오 PE(바이오 나프타 유래)의 비교표
②바이오PP
일본은 미쓰이화학·프라임 폴리머 Prasus®의 바이오매스 나프타 유래 바이오 PP가 중심
2025년에는 Prasus®가 오사카 엑스포&Expo의 바닥재로 일부 채용
(표)바이오PP의 용도별 제품 사례
해외에서도 Neste의 바이오매스 나프타를 원료로 Lyondell Basell이 바이오PP를 제조판매
③바이오PET
10년 이상에 걸쳐 바이오EG는 상업생산 완료, 인도 및 브라질 메이커가 일본에 전개
100% 바이오PET용으로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던 테레프탈산의 바이오화도 연구개발이 활발
(표) 바이오PET의 용도별 제품 사례
(표) 바이오TPA 개발 기업의 일례
PET의 대체 소재로 PEF의 주목도가 해외를 필두로 최근 높아지고 있다
(표)PEF제조 방식의 포인트
(표)PEF에 관한 주요 기업과 프로젝트
④바이오PS
복잡한 밸류 체인에서 PS의 바이오화는 식물 유래가 아닌 바이오매스 나프타 유래에 의존
일본에서는 DIC와 이데미쓰코산이 바이오매스 나프타를 이용한 바이오PS의 제조방식을 구축
(표) 바이오 PS의 주요 대처 사례
⑤바이오 엔프라(engineering plastic) (PC, PA, POM 기타)
바이오엔프라는 기능 부분의 채용이 중심이며, 환경 대응이라는 의미의 바이오화는 제정적
엔프라 기업들은 바이오 엔프라 라인업을 확충해 앞으로의 니즈에 대비
(표)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료의 바이오화 상황
(표)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료의 바이오화 상황
제5장 바이오 플라스틱 주요 업계별 사용 동향
1. 식품·음료 관련 시장 동향
PET병에 대한 전면적인 지속가능성 추구 속에서 B to B를 바이오PET로 보완하는 대응이 진행
음료용 종이팩에서는 라미네이트층과 잉크의 바이오화로 더욱 환경가치 향상 추진
(표)주요 브랜드 오너별 PET병 원료 조달 방침
식품용 플라스틱 경량 용기에서는 PP계열을 중심으로 바이오제품 투입이 확대됐으나 사용자, 소비자의 저가 지향 속에서 수요는 부진
(표)플라스틱 경량용기 주요 메이커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용기
2. 소매 유통관련 시장의 동향
CVS는 PB상품의 용기 포장재의 바이오 플라스틱화가 진행, 7&i그룹에서는 상품 채용이 진행
Familymart에서도 주먹밥, 파스타 용기에서 석유유래 플라스틱 사용량 축소
(표)대형 CVS 3사의 환경선언
SM의 바이오 플라스틱 채용은 비용 측면에서 유료 비닐봉지로의 채용이 중심
(표)슈퍼마켓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채용 대응 사례
3. 생활용품 시장의 동향
성형병(본체), 리필파우치 등으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채택이 진행
(표)LION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주요 채용 예
(표)생활용품 제조기업의 바이오 플라스틱 채용 예
4. 자동차시장 동향
PA11, DURABIO™ 등 엔프라영역의 물성을 지닌 바이오 플라스틱의 채택이 중심
'식물 유래·환경 대응'보다 '기능·성능면에서의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재료'가 우선시됨
5.기타
스타벅스가 환경 대응과 사용 편의성을 모두 달성하기 위해 빨대를 종이에서 Green Planet®로 변경
맥도날드는 2023년에 장난감, 2024년에 용기로 바이오 플라스틱 채택 시작
(표)스타벅스의 환경 대응
(표)맥도날드 지속가능한 소재의 활용
화장품·의류 등 패션 관련, 테이블웨어 등에서 바이오 플라스틱+바이오매스 필러 복합재 투입 활발화
(그림) MOCTEX®와 용도 예시
(그림) 달걀껍질 합성피혁
6장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기업의 전망과 전략
미쓰비시케미칼 주식회사
용기포장재, 농업용 등 범용 영역에는 생분해성을 가진 BioPBS™,
자동차를 비롯한 엔프라영역에는 DURABIO™로 양방향 전개
고투명 바이오 엔프라 DURABIO™, 수지의 기능·물성과 더불어 무도장이 가능한 의장성이
자동차 메이커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일본 국내외에서 채용 차종이 확대
미국, 유럽 바이오 베이스 제품 인증 획득으로 국제적 인지도 향상
바이오매스도 74%인 D93시리즈는 향후 채용확대 기대
식물성 생분해 수지 BioPBS™는 폐기물을 매립 처리하는 해외 시장에서의 채용이 중심
일본 국내에서는 멀티필름을 비롯한 농업용 자재용으로 실적 확대
BioPBS™베이스 생분해성 컴파운드 FORZEAS™에서는 해양 생분해성 Grade 투입
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
Mass balance를 이용한 엔프라의 바이오화로 고기능 제품에 대한 대응 실현
POM과 변성 PPE의 바이오화에 의해 기능성 제품에 대해 친환경을 소구
피마자유를 원료로 최대 60% 바이오화를 PA610으로 실현
아루케마 주식회사
온리원 제품인 PA11을 스페셜티 영역에서 전개
피마자 산지 지원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
Rilsan® PA11을 주력으로 파우더, 내열, 투명, 엘라스토머 등
사용자의 니즈에 최적화된 등급을 개발
100% 식물 유래와 더불어 재생에너지 사용 및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2025년 이후의 CFP를 석유유래 PA 대비 마이너스 80%로 대폭 삭감 실현
인도 구자라트주에서의 PRAGATI 참가 및 장학금 프로그램 등
피마자유 원료인 피마자의 지속적 재배 지원에 적극적으로 대응
UNITIKA 주식회사
범용 수지부터 엔프라, 슈퍼 엔프라까지
폭넓은 성능의 영역을 커버하는 제품 라인업
1990년대부터 석유 자원을 대체하는 원료로 식물 유래의 바이오 플라스틱에 주목
PLA를 원료로 하는 TERRAMAC®, 독자적인 개질 기술을 활용한 수지 그레이드로
PP, PE, ABS 등의 범용 수지에서의 대체 수요를 흡수
고내열, 저흡수 XecoT®는 식물 유래 Super engineering plastic로 전개
환경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범용 엔프라 대체 채용도 시작
ENEOS주식회사
2040년까지 비화석자원 비율 35% 목표를 위해 기초화학품 바이오화 추진
바이오 연료에서도 SAF와 바이오 에탄올의 일본 생산을 병행하여 실증실험 진행
그린 케미컬의 공급망 구축으로 최종 유저기업에게 기여
나프타 크래커 유래 제품의 비화석자원 비율에 대해 2040년까지 35%를 목표
2023년에 세계 최초 바이오 파라자일렌 상업화 성공
화석자원 유래 파라자일렌 제조 시에 비해 2.46t의 CO2 삭감에 기여
TOPPAN과 제2세대 바이오매스인 폐지유래 바이오 에탄올도 2026년도를 목표로 실증실험 진행
휘발유·연료, SAF 외에도 기초화학품 제조를 목표
SAF의 일본 제조를 위해 와카야마에서 연간 40만kL 규모의 공장 건설 계획
과제가 되는 폐식용유 회수 기술도 서서히 구축, 폐식용유 회수도 실현
주식회사 다이셀
플라스틱의 해양 유출에 대해 생분해성 기능의 필요성 소구
CAFBLO®는 재활용 가능한 해양 생분해성과 투명성을 가진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DAISO 낚시용 루어와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 건설물의 3D프린터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전개
SK리비오 주식회사
PBAT 강도향상과 양산체제 구축으로 부직포 용도의 시장개척 추진
SK TBM GEOSTONE 흡수합병으로 2024년 Ecovance에서 사명 변경
완전 생분해를 목표로 PBAT 선정, CNC 함유로 내구성 강화하여 신용도 개척
PBAT기반의LIMEX로 부직포에서 도료용기까지 다용도 전개를 가속
PBAT를 활용한 비료 코팅을 개발, CRF기술로 비료 횟수를 줄이고 환경부하 절감
2025년부터 베트남 공장에서 PBAT 연간 7만t 양산체제 구축
동성화학 주식회사
바이오 플라스틱 콤플렉스 신설로 물류 포장재 시장 전개 가속
장기적으로는 생분해성 수지의 내제화를 포함하여 바이오폴리머 사업을 확대
생분해성 수지 유래 가공품 'ECOVIVA'로 저온 물류에서 물류 전체적인 시장개척을 목표
포장재 'ECOVIVA 비드폼' 및 완충재 'ECOVIVA 에어캡' 등의 수요가 증가
TUV Austria 인증 취득도 고객에서 평가를 받음
한국 환경부와의 협의를 통한 국내 최초 생분해 원료 처리시설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처리체제 추진
2024년 울산에 바이오 플라스틱 복합단지를 개설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새로운 제품 개발 등을 추진
핀란드 UPM Biochemicals의 BioPura™ 독점 판매점으로, 폴리우레탄 용도 확대와 바이오MEG 활용으로 탈석유 가속
Sojitz Pla-Net Corporation
고객의 기업가치 향상과 탄소 중립적인 사회에 대한 기여를 목표로,
그린PE, 생분해수지를 포함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재활용 수지의 취급 확대
2012년부터 Braskem의 그린 PE의 정식 판매대리점으로서 카본 네거티브
(▲2.12kg CO2 Eq./1kg PE)라는 특징을 가진 그린PE를 다양한 업계에 소구
의료약품 포장재에도 2023년 4월부터 당밀 부산물 유래 바이오매스PE를 업계 최초로 일부 사용
PLA, PBAT, PBS, PHA 등의 생분해성 수지도 농업용 필름을 메인으로 채용 실적 있음
생분해성 수지의 과제이기도 했던 가격도 최근 몇 년 사이에 석유 유래 비율 1.3배 정도까지 안정화
미쓰이물산 주식회사
상사로서의 강점을 활용하여 일본 국내외에서 바이오소재 공급망 구축
서큘러 이코노미 추진그룹을 전사적으로 조직화하여 바이오매스 소재의 취급을 강화
미국에서 바이오 메탄올을 제조, 공급 및 조달하여 화학기업의 바이오 엔프라 제조에 기여
2024년에는 브라질 식림 유래 각종 바이오 소재 제조 검토 시작
SUNTORY HOLDINGS 주식회사
음료업계의 PET병 지속가능성 전환을 견인
2024년에는 일본 최초 바이오 텔레프탈산 PET병 상업화 실현
2030년까지 화석유래 원료 미사용 PET병 지속가능성 추구를 목표
Bottle to Bottle 수평 재활용을 중심적 시책으로 부족분을 식물 유래 등의 바이오 원료로 보충할 방침
2013년부터 푸드체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당밀 부산물 유래 바이오EG를 자사 병에 도입
SAF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부산물 바이오 나프타 유래를 이용한 바이오PET 제조도 검토
미국 Anellotech와도 시제품으로 100% 바이오 PET병 개발에 성공
역산 계획법(Backcasting)이라는 이념으로 지속가능성 적용에 대응할 수 있는 제조방식 구축을 구상
제7장 해외 바이오 플라스틱 제조기업 동향
전세게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량은 2024년에 144만t 달성
현재는 바이오 베이스 유래 바이오 플라스틱의 비율이 생분해성을 약간 웃돈다
(그림) 2024년 전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량
(표) 바이오 플라스틱 분류표
(표) Mass Balance 방식의 구조
(그림) 2024년 전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량
(그림) 전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규모 예측(~2040년, 바이오 베이스 및 생분해성별)
2030년 전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량 166만t 중 바이오 베이스가 50% 이상 차지할 전망
2040년에는 시장의 246만 t 중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60% 이상으로 역전할 것으로 예측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PLA 메이커가 시장을 견인
바이오 베이스에서는 제1세대 원료가 견인하는 가운데 제2세대도 대두
①NatureWorks
②TotalEnergies Corbion
(표)Total Corbion PLA의 Luminy 시리즈 일람
③Braskem
(표) I'm Green™Bio-PE 등급별 비교
④LyondellBasell
⑤BASF
⑥Novamont
⑦FKuR
⑧Roquette
⑨HiSun Biomaterials
(표) REVODE® 시리즈
(표) 생분해성 수지 메이커 일람의 일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