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지자체용 솔루션 시장의 실태와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3300
발간일
2025/03/26
체재
A4 / 255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55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본 리포트는 매년 발간하고 있는 「지자체 솔루션 시장의 실태와 전망」의 갱신판으로서 지자체 솔루션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을 분석한다. 지자체는 원칙적으로 2025년도 말까지 기간업무시스템의 표준화 대응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기한 내 대응이 어려운 지자체도 많아 지연이 우려되고 있다. 덧붙여 일손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어 지자체 DX의 대응도 필수가 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취재를 통해서 벤더 각 사의 대처와 사업전략을 파악해 시장의 실태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 장래성을 전망한다.

본 리포트는 매년 발간하고 있는 「지자체 솔루션 시장의 실태와 전망」의 갱신판으로서 지자체 솔루션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을 분석한다. 지자체는 원칙적으로 2025년도 말까지 기간업무시스템의 표준화 대응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기한 내 대응이 어려운 지자체도 많아 지연이 우려되고 있다. 덧붙여 일손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어 지자체 DX의 대응도 필수가 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취재를 통해서 벤더 각 사의 대처와 사업전략을 파악해 시장의 실태를 분석하는 동시에 그 장래성을 전망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지자체 각종 솔루션(기간시스템, 내부정보시스템, BPO 등)에 관해 주요 IT 벤더의 동향을 조사했다. 또 동시에 정부가 진행하는 주요 관련 시책과 업계 동향에 관련되는 시장 동향의 분석을 실시했다.

이러한 조사에 기초하여 해당 시장의 관련 기업 및 관계자의 사업활동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지자체 솔루션을 제공하는 IT벤더

(대상기업은 야노경제연구소가 독자적으로 선정)

·지자체

• 조사방법:

·대면취재(온라인취재 포함) 조사

·문헌조사

• 조사기간: 2024년 12월~2025년 3월

• 게재 데이터에 대해서:

·본 리포트 기재 내용 및 데이터는 이번 취재결과를 바탕으로 폐사에서 추정을 더하여 작성한 것이다. 또한 반올림하여 수치 합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조사대상 기업의 정량 데이터를 게재했지만,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기업의 특징을 알기 위한 참고로서 게재한 개산치이며 순위를 매기는 것은 아니다.

◆자료 포인트

• 지자체 솔루션 유력 제공 사업자 약 15개사를 직접 취재

• 지자체 솔루션 참여 사업자 약 150개사의 간이 표 게재

• 지자체 솔루션의 시장규모 추이를 예측(2023년도~2029년도)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최신 표준화 대응 상황 및 지자체 DX의 최신 동향을 게재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조사결과 포인트

1. 시장동향

  도표1 지자체 솔루션 시장규모 추이

2. 기업동향

3. 과제

4. 장래전망

1장 지자체 솔루션 시장의 실태와 전망

1. 지자체 솔루션이란

    도표2 지자체 솔루션의 내용 및 주요 벤더

2. 지자체 솔루션 시장 모와 추이

  2.1 지자체 솔루션 시장 개황

    도표3 지자체 솔루션 시장규모 추이

    2.1.1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는 표준화 대응

    2.1.2 특정이행지원시스템의 영향

    2.1.3 지자체 DX 시장의 동향과 표준화 대응에 따른 영향

  2.2. 주요 사업자의 지자체 매출액 점유율 추계(2023년도~2024년도)

    도표4 지자체 솔루션 벤더 일람/점유율(2023년도 실적/2024년도 예측)

2장 지자체 솔루션 시장동향

1. 지자체 기간업무시스템 표준화/정부 클라우드

  1.1 기간업무시스템의 표준화

    1.1.1 표준화란

    도표5 표준화·공통화 이미지

    도표6 표준화 대상 업무

    1.1.2. 특정이행지원시스템에 대한 조치

    도표7 특정이행지원시스템의 해당 전망(2024년 10월 말 기준)

  1.2 거버먼트 클라우드

    1.2.1 거버먼트 클라우드란

    1.2.2 채택 클라우드

    도표8 거버먼트 클라우드에 채택된 서비스

    1.2.3 선행사업의 실시상황

  1.3 진출 사업자의 동향

    1.3.1. 표준 준거 시스템으로의 이행이 본격화

    1.3.2. 지자체 시스템 표준화와 비용절감의 현실

    1.3.3. 표준화를 통한 벤더 lock-in 해소

    1.3.4 사업자의 대처 상황과 스케줄

2. 지자체 DX

  2.1 지자체 DX란

    2.1.1 지자체 DX 추진계획

    도표9 지자체 DX 추진계획에서 지자체가 대처해야 할 사항·내용

  2.2 지자체 프론트야드 개혁

    2.2.1 지자체에서의 프런트야드의 역할

    도표10 지방공공단체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창구개혁의 다양한 대처

    2.2.2 창구 DX 추진

    도표11 거버먼트 클라우드의 지자체 창구 DXSaaS 제공 사업자

    2.2.3 행정절차의 온라인화

    도표12 이사절차 온라인 서비스 이미지

    2.2.4 공공서비스 메시(mesh)

    도표13 공공 서비스 메시 이미지

    도표14 공공서비스 메시 '지자체 내 정보 활용'

    도표15 공공서비스 메시 '행정기관 간 정보 연계'

  2.3. 마이넘버카드 활용

    2.3.1 마이넘버카드 보급현황

    도표16 마이넘버카드의 단체구분별 보유상황에 대하여(2025년 2월 말)

    도표17 마이넘버카드 교부율 상위 단체

    2.3.2. 마이넘버카드 이용현황

  2.4. AI/RPA 활용

    도표18 지자체의 AI·RPA 도입 황

    도표19 지자체의 AI 도입상황

    도표20 지자체의 RPA 도입상황

    도표21 지자체의 AI 도입상황~AI 기능별 도입상황~

  2.5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

    2.5.1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이란

    도표22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의 대처 이미지 전체상

    도표23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 교부금 예산 추이

    2.5.2. 디지털 구현 타입

    도표24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 교부금 디지털 구현 유형 TYPE별 내용

    도표25 디지털 구현 유형의 카테고리

    도표26 디지털 구현 타입 TYPE2 채택 지자체

    도표27 디지털 구현 타입 TYPE3 채택 지자체

    도표28 TYPES 채택 단체

    2.5.3. 지방창생 거점 정비 타입/지방창생 추진 타입

    도표29 디지털 전원도시 국가구상 교부금(지방창생 추진 타입(선구형·횡전개형·Society5.0형)/지방창생 거점 정비 타입)의 개요

    2.5.4 디지털 지방 창생 서비스 카탈로그

    2.5.5 지방창생2.0

    도표30 지방창생교부금의 추이

    도표31 새로운 지방경제·생활환경 창생교부금의 구성

  2.6.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대응

  2.7 진출 사업자의 동향

    도표32 지자체의 프런트야드 개혁의 대처 상황(2023년 4월 기준)

3. 생성 AI의 활용

  3.1 생성 AI란

    도표33 AI에서의 생성 AI의 위치

  3.2. 지자체의 생성 AI 활용 현황

    도표34 지자체의 생성 AI 실증실험 및 도입 상황

    도표35 지자체에서 도입하고 있는(실증실험도 포함) 생성 AI의 구체적인 활용 사례

    도표36 지자체에서 도입하고 있는(실증실험도 포함) 생성 AI의 서비스

    도표37 민간기업에서 이용 중인 생성 AI 서비스(MA)

    도표38 생성 AI 도입의 과제

  3. 진출 사업자의 대처

    도표39 'AI 채팅 서비스' 이용 이미지

    도표40 고베시와의 생성 AI를 활용한 실증실험 이미지

4. 사업상 과제

  4.1 진출 사업자의 과제

    4.1.1. 표준 준거 시스템의 이행과 시스템간 연계

    4.1.2. 벤더와 지자체 쌍방에서 핍박하는 자원

    4.1.3 예산확보와 비용부담

    4.1.4 서비스 난립

5. 시장전망

  5.1. 2025년도는 연중 표준화 대응

  5.2. 진출 벤더의 증가

    5.2.1 스타트업애개눈 혹독한 예산요구 사이클

    5.2.2 디지털 마켓플레이스(DMP)

  5.3. 2026년도 이후를 향하여

    5.3.1.2 026년도 이후에도 계속되는 표준화 대응

    5.3.2. 시스템 판매의 비즈니스 모델을 재검토할 필요 있어

  5.4 표준화가 진정된 곳

    5.4.1 신규사업 창출

  5.5. 진출 사업자의 향후 대처

3장 주요 진출 기업의 조사 표

1 Gcom홀딩스 주식회사

  도표41 지자체용 기간업무시스템 「Acrocity」

  도표42 지방행정경영연구소의 사업

2 주식회사 RKKCS

  도표43 RKKCS의 지자체 솔루션

3 주식회사 TKC

  도표44 지자체용으로 제공하는 주요한 시스템·서비스 전체도

4 xID 주식회사

  도표45 'xID 앱' 홈 화면 이미지

5 주식회사 아이씨에스

  도표46 아이씨에스의 지자체 솔루션

6 주식회사 아이네스

  도표47 인쿠루커넥트 개요

7 주식회사 그래퍼

  도표48 Graffer Platform의 프로덕트&서비스

  도표49 엔드 투 엔드로 제공되는 Graffer Platform

8 주식회사 GCC

  도표50 e-SUITE 주민정보시스템 라인업

  도표51 e-SUITE 서무사무시스템 기본 패키지 옵션 기능

  도표52 e-SUITE 인사급여시스템 기본 패키지 옵션 기능

  도표53 'at home' 기능 일람

  도표54 배움지원 급부시스템의 이미지

9 토텍어메니티 주식회사

  도표55 주민정보 시스템 'G-COAS'의 시스템 개요

  도표56 토텍어메니티가 제공하는 지자체 솔루션

10 주식회사 트러스트뱅크

11 일본전기 주식회사(NEC)

  도표57 일본전기 지자체 솔루션

  도표58 고베시와의 생성 AI를 활용한 실증실험 이미지

12 일본전자계산 주식회사

  도표59 일본전자계산의 지자체 솔루션

13 히타치그룹

  도표60 히타치그룹의 지자체 솔루션의 주요 제품 체계

  도표61 「CYDEEN」 제품군

  도표62 히타치그룹의 지자체 DX 대처 테마 및 중점 대처 사업

14 후지쯔Japan 주식회사

  도표63 후지쯔Japan의 지자체 솔루션

  도표64 AI를 활용한 도면심사시스템 이미지

15 주식회사 료비시스템즈

  도표65 료비시스템의 지자체 솔루션

  도표66 「AI채팅서비스」 이용 이미지

4장 지자체·공공 솔루션 제공 기업 간이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