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의 현황과 장래전망 ~종합편~(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6700
발간일
2025/06/30
체재
A4 / 396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396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전력용', '가정용 및 기업·업무용'과 더불어 '기지국 및 UPS용' 시장의 최신 동향을 모두 수록!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 및 해외의 정치용 축전지(ESS) 관련 주요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전략을 조사·분석하고, 나아가 주변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세계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본 리포트에서는 일본 및 해외의 정치용 축전지(ESS) 관련 메이커 18사의 축전지 및 축전시스템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설치처 및 수요분야로는 가정용, 기업·업무용, 전력계통용, 통신기지국 및 UPS용을, 전지 종류별로는 리튬이온전지, 납축전지, 레독스흐름전지, 나트륨기반전지를 대상으로 한다.

• 조사방법: 폐사 전문 연구원의 대면취재를 기준으로 문헌조사 병용.

• 조사·분석기간: 2024년 12월~2025년 6월

• 게재내용의 문의처: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유닛 디바이스&머시너리산업 그룹

◆자료 포인트

성장 가속화하는 ESS 시장과 차세대 전지의 패권 다툼을 읽어내다

구미시장에 활로가 있다! 수요와 공급 갭이 낳는 공백지대

• 기후변화 대책에 따라 ESS 시장 성장이 가속화, 2033년에는 735GWh로

• NMX, LMFP, NCMA, 고체전지, NIB 등 기술혁신 급전개

• 지역별 개발전략 온도차, 중국은 NIB 집중, 타지역은 LiB 개량 주축

• 미-중 양산 러시 본격화 새 성장단계 돌입

• AI혁명이 낳는 데이터센터 수요의 폭발적 성장, 미중 시장이 최전선에

• 미·유럽·중·호주, 배터리 산업 국내 기반 강화 위해 생산·조달정책 강화

• 중국이 장악한 LiB 시장, 일본계와 한국계도 LFP로 반격에 나선다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주요 국가별 시장규모 예측(2022년~2033년) 을 최신 데이터로 갱신

·글로벌 주요 기업 최신 동향 기재

·미국의 주목 주(애리조나 주, 텍사스 주, 네바다 주) 의 동향을 신규 수록

·가정용 ESS는 평균용량에 더해 주요 국가별 용량도 게재

·주요 전지 기술의 최신 개발동향(기술별) 추가 수록

·LiB의 최신 기술 트렌드 동향(양극재, 전해질, 폼팩터, 기타) 을 상세하게 기술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의 전망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 전망

  글로벌 기후변화 대책으로 ESS 시장 성장 가속화

  2025년은 YoY 127% 전망, 2033년에는 735GWh로

    표. WW 정치용 축전지(ESS) 의 설치처·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용량 기준: 2022~2033년 예측)

    표. WW 정치용 축전지(ESS) 의 설치처·수요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금액 기준: 2022~2033년 예측)

  NMX, LMFP, 고체전지, NIB 등의 신기술 개발이 급속히 전개

  개발방침에 온도차, 중국에서는 NIB, 타지역에서는 LiB 개량에 주력

  일본 기업이 주력해야 할 지역은 구미시장

  방대한 ESS 수요에 비해 자국 플레이어가 적은 매력적인 시장

제2장 정치용 축전지(ESS) 의 개요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의 개요

1. ESS의 종류와 특징

    그림. 에너지 저장형태 및 기술방식에 따른 ESS 구분

2. ESS 구성

    그림. ESS 구성

  1) 축전지

    그림. 축전지의 구성

  2) PCS

  3) BMS

  4) EMS

3. ESS 설치처 · 수요처

    표. 설치처 수요분야별 ESS 용도

  1) 가정용

  2) 기업·업무용

  3) 전력계통용

    표. 전력계통 관련 ESS 설치처 및 수요분야별 주요 용도

    ①전력계통의 제어 및 안정화

    ②발전전력 제어 및 전력 부하 평준화

    표. 주요국의 마이크로그리드 도입목적

    4) 휴대전화 기지국용

    5) UPS

4. ESS 용도

  1) 신재생 출력 안정화

  2) 피크 시프트/피크 컷

  3) 주파수 조정

  4) 비상전원 전기료 절감

5. 전지 종류의 특징 및 트렌드 동향

    표. 전지 종류의 스펙 및 용도의 비교(참고치)

6. 제품안전인증 동향

    그림. 국제안전규정 및 안전인증

7. ESS 산업 구성

  1) ESS 산업 생태계

    그림. ESS산업 생태계

  2) SI 시장 동향

    ①중대형 ESS의 SI

    ②소형 ESS의 SI

  3) ESS의 상류

    ①가정용 ESS의 상류

    ②기업·업무용 ESS의 상류

    ③전력 계통용 ESS의 상류

8. 가정용 ESS의 제품 사양 트렌드(평균용량 및 보증기간)

    그림. 주요국의 가정용 ESS 평균용량

제3장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을 둘러싼 환경

1. 주요국 ESS 정책 및 수요 동향

  1-1. 일본

    (1) 정책동향

    축전지 산업경쟁력 강화·도입 촉진을 위한 재정조치 강화

    그림. 일본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일본에서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에너지기본계획' 일본의 전원 구성 비율(2023년도, 2030년도, 2040년 전망)

    표. '축전지 산업전략'의 목표 및 주요 내용

    ①ZEH지원사업

    ②저장패리티보조금

    ③DR 리소스 도입을 위한 가정용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사업

    ④'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분산형 에너지 자원도입지원 등 사업비 보조금'

    표.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분산형 에너지 자원도입지원 등 사업비 보조금'의 대상

    가) 업무산업용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사업(DR업산용 축전지)

    표. 업무산업용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나) 디맨드 리스폰스 확대를 위한 IoT화 추진 사업(DR 대응 IoT화)

    다) 재생에너지 전원 병설형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사업

    표. 재생에너지 전원 병설형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⑤계통용 대규모 축전지 도입촉진사업

    ⑥수요자 주도형 재생에너지 전원 병설형 축전지 도입지원사업

    ⑦낙도에서의 재생에너지 주력화·레질리언스 강화 실증사업

    ⑧계통용 축전지·수전해장치 도입지원사업

    표. 계통용 ESS, 수전해장치 도입지원내용

    (2) 수요 동향

    매전 시장 정비와 재정지원 강화로 대형 프로젝트 급증

  1-2. 중국

    (1) 정책동향

    석탄발전과 함께 재생에너지가 중요 에너지원으로

    그림. 중국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중국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표. 중국 중앙정부의 에너지 관련 정책

    ①ESS 도입 촉진

    ②다양한 ESS 기술 활용

    ③전력시장 참여

    표. 중국 지방정부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ESS 의무화 정책

    (2) 지원 제도

    재생에너지에 대한 ESS 도입촉진정책 및 설치의무화가 시장 확대를 뒷받침

    표. 중국 지방정부의 주요 ESS 보조금 제도

    (3) 수요 동향

    전력 부족 및 전력 공급망 등의 과제 해결을 위해 ESS 도입 확대의 중요성 증가

    그림. 중국 지도

  1-3. 미국

    (1-1) 정책동향(연방정부)

    재생에너지 발전비율 30%를 넘어 주요 발전원으로

    그림. 미국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미국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표. 주요 주에서의 해상풍력 설치 목표

    그림. 미국의 발전전력 구성비율 추이(2022~2023년)

    표. 미국 주요 주에서의 RPS 의무비율 및 목표 연 일람

    (1-2) 지원제도(연방정부)

    ITC와 PTC가 신재생 및 ESS 투자 확대를 촉진

    ①재생에너지 생산세 공제(Production Tax Credit; PTC)

    표. IRA 발포 전후의 PCT 비교

    ②투자세 공제(Investment Tax Credit; ITC)

    표. ESS의 ITC 공제율(IRA 발포 전)

    표. IRA 발포 전후 ITC 비교

    ③수정가속상각제도(Modified Accelerated Cost Recovery System; MACRS)

    그림. ESS투자 회수기관

    (2) 정책동향(주정부)

    ①캘리포니아 주

    그림. 캘리포니아 주에서의 발전전력 구성비율(2023년)

    그림. SB100의 연도별 RPS 목표 비율 추이(2026~2045년)

    가) ESS 설치 의무화

    나) SGIP(Self-Generation Incentive Program)

    표. SGIP 제도에 따른 단계별 ESS 보조금 개요

    다) NEM제도(Net Energy Metering)

    표. NEM 2.0 및 NEM 3.0의 비교

    ②텍사스 주

    그림. 텍사스 주의 발전전력 구성비율(2023년)

    ③애리조나 주

    그림. 애리조나 주에서의 발전전력 구성비율(2023년)

    가) 자기소비 재생에너지 투자에 관한 세액 공제

    ④네바다 주

    그림. 네바다 주에서의 발전전력 구성비율(2023년)

    가) TRED 프로그램

    나) ESS 설치목표

    다) 재생에너지의 매출세·사용세 경감 조치

    라) NV Energy에 의한 ESS 인센티브

    ⑤매사추세츠주

    가) ESI(Energy Storage Initiative)

    나) SMART(Solar Massachusetts Renewable Target)

    (3) 수요 동향

    캘리포니아 주, 텍사스 주, 네바다 주 중심에 ESS 설치 급증

  1-4. 유럽

    (1) 정책동향

    에너지 자립성 향상을 위한 ESS 중요성 증가

    표. 그린딜 산업계획 주요 내용

    표. 유럽 전지규칙의 주요 내용

    표. CRMA법의 주요 내용

    표 NZIA법의 주요 내용

    표. 유럽 LiB 에코시스템 및 공급망 구축 개요

    그림. 유럽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유럽의 태양광발전 설치국 비율 구성(신규·누적, 2023년)

    그림. 유럽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유럽의 설치처별 풍력발전 설치용량 비율 추이(누적, 2021~2023년)

    그림. 유럽의 육상풍력발전설 설치국 비율 구성(신규·누적, 2023년)

    그림. 유럽의 해상풍력발전설 설치국 비율 구성(신규·누적, 2023년)

    ①독일

    탈석탄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도입이 가속화, 유럽 최대 시장으로서 성장이 계속

    그림. 독일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독일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표. 독일의 재생에너지 도입 목표

    그림. 독일의 발전비율 추이(2021~2023년)

    가) ESS 연구개발 지원제도

    나) ESS 도입지원제도

    표. 도시별 축전시스템 도입지원제도

    ②영국

    프로젝트 승인기간 단축·설치 규제 완화로 ESS 시장 확대 기반 정비

    그림. 영국의 발전비율 추이(2021~2023년)

    그림. 영국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영국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가) SEG제도(Smart Export Guarantee; 스마트수출보증제도)

    나) 세액감면제도

    다) ESS 설치 승인기간 단축 및 설치규모 상한제 폐지

    ③이탈리아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대형 ESS 프로젝트의 원동력으로

    그림. 이탈리아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이탈리아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가)태양광발전 병설 ESS 도입 보조금

    나)세액공제제도(Superbonus)

    다)재생에너지 및 ESS 도입 촉진 보조금 제도

    라)전력 저장 용량 공급 메커니즘(MACSE)

    ④프랑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두 기둥으로 전력공급 계획, 정책·지원제도로 ESS 시장을 뒷받침

    그림. 프랑스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프랑스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가)전력저장계획(RDF)

    나)ESS도입지원제도(MaPrime Rénov')

    다)에너지전환세액공제제도(CITE)

    라)무이자대출(Eco Prêt à Taux Zéro)

    (2) 수요 동향

    원자력·화력발전소 축소·재생에너지화하는 ESS 프로젝트 확대

  1-5. 오스트레일리아

    (1) 정책동향

    주요 광물 수출 강국으로서 뿐만 아니라 배터리 제조국으로의 도약이 목표

    그림. 호주의 발전전력 구성비율 추이(2021~2023년)

    그림. 호주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율 추이(2021~2023년)

    표. 오스트레일리아 주요 주에 있어서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및 향후 목표

    그림. 호주의 주요 주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율 추이(2021~2023년)

    그림. 호주의 태양광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그림. 호주의 풍력발전 설치용량 추이(신규·누적, 2021~2023년)

    (2) 지원제도

    연방정부는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지원을, 각 주는 보조금이나 융자를 제공

    ①전력계통용 ESS 지원제도

    가) 「Large Scale Battery Storage Funding Round」

    그림. ARENA의 대규모 축전지 지원 프로그램(2022년)

    ②가정용 및 기업·업무용 ESS 지원제도

    가) 「Community Batteries Funding Program」

    나) 각 주의 보조금 제도

    (3) 수요 동향

    재생에너지 설치 확대가 ESS 증가를 이끈다

    세계 최고 가정용 PV 도입률에 비해 ESS는 6%대로 정체

    기업·업무용 ESS는 비교적 소규모이지만 확대 추세로

    그림·표. 호주의 가정용 ESS 메이커 점유율(출하용량 기준, 2025년 전망)

2. 설치처·수요분야별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

  2-1. 가정용 ESS 시장

    (1)시장규모 추이

    유럽·미·일·호주가 주요 시장, 인센티브가 시장 확대를 촉진

    표. 가정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가정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주요 국가별 가정용 ESS 시장점유율 추이(용량기준)

    표. 가정용 ESS 국가별 시장규모 추이(용량기준)

    (2)전지 종류별 비율

    LiB의 채용이 시장을 석권하는 한편, 다양한 전지의 채용도 대두

    그림. 가정용 ESS의 전지종별 구성비율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그림. 가정용 LiB의 평균가격 추이

  2-2. 기업·업무용 ESS 시장

    (1)시장규모 추이

    AI 기술의 진화·보급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증가가 시장 확대를 촉진

    표. 기업·업무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기업·업무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주요 국가별 기업 및 업무용 ESS 시장점유율 추이(용량 기준)

    표. 기업·업무용 ESS의 국가별 시장규모 추이(용량 기준)

    (2)전지 종류별 비율

    LiB가 주축, RF전지·Na전지의 수요가 확대되는 한편 납축전지는 감소를 예상

    그림. 기업·업무용 ESS의 전지 종류별 구성비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2-3. 전력계통용 ESS 시장

    (1)시장규모 추이

    신에너지 확대와 연동해 성장 가속화, 주요 3개국 세계시장 86% 이상 점유

    표. 전력계통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전력계통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주요 국가별 전력계통용 ESS 시장점유율 추이(용량 기준)

    표. 전력 계통용 ESS의 국가별 시장규모 추이(용량 기준)

    (2) 전지 종류별 비율

    4시간 이내 LiB, 4시간 이상 RF전지·나트륨기반전지 확대 추세

    그림. 전력계통 관련 ESS의 전지 종류별 구성비율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2-4. 통신 기지국 및 UPS용 ESS 시장

    (1)시장규모 추이

    통신·디지털 인프라 확충이 시장의 성장 드라이버

    표. 통신 기지국 및 UPS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통신 기지국 및 UPS용 ESS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통신 기지국 및 UPS용 ESS의 주요 국가별 시장점유율 추이(용량 기준)

    그림. 통신 기지국 및 UPS용 ESS의 전지 종류별 구성비율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3. 전지 종류별 정치용 축전지(ESS) 시장

  3-1. 정치용 LiB

    (1) 전지특성 및 개발동향

    고용량, 고출력의 NCM에서 고안전성, 저가격의 LFP로 시프트

    표. LiB 양극재의 사양 비교표

    (2) 최신 기술 트렌드 동향

    ①양극재

    LFP에 이은 차세대 재료 개발이 진전

    ②전해질

    전고체·반고체 전지의 개발단계에서 실증·양산단계로 이행

    ③폼팩터

    각형과 원통형이 주류

    ④기타

    에너지 밀도·안전성·비용을 지향한 LiB 제조 기술의 진전

    (3) 시장동향

    정책지원이 시장확대를 촉진, 2025년에는 전년대비 128% 증가를 예측

    표. 정치용 LiB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정치용 LiB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표. 정치용 LiB의 설치처 및 수요분야별 구성비(세계시장, 용량 기준)

    그림. 정치용 LiB의 설치처·수요 분야별 구성비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4) 주요 플레이어 동향

    ①LiB 생산능력 동향

    주요 9개사 생산능력 2030년 2025년 대비 189% 증가

    도표. 주요 메이커의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능력계획(2023~2030년)

    ②LiB 메이커 점유율

    LFP의 우위성이 가시화, 시장의 주류 기술로서의 지위를 확립

    그림. ESS용 LiB 메이커의 점유율(2025년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양극재별 점유율 추이(2024~2025년 전망)

    ③공급망 동향

    재료의 안정 확보를 목적으로 한 복수조달체제

    그림. CATL의 4부재 준비

    그림. BYD의 4부재 조달처

    그림. EVE 4부재 조달처

    그림 LGES 4부재 조달처

    그림. 삼성SDI 4부재 조달처

    그림. 파나소닉 4부재 조달처

    ④ESS용 LiB 공급 현황

    자사 브랜드 전개와 타사용 공급의 양립

    그림. CATL의 ESS용 LiB 주요 공급처

    그림. BYD의 ESS용 LiB 주요 공급처

    그림. EVE의 ESS용 LiB 주요 공급

    그림. LGES의 ESS용 LiB 주요 공급처

    그림. 삼성SDI의 ESS용 LiB 주요 공급처

    그림. 파나소닉의 ESS용 LiB 주요 공급처

    ⑤재활용·재사용 현상

    전문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재사용·재활용 체제 구축

  3-2. 고정용 납축전지

    (1) 전지특성 및 개발동향

  3-3. 정치용 레독스흐름전지 시장

    (1) 기술개요·특성

    ①바나듐레독스흐름전지

    고안전성과 대용량이 장점, 전해액의 초기비용과 출력이 과제

    그림. VRF 전지의 구성 및 동작 구조 이미지

    ②철 기반 레독스흐름전지

    22시간 이상의 충방전 설계 가능, LCOS 타깃은 미화 0.2달러/kWh

    그림. 철흐름전지의 동작원리 및 구조

    (2) 연구·개발동향

    활물질은 기존 금속이온계에서 무기분자계로 확대

    표. 주요 레독스흐름전지의 화학구조 비교표

    (3) 시장동향

    LDES 대응 BESS 유력 후보, 북미 및 유럽 중심으로 도입 확대

    표. 정치용 레독스흐름전지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정치용 레독스흐름전지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표. 정치용 레독스흐름전지의 설치처·수요분야별 구성비 추이

    (세계시장, 용량 기준)

    그림. 정치용 레독스흐름전지의 설치처·수 분야별 구성비 추이

    (세계시장, 용량 기준)

    (4) 주요 기업 동향

    지정학적 전환, 자국 주도서 국제전개

  3-4. 정치용 나트륨 기반 전지 시장

    (1) 전지특성 및 개발동향

    표. 주요 나트륨 기반 전지 사양 비교

    ①나트륨유황전지

    고용량, 고안전성, 장기운용 실적이 뒷받침된 신뢰성

    그림. NAS 전지의 셀 내부구조 및 동작원리 이미지

    ②나트륨염화니켈전지

    긴 수명 및 유지보수가 없으며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에 최적

    그림. 나트륨염화니켈전지이미지

    ③나트륨이온전지

    저비용화와 급속충전 성능 양립 가능

    그림. 나트륨이온전지의 동작원리 이미지

    ④나트륨아연용염전지

    1만회 이상의 고사이클 수명이 특징

    (2) 시장동향

    해외 전력계통 시장 도입 확대 가속화

    표. 정치용 나트륨기반전지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그림. 정치용 나트륨 기반 전지의 시장규모 추이(세계시장, 용량·금액 기준)

    표. 정치용 나트륨 기반 전지의 설치처·수요분야별 구성비(세계시장, 용량 기준)

    그림. 정치용 나트륨 기반 전지의 설치처·수요분야별 구성비 추이(세계시장, 용량 기준)

    (3) 플레이어 동향

    NIB, 미·중 양산 러시 본격화 새로운 성장 국면

제4장 정치용 축전지(ESS) 관련 기업의 동향과 전략

 

Tesla, Inc.

  생산 및 판매체제 최적화로 가격 경쟁력 확보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중국산 LFP 셀을 메인으로 사용

  표. 용도별 ESS 제품의 사양

  표. 원통형 셀의 사양(18650, 2170, 4680)

  3. 생산체제

  미·중 2개국 ESS 전용공장 운영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표. ESS의 제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100MWh 초과 수주 증가 추세, 연간 TWh 규모 출하를 염두에 두다

  그림. ESS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태블리스 설계로 셀의 대형화를 실현, 생산성 및 비용 절감도 가능하게

Fluence Energy Inc.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높은 기술로 업계에서의 경쟁 우위성 확립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표준화된 유틸리티급 제품에 주력

  표. ESS 제품 라인업

  3. 생산체제

  Made in USA, 미국 IRA법 혜택으로 경쟁력 더 높아진다

  표. ESS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2025년부터는 데이터센터를 위한 수요 증가를 전

  그림. ESS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Enphase Energy Inc.

  PV와 세트 설치의 용이함이 호평, 미국 시장을 축으로 시장 확대

  1. ESS사업 개요

  표. Enphase의 LiB를 이용한 ESS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10kWh 축전 용량 주력제품

  표. 가정용 ESS [IQ Battery] 시리즈의 사양

  3. 생산체제 / 출하동향

  미국 주력시장 2025년 YOY% 173 전망

  그림. LiB 탑재 ESS의 출하대수 추이(2022~2025년)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CATL)

  Tesla 및 Fluence용 공급량 증가가 성장을 가속화

  1. ESS사업 개요

  표. CATL의 ESS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장기 안정성 실현하는 TENER 시리즈, 2025년 본격 양산

  표. 주요 LiB셀의 사양

  표. 주요 ESS 제품 라인업

  3. 생산체제

  해외에서의 제조 확대도 염두에 두고 2025년은 850GWh 이상으로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4. 출하동향

  유럽시장 성장 가속화, 출하비율 중국 넘어설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2027년 전고체·차세대 NIB 양산 개시 계획

  그림. CATL의 LiB 개발 로드맵

比亜迪股份有限公司(BYD)

  차세대 전지 상용화 성공, 글로벌 시장에서 높아지는 존재감

  1. ESS사업 개요

  표. BYD의 ESS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NIB 제품을 2025년에 판매 개시, LFP 대비 비용 70% 이하를 목표로

  표. ESS용 LiB 모듈 라인업

  표. 주요 ESS 제품 라인업

  3. 생산체제

  2025년은 약 600GWh의 생산능력을 계획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중동·남미 수주 확대, 해외출하 증가세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LFP에 주력하는 한편, 차세대 전지 양산 계획도 착실히 추진 중

合肥國軒高科 動力能源有限公司(Goiton)

  현지에서의 연계 강화로 글로벌 전개를 추진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30Ah에서 650Ah까지의 제품 라인업

  표. ESS용 LiB셀의 사양

  표. 가정용 ESS 사양

  3. 생산체제

  중국·베트남·유럽에 더해 2025년부터 미국에서 ESS 생산을 시작할 예정

  표.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4. 출하동향

  2025년에는 22GWh의 출하를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초고속 충전, LMFP, 고체 전지가 주요 개발테마

惠州億緯鋰能股份有限公司(EVE Energy)

  대형 전지 셀 분야에서 업계의 최전선을 달리다

  1. ESS사업 개요

  표. EVE의 ESS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50Ah부터 628Ah까지의 폭넓은 제품 라인업 보유

  표. 각형 LiB 셀의 사양

  표. 원통형 LiB셀의 사양

  표. 전력계통용 주요 ESS 제품 사양

  3. 생산체제

  중국과 말레이시아를 주요 생산거점으로 영국에서의 생산전개도 검토

  표. EVE의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추이

  4. 출하동향

  제휴 강화를 통한 해외시장 점유율 확대 추진, 2025년 YoY 108%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LiB의 고용량화 및 반고체, 전고체전지, NIB 개발에 주력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Narada Power)

  고용량 셀 개발 가속화, 유럽·인도 시장 전개 강화

  1. ESS사업 개요

  표. Narada Power의 ESS(LiB)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표. Narada Power의 ESS(연축전지)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750Ah 대응 초대형 셀, 5년간 연속 사용 시에도 성능 열화 없어

  3. 생산체제

  LiB 생산 자회사 설립, 생산 캐파 4GWh 추가

  표. ESS용 축전지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3. 출하동향

  유럽·아시아 수주도 경쟁심화로 출하 둔화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그림. ESS용 납축전지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4. 기술동향

  전고체전지 20Ah, 30Ah셀 개발 성공, 기술 강화 위해 관련 업체와 제휴

陽光電源股份有限公司(Sungrow Power Supply)

  AI 온도유지기술, 선진 액체냉각시스템 기술 강점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314Ah 고용량 셀 교류 직류 일체형 5MWh급 신제품 출시

  표. ESS 제품 라인업

  3. 생산체제

  LFP 수요가 80% 이상, 앞으로도 주류로

  표. ESS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글로벌 시장 실적과 안전성 평가 GWh급 수주 연발

  그림. ESS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표. ESS 납품사례

화웨이디지털파워(Huawei Digital Power)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해외시장 확대를 목표로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고안전성·고유지보수성을 중시한 설계

  표. 주택용 ESS 제품 라인업

  표. 대규모 산업용 ESS 제품 라인업

  3. 출하동향

  2025년은 YoY 192%를 전망

  그림. ESS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주식회사 LG에너지솔루션(LGES)

  제품 경쟁력 강화 및 해외 현지생산체제 구축으로 우위성 회복

  1. ESS사업 개요

  표. LGES ESS 관련 사업영역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NCM과 LFP 두 축 전략을 통해 제품 경쟁력 강화 추진

  표. 가정용 ESS enblock의 사양

  표. 전력계통용 ESS 제품의 사양

  3. 생산체제

  ESS용 LiB 한국·중국·미국·유럽서 생산체제 구축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LFP 셀의 본격 출하를 개시, 2025년은 YoY138%를 전망

  그림. ESS용 LiB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NCMA, LMFP, 반고체전지 및 전고체전지가 주요 개발테마

삼성SDI 주식회사(Samsung SDI)

  기술 경쟁력 강화 및 비용 효율 개선에 주력

  1. ESS사업 개요

  표. 삼성SDI의 ESS 관련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SBB를 기반으로 프리미엄 전략으로 ESS 사업 경쟁력 강화

  표. 전력 및 상업용 LiB의 사양

  표. 가정용 및 통신기지국용 LiB의 사양

  3. 생산체제

  ESS용 LiB 생산능력 20% 이상 증강, 미국 생산도 검토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북미 대형안건 수주로 생산능력 90% 수주 증가

  그림. ESS용 LiB 출하규모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Co프리셀 개발 주력 전고체전지 2027년 양산 목표

주식회사 GS유아사

  일본 국내시장의 안정적인 공급력과 풍부한 납품 실적이 강점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LiB)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연축전지)

  2. 제품라인업

  2027년도 이후 제3세대 전지를 도입

  표. 산업용 LiB 모듈의 사양

  표. 축전지 포함 방재 대응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사양

  3。 생산체제

  국내 신공장 ESS 생산라인 증설 계획

  4. 출하동향

  재생에너지 연계 수요 증가가 출하 증가를 견인

  5. 기술동향

  전고체전지나 리튬공기전지의 개발을 추진

파나소닉에너지 주식회사

  Tesla와 연계하여 시장점유율 확대 가속화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V2H·V2X 대응 제품 등 다양한 라인업 전개

  표. 주택용 ESS 라인업

  표. 주택용 V2H 축전시스템 'eneplat'의 사양

  표. 산업용 축전시스템 단상연계 타입(V2X 대응) 사양

  3。 생산체제

  2025년 100GWh 규모 생산체제로

  표. 차량용 및 ESS용 LiB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2025년은 YoY 130%를 전망

  표. ESS용 LiB 출하규모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고성능·비용절감을 위해 하이 Ni/Co less화를 추진

엘리파워 주식회사

  국내 생산에 집중한 고품질, 고안전성, 긴 수명이 강점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계통연계·비연계·V2H 대응, 용도에 따른 다채로운 라인업

  표. LiB셀 [HYbattEliiyL 시리즈]의 사양

  표. ESS 제품 라인업

  3. 생산체제

  연산 140만셀 생산체제로 운영 중

  표. LiB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비연계 모델 견조하게 성장

  5. 기술동향

  AI 자동제어로 가정의 전력수급을 최적화하는 서비스를 전개

일본가이시 주식회사

  단기·장기, 모두 대응하는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화학식 2차전지 메이커

  1. 사업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나트륨유황전지)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니켈아연전지)

  2. 제품라인업

  1) 나트륨유황전지

  저열화율·저비용화 '개량형 NAS 전지' 해외 출시

  그림. 'NAS전지'의 이미지

  표. 'NAS전지 유닛'의 사양

  2) 니켈아연전지

  2025년 중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 개시

  그림. 'ZNB'의 이미지

  3. 출하동향

  유럽·아시아 수요 증가 2025년 YoY 170%대 예상

  그림. NAS 전지의 출하량 추이(2022~2025년 전망)

  4) 향후 전략

  해외 시장 확대와 부재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다

스미토모전기공업 주식회사

  2025년을 해외시장 개척의 원년으로

  1. 사업개요

  ①RF전지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RF전지)

  ②가정용 ESS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가정용 ESS)

  2. 제품라인업

  ①RF전지

  2025년 중 장수명, 고성능 제품과 고출력 제품 출시 예정

  그림. 컨테이너형 VRF 전지 이미지

  표. 컨테이너형 VRF 전지 라인업

  ②가정용 ESS

  고안전성, 대용량, 고효율, 경량의 라인업을 전개

  표. 가정용 ESS [POWER DEPO 시리즈]의사양

  3. 생산동향

  ①RF전지

  일본 국내에 150MWh 생산체제 북미에 생산체제 구축 검토 중

  표. VRF 전지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②가정용 ESS

  4. 출하동향

  ①RF전지

  국내 대형안건 획득, 미·유럽·호주서도 거래액 증가 추세

  그림. VRF 전지의 출하용량 추이(2022~2025년 전망)

  ②가정용 ESS

  구독형과 대용량 타입이 출하 증가를 견인

  그림. LiB 탑재 ESS의 출하대수 추이(2022~2025년 전망)

  5. 기술동향

  RF전지 셀 스택 기술을 활용한 수소 캐리어 개발

ESS Tech, Inc.

  안정적인 자금을 바탕으로 기술혁신과 시장개척 가속

  1. ESS사업 개요

  표. ESS 사업영역 및 주요 납품처

  2. 제품라인업

  최대 22시간 이상의 장주기 충방전 대응 2025년 신제품 투입

  그림. 철흐름전지의 동작원리 및 구조

  3) 생산체제

  2025년 하반기부터 GWh급 생산체제 예정

  표. 철 흐름 전해의 생산거점 및 생산능력

  4. 출하동향

  미국·유럽 주력으로 호주·아세안 지역에서도 시장 전개 시동

  그림. 철흐름전지의 출하량 추이(2022~2025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