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바이오매스 필러 시장의 전망과 전략(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탄소중립(CN)의 실현이 세계적인 목표로 내걸리는 가운데, 폐목재, 조개껍데기, 각종 식물유래 미이용재를 필러로 재활용·업사이클 해, 수지와 복합화하거나, 화장품 및 기타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량 삭감 및 각종 첨가제의 지속가능화 대응이 진행되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식물 및 계란껍질, 패각,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유래의 필러(바이오매스 필러)와 이들 필러를 사용한 다운스트림 제품(일용품, 모빌리티, 산업자재, 용기포장자재, 완구, 기타)에 대해 다루고, 참여 기업들이 개발·전개하는 제품의 강점·특징 등을 소개하는 동시에 바이오매스 필러 및 그 복합수지의 수요동향과 참여 기업의 사업 방향성 등을 정리했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자료 포인트
• 패션, 테이블웨어 등 지금까지 없었던 영역에서 채용 시작
• 기존 플라스틱의 범위를 초월한 새로운 용도에 잠재력 있음
○ 목재, 계란껍질, 조개껍데기 등의 미사용재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필러의 용도는 폐자재 이용(다운사이클)에서 업사이클로 확산
○펄프 유래의 CeF는, CNF가 오버 스펙인 분야에서의 채용 진전 CO2 배출량 삭감과 함께, 유동성 및 강도 등 물성 향상 효과가 평가된다. 비펄프 유래 재료에서의 셀룰로오스 성분 추출 개발도 시작
○WPC는 건자재 외에 잡화, 테이블웨어부터 자동차까지 폭넓은 용도로 제안이 진행된다. 자동차용은 토요타 차체 TabWDョ 패션을 내외장 부재에 채용한 공용차의 주행 시작
○일본에서 20~30만t/년 배출되는 계란껍질 유효 활용, 가공 계란껍질의 탈취·항균성과 더불어 '계란'이 가진 스토리성이 용도개발 및 제품개발을 뒷받침
○지금까지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어 온 식품 찌꺼기, 미사용재 활용도 활발
○자동차, 건자재를 비롯한 B to B부터 패션, 완구 등의 B to C까지 폭넓은 용도에서 다양한 소재의 바이오매스 필러 채택 시작
리서치 내용
제1장 바이오매스 필러 시장 전망 및 전략
패션, 테이블웨어 등 지금까지 없었던 영역에서의 채용 시작
기존 플라스틱의 범위를 초월한 새로운 용도에 잠재력 있음
목재, 계란껍질, 패각 등 미사용재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필러의 용도는 폐자재 이용(다운 사이클)에서 업사이클로 확산
바이오매스 필러 복합수지 수요는 순조롭게 성장
한 단계 더 확대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대체'의 범위에 얽매이지 않는 제안과 용도 개발 필요
(그림·표) 바이오매스 필러 복합 수지 시장 규모 추이
(그림·표) 바이오매스 필러 시장 규모 추이
(표) 바이오매스 필러 복합 수지와 경쟁 재료와의 가격 비교
CO2 배출 감소, 기존 플라스틱 대체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의 호소로 폭넓은 영역에서의 채용으로 이어지는 제안을!
제2장 바이오매스 필러 시장 동향
바이오매스 필러를 "화성 자원 유래 플라를 대체하는 소재"로 규정
보다 고부가가치 영역에서의 활용 진전
1. 셀룰로오스 (CeF)
펄프 유래의 CeF는 CNF가 오버스펙인 분야에서의 채용 진전
CO2 배출량 삭감과 함께 유동성과 강도 등 물성 향상 효과가 평가된다
(표) 셀룰로오스 필러 현황
비펄프 유래 재료에서의 셀룰로오스 성분 추출 개발도 시작
(표)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 제품 현황
2. 목재 가루(간벌재 유래, 폐목재 유래)
건자재로 오랜 역사를 가진 목재가루 컴파운드 수지, 건축 폐자재가 아닌 일본 국내 간벌재를 사용하여
트레이서빌리티 확보와 지역생산 지역소비 추진에 대응하는 움직임도
(표)목재 가루 필러(복합수지) 현황
건자재 이외에서는 잡화, 테이블웨어에서 자동차까지 폭넓은 용도로 제안 진행
자동차용은 토요타 차체 TABWD®를 내외장 부재에 채용한 공용차의 주행이 개시
(표) 목분계 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 제품 현황
3. 카카오 허스크
초콜릿 대기업 메이지(明治)와의 협업으로 카카오 허스크를 업사이클링
테이블웨어나 용기 등의 개발·상품화 진전
(표)카카오 허스크 필러 현황
(표)카카오 허스크계 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 제품 현황
4. 계란껍질
일본에서 20~30만t/년 배출되는 계란껍질 유효 활용, 가공 계란껍질의 탈취·항균성과 함께
'계란'이 가진 스토리성이 용도 개발 및 제품 개발을 뒷받침
(표)계란껍질 필러 현황
(표) 계란껍질계열 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 제품 현황
5. 기타 미이용 재료 (차찌거기, 왕겨, 비식용·폐기 쌀, 덴트 콘 등)
그동안 대부분이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식품 찌꺼기, 미이용재 필러화도 활발화
(표) 기타 재료에 의한 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 제품 현황
(표)바이오매스 필러 주요 메이커의 제품 현황
제3장 바이오매스 필러 활용 제품 시장 동향
자동차, 건자재를 비롯한 BtoB에서 패션, 완구 등의 BtoC까지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소재의 바이오매스 필러 채택이 시작되다
1. 자동차 관련
토요타 차체 TABWD®사용하는 초소형 BEV '모쿠마루'가 지자체 공용차로서 공도 주행을 실현
CeF 함유 그린칩®CMF®성형성은 문제 없으며 비용과 내충격성 향상 개발 진행
(그림)시즈오 카 모쿠마루
성게 껍질, 굴 껍질 필러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채택도 시작
(그림) 굴 껍질 혼련 수지를 사용한 로어 패널 시제품
(그림) 성게 껍질 유래 기능성 필러 성게라이트 ™
2. 건자재 관련
기존의 목재 가루 복합 수지뿐 아니라 계란껍질을 활용한 건자재도 등장
(그림) LCT 시리즈 / 바이오 믹스 톤
3. 공업/산업 관련
바이오매스 필러 복합수지 난연성 부여, 왕겨 함유 실리카 활용 등
공업/산업 용도에도 바이오매스 필러 채택 움직임
4. 용기/포장
원가 절감 요구와 볼륨 대응으로 본격적인 채용에는 높은 장애물 있음
소비자의 메리트와 내용물의 가치 향상으로 이어지는 제안을 어떻게 진행시킬 것인가가 과제
5. 테이블웨어, 커트러리
아사히 유어스 '모리노 텀블러' 시리즈를 시작으로 식기 관련 채용 확대
CO2 감소 등의 환경 가치와 바이오매스 필러의 독특한 질감, 텍스쳐가 평가됨
(표)아사히 유어스 주요 제품
(그림) Nogakel 노가켈
(그림) SWEN 오리지널 머그컵
6. 패션 관련
'지속가능한'이 브랜드 이미지로 바로 연결
용기, 소품, 텍스타일 등 다양한 제품으로 활용 여지 있음
(図)TABB HAIR SERUM
(그림) kinari에서 제작한 버튼과 스핀들 스토퍼
(그림) MOC-TEX®와 용도 예
7. 완구
프라모델에서는 세밀한 사출 성형에 대응하는 MFR이 채용의 관건
유아용 완구는 일본산 쌀 필러를 함유한 라이스 레진®이 안심·안전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부응
(표) 바이오매스 필러의 다운스트림 전개(BtoB의 예)
제4장 바이오매스 필러 제조업체 동향
주식회사 해미셀룰로오스
원료에서 추출한 성분을 분자 수준으로 화학 합성하여 다양한 부가가치 부여
금형·소형재에 대한 정보와 종합해, 재료 제공에 그치지 않는 솔루션 제공
식물 성분 중에서도 활용이 진행되지 않았던 헤미셀룰로오스의 세계 최초 바이오플라화 실현
성분추출~화학합성~혼련부터성형,제품화까지일관된 진행 체제로 차별화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원료~합성~혼련 프로세스의 조합을 최적화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컬래버레이션으로 풍부한 실적을 보유한
주식회사 아미카테라
식물유래,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체소재 modo-cell®로
폐자재, 부산물, 간벌재 등 미이용 자원의 업사이클 제안
식용재료 및 연료화 가능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미이용 식물유래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
원료, 가공, 제품의 각 단계에서 modo-cell®만의 우위성 발휘
구마모토 제1공장은 쇼룸 역할을 하며 빨대 생산
제2공장 이후 펠릿 특화로 modo-cell® 용도개발 강화
토레쇼쿠 주식회사
야채 찌꺼기 등 비목질계 재료에서 셀룰로오스를 추출하여 기능 재료로 전개
2025년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 가능한 대형기기 가동으로 개발에 탄력
약제를 사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생산 프로세스가 적은 셀룰로오스 추출 방법 개발
국가의 조성 사업에 연달아 채택
지역의 미이용 자재에서 셀룰로오스를 추출하여 다양하게 활용, 산업 폐기물을 자원화
지역생산 지역소비 비즈니스 모델로 지역 활성화와 CO2 배출 감소 실현
당분간은 일용품 등의 B to C 제품 전개로 지명도 향상 도모
최종적으로는 자동차를 비롯한 B to B 업계 전개를 목표로 한다
파나소닉 프로덕션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바이오 PE, PLA,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등을 사용한 등급 개발 진전
다양한 니즈 대응력 강화
완전 생분해 등급, 해양 생분해 그레이드의 투입으로 마이크로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기여
CeF 함유량 70% 제품 및 바이오 PE 사용품 등 고바이오매스 그레이드 제안도 추진
지역과 공동으로 간벌재나 농산물 부산물 등 식물 폐 자재의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한 제품 개발이 진행
3D프린터 성형품 등 기존에 없던 용도 개발에도 주력
CeF계 재료로서 최초로 SuMPO의 CFP 평가를 개시하여 재료로서의 환경 가치를 소구
가전사업으로 축적된 성형기술, 재료기술을 무기로 개발 지속
주식회사 도모에가와코퍼레이션
생산 효율 향상으로 목표로 하는 판매량 2,000t/년 실현에 탄력
셀룰로오스 파이버 복합 수지 그린 칩 ® CMF ® 용도는 확실히 확대
표준 등급 테스트에서 개별 니즈에 최적화한 맞춤형 등급 개발로 제안 단계 진행
샤르피 충격 강도 10kJ/㎡를 넘는 내충격 등급 실현도
셀룰로오스 배합률이나 강성 등에 과제가 있음
커트러리, 테이블웨어 등 생활용품 관련 채용실적 확대
2024년 '시즈오카 모쿠마루' 제작 협력, 자동차용으로 탄력 받을까
후쿠비화학공업 주식회사
목질 신건자재 '플라스드'는 목재 가루의 지역생산 지역소비에 의한
재료 트레이서빌리티 실현과 CO2 배출 삭감이 높게 평가
산림정비(간벌)부터 재료, 제품까지 지역에서 일관되게 전개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2016년도, 2023년도 두 차례 굿디자인상 수상
나무의 질감, 촉감과 수지의 강도, 내구성을 모두 갖춘 건축 자재 '플라스드'는
재생목재 업계 최초로 SUMPO EPD 획득
도요타차체 주식회사
일본산 간벌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복합화한 성형 재료 TABWD®
'숲을 헤집다'라는 컨셉이 주목받다
탈탄소·순환형·자연공생사회 구축을 목표로 장기적인 대응을 계속
숲과 제품의 2가지 순환을 연결하는 TABWD®의 제안으로 탄소 중립에 기여
차량 내부 채용에 이어 외장 및 내장에 TABWD®를 활용한 초소형 BEV 개발
지역 간벌재 이용의 '모쿠마루'가 고치, 가고시마, 시즈오카에서 공용차 등으로 채용
TABWD®의 컨셉이 디자이너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BTOC 업계에서의 채용도 시작
사용자 니즈에 맞게 물성을 만들어 맞춤형으로 제안
료카산업 주식회사
폐목재를 업그레이드 재활용한 MIRAIWOOD®︎의 우수한 품질감과
탄소자원의 순환을 알리고 사용자에게 제안 및 용도개발을 추진
용도와 사용법에 따라 노멀, 고유동성 2종류의 펠릿 라인업
금형에서 사출 성형 조건 제안까지의 컨설팅 서비스도 가능
목재가루 배합률 51wt%에 식물유래 수지 사용으로 바이오매스도는 70까지 향상
우수한 환경 가치와 함께 폐자재를 자산으로 바꾸는 제안으로 협업 논의도 증가
플라스틱과 목재의 장점이 결합되어 우수한 물성 구현
기포 발생이 없는 두꺼운 사출 성형 기술 개발 등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 개발도 계속
테라보 주식회사
'카라클', 베이스 폴리머, 필러 배합률, 강화재, 첨가제 등
무수한 조합 중에서 최적의 제안으로 일용품부터 자동차까지 채용에 기대
일본 국내에서 조달하기 쉽고 소비자에게 친숙한 바이오매스 재료로 계란껍질에 주목
독자적인 탈취 처방 및 특수 처리로 "계란껍질 냄새" 억제 실현
표준 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개별 요구에 최적화한 맞춤 등급 제안
일용품 채용을 시작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공업·산업 용도로의 채용 기대
주식회사 넥아스
독자적으로 개발한 제조 기술 및 장비 SANTEC-BIO를 활용하여
용도 및 사용 조건에 최적화하여 만든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전개
다양한 베이스폴리머,바이오매스 재료 중에서 생분해 플라스틱[NEQASOCEAN]
계란껍질 필러 고배합 마스터 배치 'NEQAS-BIO' 개발
음식물 폐기물인 계란껍질의 배합에 의한 폐기물 및 석유유래수지 사용량의 삭감과
탈취·항균 기능 등의 부가가치가 주목받는다
바이오매스 마크 취득 및 패키징 콘테스트 수상 등을 통한
시장 인지도 향상으로 기업과의 컬래버레이션 제품 거래 증가
주식회사 헤이와화학공업소
다층적층 블로우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 소재와 각종 기능을 조합한 보틀 전개
재료 개발, 시제품부터 양산화까지 일관된 컨트롤과 제안력에 강점
식물 유래 재료를 활용한 블로우 보틀로 20년 실적
생분해, 바이오매스, 재활용 등 친환경 소재 병으로 지구온난화 억제에 기여
바이오 컴포지트 소재 개발 자회사 (주)weats 설립으로 필러 대응력 강화
자체제작 연구기기 활용으로 성형조건 최적화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