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KYC·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 시장의 실태와 전망 (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7500
발간일
2025/03/28
체재
A4 / 174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74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2018년 11월에 범죄수익이전방지법 시행규칙 개정이 이뤄지면서 온라인으로 완결되는 eKYC가 법 규제상 본인확인방법으로 인정받게 됐다. 2023년 제4회 디지털사회추진회의에서 범수법 등에서는 eKYC를 공적개인인증으로 단일화하는 방침이 제시됐다.

벤더별 eKYC·공적개인인증서비스에 더해 당사자 인증솔루션을 조사함으로써 온라인에서의 인증영역 실태를 분석해 향후 행방을 고찰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본 보고서에서는 eKYC·공적개인인증서비스 제공사업자의 동향 및 과제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금융기관 및 비금융기관의 eKYC·공적개인인증의 도입 상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의 시장 동향을 전망한다.

• 조사대상: 본 조사에서는 eKYC·공적개인인증서비스 제공 사업자, 플랫폼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아래와 같은 12개사에 대한 공청회를 실시했다.

·eKYC·공적개인인증서비스 제공 사업자 및 플랫폼 사업

ACSiON, xID, 사이버트러스트, GMO글로벌사인, 쇼케이스, TRUSTDOCK, 포켓사인, 폴라리파이, Liquid , 대일본 인쇄, 닛폰전기, 히타치제작소 합계 12사

• 조사방법:

(1) 당사 연구원의 대면취재

(2) 전화조사 및 문헌조사 등

• 조사기간: 2024년 12월~2025년 3월

◆자료 포인트

• 법령 적용 업계 및 법령 비적용 업계의 도입 상황을 기재

• 공적개인인증 보급 현황 및 과제 파악

• 디지털인증 앱(디지털청)의 시장 영향 고찰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eKYC 시장에서의 공적개인인증 비율 산출

·마이넘버카드를 둘러싼 정부의 방침 및 각 사의 대처를 기재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총론

1. 본인확인에 대하여

  1.1 본인확인이란

  1.2 본인확인과 관련된 법 개정에 대하여

    1.2.1 eKYC의 추가에 관한 법 개정

    1.2.2 기존 방법의 엄격화에 관한 법 개정

  1.3 범죄수익이전방지법에서 정하는 본인확인방법

    1.3.1 본인확인방법 '가'

    1.3.2 본인확인방법 '나'

    1.3.3 본인확인방법 '다'

    1.3.4 본인확인방법 '라' 공적개인인증

2. eKYC 시장 개황

3. eKYC와 관련된 외부환경

  3.1 디지털청 동향

    3.1.1 민간사업자의 전자증명서 수수료의 일시적 무료화

    3.1.2 스마트폰용 전자증명서 탑재 서비(스마트폰 JPKI)

    3.1.3 건강보험증·운전면허증과의 단일화

    3.1.4 eKYC의 공적개인인증으로의 단일화

    3.1.5 디지털 인증 앱 제공

4.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 시장규모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별) (2021~2024도 예측)

5. 장래전망

  5.1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 시장 예측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별) (2023~2027도 예측)

  5.2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 시장 전망

    5.2.1 금융 영역에서의 시장 전망

    5.2.2 기타 업계에서의 시장 전망

6. eKYC, 공적개인인증/본인인증솔루션 활용 가능성

  6.1 활용영역

    6.1.1 금융기관에서의 활용 영역

    6.1.2 비금융기관에서의 활용 영역

    6.1.3 보안 향상에 대한 활용

    6.1.4 법령 외에서의 활용

7. 보급상 과제

  7.1 보급에 대한 과제

    7.1.1 도입 사업자의 과제

    7.1.2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과제

제Ⅱ장 eKYC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실태와 대응 상황

1. eKYC·공적개인인증

  1.1 eKYC

    1.1.1 eKYC란

    1.1.2 eKYC 서비스 제공 사업자

    1.1.3 eKYC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대응 상황

  1.2 공적개인인증

    1.2.1 공적개인인증이란

    1.2.2 민간사업자의 공 개인인증서비스 활용

    1.2.3 공적개인인증 플랫폼 사업자

    1.2.4 공적개인인증 추진의 과제

2. 서비스 기능 비교

3. eKYC 공적개인인증 시장규모 및 장래전망

  3.1 eKYC, 공적개인인증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2021년도~2027년도 예측)

  3.2 도입 영역별 시장규모(법규제업계/비법규제업계/지자체,

  공공서비스별) (2023년도~2027년도 예측)

  3.3 확인방식별 시장규모('가' 방식/'나' 방식/'다' 방식/

  '라' 방식별) (2023년도~2027년도 예측)

제III장 본인인증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실태와 대응 상황

1. 본인인증솔루션이란

2. 본인인증솔루션 제공 사업자 일람

3. 본인인증솔루션 제공 사업자의 대응 상황

  3.1 대책 개요

    3.1.1 Liquid의 대응

    3.1.2 폴라리파이의 대응

4. 본인인증솔루션 시장규모 추이와 장래 전망(2021년도~2027년도 예측)

제Ⅳ장 디지털 ID 지갑의 실태와 대응 상황

1. 디지털 ID 지갑이란

  1.1 디지털 ID 지갑이란

  1.2 디지털 ID 지갑과 eKYC의 관련성

  1.3 디지털 ID 지갑 제공 사업자 목록

2. 해외상황

3. 활용가능성

4. 추진상 과제

제Ⅴ장 참고정보

1. 법령적용 업계의 도입상황

  1.1 범죄수익이전방지법 관련 업계의 도입상황

    1.1.1 시중은행의 도입상황

    1.1.2 지방은행의 도입상황

    1.1.3 제2지방은행의 도입상황

    1.1.4 기타 은행의 도입상황

  1.2 휴대전화 부정이용 방지법과 관련된 업계에서의 도입 상황

2. 공적개인인증 플랫폼 사업자 일람

제Ⅵ장 개별 기업의 실태

1. ACSiON

2. xID

3. 사이버 트러스트

4. GMO글로벌사인

5. 쇼케이스

6. TRUSTDOCK

7. 포켓사인

8. 폴라리파이

9. Liquid

10. 대일본인쇄

11. 일본전기

12. 히타치제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