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우주 관련 기기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7800
발간일
2025/03/27
체재
A4 / 137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37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개발 로켓과 인공위성, 주요 메이커, 유스케이스, 특징 및 동향에 주목해 현황과 장래 전망을 예측.

◆조사개요

• 조사목적: 우주 관련 기기 시장에서의 아래 조사 대상품에 대해 대응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현재 동향과 향후의 사업 시책 등을 조사하고, 나아가 그 주변 조사를 추가함으로써 우주 관련 기기 시장의 현황과 향후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로켓, 인공위성, 기타 우주 관련 기기

•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의 대면취재 또는 온라인취재

• 조사·분석기간: 2025년 1월~2025년 3월

◆자료 포인트

일본이여, 모방이 아닌 독자적이고 유일무이한 기술로 우주산업을 개척하라

• 수송기와 위성 등의 개발은 세계 전체적으로 이루어져 2050년은 지금의 4배 78조 엔 규모로

• 주요국들은 기세를 멈추지 않고 치열한 주도권 경쟁에 돌입

• 우주전략기금을 시작으로 민간기업 개발이 조만간 개화

• 세계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SpaceX의 기세는 앞으로도 그대로 확대

• 세계적으로 미션 시동이 가속화, 시장 확대의 호기 도래 일본도 환경정비와 민간지원으로 우주기술 개발이 본격화

• 세계를 견인하는 미국, 협력과 기술로 최첨단 우주개발에 달직항선에서 화성으로의 도전!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우주 관련 기기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우주개발기기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압도적 미국의 힘도 합쳐져 전 세계적으로 미션 가속화

일본도 환경정비와 민간지원으로 우주기술을 발전시켜 나간다

2025년부터 25년에 4배 가까운 78조 엔 규모 달성

수송기와 위성 등의 개발이 세계 전체에서 이루어져 우주기술의 발전이 진행

도표. 세계 우주 관련 개발시장 규모 예측

(2024, 2025~2050년/제조사 출하금액 기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스페이스X의 기세는 그대로

세계 전체적으로도 발사 횟수 증가는 멈추지 않고 2030년에는 500회 넘을 전망

도표. 세계 로켓 발사 횟수 예측(2020~2030년)

위성 등의 소형화와 로켓에 대한 합승 서비스가 확대되어,

2025년 3,418회에서 5년 후에는 4,735회로 1.4배 가까운 수송 수로

도표. 세계 인공위성 발사 횟수 예측(2020~2030년)

강력한 미국 따라하기가 아닌

자국의 환경을 확실히 파악하여 타국에는 없는 기술로 우주산업을 개척해 나간다

기술개발 촉진뿐만 아니라 국가의 사업화 체제에 따라 우주산업이 보다 발전할 가능성도

우주의 매력을 전달하는 인재육성과 개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일본기술을 더욱 높여간다

제2장 일본 국내외 우주 관련 기기 시장동향

미국

  각국과의 협력을 얻어 기술을 연마하여 세계 최첨단 우주 개발을 선도

  미국에서는 달까지의 직행선을 시야에 넣어 화성을 내다본 개발 가속화가 진행

  그림. 미국에서 개발하고 있는 SLS 로켓에 대해서(위)와 블록1B 상세(아래)

  ISS의 연장 활용이 결정되어 한층 더 우주 탐구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

  그림. 국제우주정거장(ISS)

유럽

  20개국 이상의 기술을 집결시켜 유럽 지역의 수송, 위성서비스를 지원

  초기 우주에 관한 근원의 해명과 하늘에 대한 해석을 높이는 움직임이 진행

  그림. 2025년 3월에 발사된 'Ariane6'

  JAXA와의 협력을 통한 기후 변화 예측과 우주의 산업 상업화에도 의욕

  그림. ESA 비전에 대하여

중국

  3대 우주개발국 추종 움직임 활발

  우주정거장과 행성 탐사와 앞지르는 수준에서 기술 혁신을 추진

  우주기술의 다방면에서 실증을 거듭하여 길러 온 우주개발을 2025년에 크게 전개 예정

  그림. 중국이 개발해 2022년 설치 완료한 우주정거장 '天宮'

  그림. 중국에서 2028년에 계획된 '天文3호' 미션

  그림. 중국이 개발하는 로켓 ‘長征12호’(왼쪽)와 ‘朱雀’(오른쪽)

  국외에 의존하는 필수 기술의 자국 개발을 촉진하고 우주 분야에서의 중국 브랜드 강화

인도

  국가 예산도 증가해 유인 우주선 목표를 겨냥한 기술개발이 진행

  2020년대 초반 실적이 저조한 상황

  높은 개발의욕으로 안정된 미션 달성을 위해 성장 일로를 걷다

  그림. 인도가 Gaganyaan 미션에서 발사 예정인 LVM3 로켓

일본

  우주 관련 기기의 개발 의지력과 환경정비 조정으로 세계적 미션 수행과 국내 발전 도모

  위성서비스에 의한 일상의 효율화와 안전 보장의 확보를 위해

  올드 스페이스에서도 발사 움직임 활발

  그림. 미쓰비시전기가 개발하고 있는 위성 '미치비키'에 대해

  그림. 2026년도 이후의 준천정위성시스템 미치비키 7기 체제의 이미지

  표. 미쓰비시전기가 개발에 참여하여 착수한

  물자수송기 '고우노도리'와 'HTV-X' 비교

  세계 우주 시장에 도전하기 위해 질·양을 갖춘 위성을 개발해 위성군 구축을 목표

  그림. NEC와 JAXA에 의한 우주공간의 광통신 대처에 대하여

  그림. QPS연구소가 개발하는 소형 SAR 위성 'QPS-SAR'(위)

  2024년까지 발사된 위성(아래)

  세계가 하나로 도전하는 행성탐사계획에 참가해 우주산업의 실적과 강점인 자동차기술로 공헌

  그림. 도요타자동차가 개발하는 유인 여압 로버의 4가지 핵심기술

  국내 개발 기업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국가적 지원 강화로 촉진

제3장 관련 기업 동향

해외 기업

①미국 기업

  SpaceX

  Planet Labs

  Spire Global

  Iridium Communications

  Swarm Technologies

  IntelSat S.A.

  ORBCOMM Inc

  Global Star

  HawkEye 360

②유럽 기업

  Arianespace SA

    그림. Arianespace SA가 실시하는 발사 서비스 실적

  SES S.A.

    그림. SES S.A.가 전개하는 네트워크 맵

③중국 기업·단체

  中国航天科技集团有限公司

    (China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Corp.: CASC)

    그림. 2025년 3월에 중국 국내에서 발사된 로켓 '長征2D'

  上海航天技术研究院(Shanghai Academy of Spaceflight Technology: SAST)

    그림. 고도 500km에 발사된 SAST 위성 "SuperView Neo-1"

  长光卫星技术股份份有限有限公司 (Chang Guang Satellite Technology Co. Ltd.)

    그림. 長光衛星技術이 개발, 발사

    원격감지 사업의 이미지

④인도 기업

  Pixxel(pik·sl)

    그림. Pixxel이 개발하고 있는 하이퍼스펙트럼 이미징

  Dhruva Space Private Limited

    그림. Dhruva Space Private Limited가 개발하는 위성궤도 전개장치(DSPD)

주식회사 IHI

  실적을 무기로 장기개발과 실력 없이는 불가능한 로켓엔진 기술을 전개

  일본의 로켓 개발에 처음부터 참여하여 그 기술과 실적으로 현재도 시장을 견인

  그림. IHI그룹에서 진행하고 있는 우주개발사업

  로켓의 재사용과 장기간 궤도상 운용을 실현하기 위해,

  메탄을 이용한 엔진의 조기 개발에 착수

  표. 로켓용 추진약 비교

  그림. IHI의 엔진 연소 시험설비(왼쪽)와 10t급 메탄엔진 연소 시(오른쪽)

  실패와 성공의 경험치를 활용한 엔진 개발을 하여 우주 시장을 견인

일본전기 주식회사(NEC)

  다년간의 실적을 활용하여 위성 설계부터 데이터 활용까지의 토탈 서비스로

  우주 사업을 지탱

  혁신적인 기술과 풍부한 실적으로 통신, 관측, 탐사와 일본 우주산업을 뒷받침하는

  수요 증가 확실시되는 우주공간에서의 광통신 성공

  2025년부터 운용 개시로 위성 데이터 활용을 견인

  그림. NEC와 JAXA에 의한 우주공간의 광통신 대처에 대하여

  세미 오더 가능한 제품을 제공하여 단기적으로 저비용을 실현

  표 NEC가 개발한 NEXTAR를 이용한 소형 인공위성 'ASNARO' 시리즈

  자연재해 등 피할 수 없는 사태의 예측이나 대책을 위해 국외에서도 요청을 받아

  NEC 기기의 기대가 고조

  그림. 베트남에서 수주해 NEC가 개발, 제조한 LOTUS at-1

  향후 우주산업 개척에도 시스템 담당으로서 참여해 세계 인프라 발달에 공헌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일본 인공위성 개발의 선도 기업으로서,

  새로운 우주 비즈니스 전개를 추진

  우주사업에 1960년대부터 참여,

  오랜 실적과 확실한 품질로 일본 우주산업 발전 및 우주 인프라 구축에 기여

  그림. 미쓰비시전기가 사용한 위성 일람

AstroX주식회사

  공중발사방식으로 수송서비스의 증가와 안정화를 도모하고 우주개발을 촉진

  세계에서도 사례가 적은 방식으로 사물을 우주로 수송

  그림. AstroX가 개발하는 록큰방식의 CG화상과 발사모델

  대학과도 연계해 안전안심 소형 로켓의 확립을 목표로 시험을 거듭

  그림. 2024년 8월에 실시한 실증실험 'kogitsune'(위)와

  FOX1호기 상세(하)

  미지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기구 분야의 개척에는 관련 기술의 협력도 받아

  조금씩이지만 구현을 위해 기술 개척이 진행

  록큰방식이 가진 압도적인 발사빈도로 국산 위성을 일본에서 수송하여

  국내 우주산업에 공헌

주식회사 ispace

  「Expand our planet. Expand our future. ~인류의 생활권을 우주로 넓혀,

  지속성 있는 세계로~'를 비전으로 내걸고 월면자원 개발에 나서는 우주 스타트업

  지구와 달 사이의 공간(시스루나)에 경제권을 구축

  그림. ispace가 제공하는 3가지 주요 서비스

  섬세한 마일스톤 설정과 실패에서 배운 다음 활용

  달 착륙을 향해 걸음을 옮기다

  그림. ispace가 2022년에 실시한 HAKUTO-R 미션1의 마일스톤

  그림. HAKUTO-R 미션2에서의 RESILIENCE 랜더의 마일스톤(위)과

  달 탐사차 미션(아래)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권에 거점을 두고

  최신 동향을 파악하면서 우주사업 확대에 도전

  그림. 2025년 2월 기준 ispace 미션 계획

주식회사 QPS연구소

  20년 이상의 소형 위성 개발 지식과 현지 기업의 협력으로 독자 기술을 확립

  개발한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다

  '규슈 우주의 선구자'로서 현지 기술을 결속하여 세계 우주 시장에 도전

  그림. QPS연구소가 개발하는 소형 SAR위성 'QPS-SAR'(위)

  2024년까지 발사된 위성(가운데)

  8호기 '아마텔-Ⅳ'에 의한 나가사키현 고토시의 스포트라이트 모드 화상(아래)

  다른 기업에서는 볼 수 없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큰 안테나 전개 기술을 확립

  그림. QPS연구소가 개발한 전개식 파라볼라형 안테나(위)와

  안테나 이외의 기술개발(아래)

  우주 비즈니스 시장을 파악하고 규슈의 지혜를 집결

  질과 양 모두 충분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주식회사 악셀스페이스

  소형 위성의 기술력과 서비스력으로 먼 우주를 친근한 산업영역으로 바꾸어 가다

  우주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소형 위성을 개발하는 개척자로서 사업을 전개

  그림. 악셀 스페이스가 개발해 온 인공위성 일례

  실적을 활용한 위성 개발과 2대 사업 확립으로 우주 활용 지원

  그림. 액세스 페이스가 전개되는 'AxelGlobe'의 서비스 프로세스(위)와

  GRUS-1 위성 기능 상세(아래)

  그림. 악셀스페이스가 제공하는 'AxelLiner'의 서비스 프로세스(위)와

  실증위성 PYXIS 기능 상세(아래)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우주환경에도 배려한 생각을 도입하여,

  업계 보급에 힘쓰다

  그림. 악셀 스페이스가 책정하는 지구·우주 환경을 고려한 가이드라인

  ‘Green Spacecraft Standard’

  우주 환경을 가까이할 수 있는 사업도 제안, 우주 시장을 근본부터 북돋아 나간다

주식회사 이와야기켄

  전례가 적은 기구 기술을 확립하여 유람비행과 우주산업 발전에 공헌

  쉽게 우주에 갈 수 있는, 볼 수 있는 꿈같은 탈 것으로 기구를 전개

  그림. 이와타니기켄이 개발하는 가스기구

  2024년 일본 최초 고도 20km 달성

  독자 기술로 비행에 관련된 모든 필요 부품을 개발, 수많은 실험을 거듭하여 착실하게 구현을 목표

  그림. 2022년 11월 유인 비행 실험

  그림. 2024년 7월 최고 고도 20,816m 도달 시의 선외 풍경

  단순한 유람비행뿐만 아니라 로켓이나 인공위성 개발에도 기구 기술을 활용

국립법인대학 홋카이도대학

  일본, 세계 최고 수준의 로켓 기술로 우주 동력시장 견인

  액체연료나 고체연료보다 우수한 하이브리드 로켓 개발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의 실용화를 목표로 벤처기업이 나서서 전개를 도모

  그림. 홋카이도대학에서 개발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기업으로의 기술발전

  3D프린터의 확립으로 우주 업계에서도 연구가 가속화, 로켓 기술도 진보를 보이다

  그림. 단면 연소식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료(왼쪽)와

  단면 연소식 하이브리드 로켓의 개념(오른쪽)

  로켓에 불가결한 노즐 부분의 문제 해결에도 주력

  하이브리드 로켓의 우려점을 해결한 기술을 세계 최초로 확립

  그림. 노즐침식 실증시험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을 필두로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우주 업계로 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