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ㆍ탈탄소화의 동향과 전망 ~ZEB시장의 장래예측~ (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2025년 2월에 각의가 결정된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2040년을 향한 정책 방향성의 하나로서 건축물의 비화석 전환 추진 등이 제시되었다. 건축물에너지절약법의 개정에 따라 2024년 4월에는 건축물재생에너지촉진구역제도가 시작되어 태양광 패널 설치 시의 높이 제한에 특례를 두는 등 제도 변경이 실시되었다.
또, 정부는 2030년도 이후의 모든 신축에서 ZEB(Net Zero Energy Building) 수준의 에너지절약 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50년에는 스톡 평균으로 ZEB 수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기존 건축물의 ZEB화(ZEB 개수)의 촉진도 요구된다.
본 자료에서는 종합건설사·하도급사·조직설계사무소에 의한 ZEB 보급을 위한 대응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 등을 정리했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 2025년 2월에 각의가 결정된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2040년을 향한 정책 방향성의 하나로서 건축물의 비화석 전환 추진 등이 제시되었다
· 건축물에너지절약법의 개정에 따라 2024년 4월에는 건축물재생에너지촉진구역제도가 시작되어 태양광 패널 설치 시의 높이 제한에 특례를 두는 등 제도 변경이 실시되었다
· 또, 정부는 2030년도 이후의 모든 신축에서 ZEB(Net Zero Energy Building) 수준의 에너지절약 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50년에는 스톡 평균으로 ZEB 수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기존 건축물의 ZEB화(ZEB 개수)의 촉진도 요구된다
· 본 자료에서는 종합건설사·하도급사·조직설계사무소에 의한 ZEB 보급을 위한 대응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 등을 정리했다
조사기간: 2025년 6월~2025년 8월
조사대상: ZEB의 설계·시공 실적을 가진 종합건설사, 하도급사, 설계사무소 합계 8사
조사내용: 목차의 내용에 준함.
조사방법:
· 전문 조사원이 면접취재조사(대면취재 또는 Web취재)
· 각종 통계, 문헌자료 등 수집·분석조사
기획·편집: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생활·환경·서비스 산업 유닛
◆자료 포인트
• 2023년판에서 산출한 ZEB시장의 2030년도 예측을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새롭게 2035년도·2040년도 시장규모를 산출
• 건축물의 탈탄소화 방향과 일본의 현재 위치, 향후 과제를 정리
• 'ZEB를 실현하는 설비 사양'에 관한 취재를 강화하고, 외피 성능·공조 방식·급탕 방식의 선택 동향을 정리
• 건축물의 탈탄소화가 요구되는 배경으로서 사회적 틀(SBTi, GHG 프로토콜, TCFD 등)과 법규제 동향을 정리
◆리서치 내용
제1장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 현황과 전망
1.1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 현황
1.1.1 탈탄소화를 둘러싼 외국·일본의 동향
~미국의 파리협정 재 이탈, 유럽의 환경규제 완화 등,
세계의 탈탄소화를 둘러싼 기운은 후퇴로.
일본은 2040년도에 재생에너지를 주력 전원으로 하는 목표를 내건다~
1.1.2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 개요
~건축물의 탈탄소화의 현재 위치는 오퍼레이셔널 카본 삭감=
ZEB화의 추진 단계. 최종 형태로서 지향해야 할 모습은
'Whole Life Carbon'~
1.1.3 ZEB의 시장규모 추계
~ZEB의 시장규모는 계속 증가하여, 2024년도에 1조 1,930억엔까지 성장~
1.1.4 ZEB 시장의 동향
~환경경영으로 전환하면서 ZEB화의 수요가 확대. 종합건설사 등에서는
ZEB 제안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설계 지원 툴 개발·활용에 주력~
1.2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 전망
1.2.1 ZEB의 시장규모 예측
신축의 100%가 ZEB가 되는 2030년도는 시장규모 8.6조엔으로.
그 후는 『ZEB』+Nearly ZEB로의 전환, ZEB 개수 시장의 시작으로,
2040년도에는 시장규모 9.4조엔으로~
1.2.2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화·탈탄소화의 방향성과 과제
~Whole Life Carbon 절감을 위해 향후 저탄소 건축자재의 활용과
건설 기계의 연료 전환, ZEB 개수 확대가 과제로~
제2장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의 필요성
2.1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탈탄소화가 요구되는 배경
2.1.1 파리협정 발효
2.1.2 몬트리올 의정서
2.1.3 에너지 기본계획
2.1.4 GX2040 비전·지구온난화 대책계획
2. 일본의 온실효과가스 배출현황
2.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에 관련된 사회적 틀
2.3.1 SBTi
2.3.2 RE100
2.3.3 GHG 프로토콜
2.3.4 TCFD
2.3.5 CFP
2.3.6 배출량거래제(GX-ETS)
제3장 비주택 건축물을 위한 정책·제도(에너지절약·탈탄소화 관련)
3.1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에 관한 법규제 동향
3.1.1 에너지절약법
3.1.2 건축물에너지절약법
3.1.3 건축물에너지절약성능표시제도
3.1.4 프레온배출억제법
3.2 비주택 건축물의 에너지절약·탈탄소화에 관한 제도 동향
3.2.1 비주택물 건축물의 환경성능에 관한 인증제도
3.2.2 건축물 LCA 제도
제4장 비주택 건축시장의 동향
4.1 비주택 건축물 시장의 관련 지표
4.1.1 건축 스톡
4.1.2 신축 착공
4.1.3 건축 리뉴얼
4.1.4 건설투자
4.2 ZEB의 수주 동향
4.2.1 ZEB 플래너의 개요
4.2.2 ZEB 설계 수주 실적 추이
제5장 ZEB 시장진입 플레이어의 대응
5.1 주식회사 OBAYASHI
5.2 SANKEN SETSUBI KOGYO 주식회사
5.3 DAI-DAN 주식회사
5.4 DAIWA HOUSE INDUSTRY 주식회사
5.5 주식회사 Takenaka
5.6 TODA 주식회사
5.7 MAEDA 주식회사
5.8 주식회사 Mitsubishi Jisho Desig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