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순환형 패션의 현황과 과제 -구미와 일본의 지속가능성 비교 분석(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2024년 8월, 제5차 순환형사회 형성추진 기본계획의 각의 결정에 따라, 가정에서 폐기되는 의류의 양에 대해 '2030년도까지 2020년도 대비 25% 삭감을 목표’로 해, 경제산업성은 섬유 제품에서의 자원 순환 로드맵에서 2030년도까지 폐기되는 의류 중 섬유 to 섬유의 재활용으로 5만 톤을 처리하는 KPI를 내걸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가 추진하는 섬유제품의 자원순환과 함께 맞물려 기업의 환경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2023년에 발간한 최신판으로, 어패럴 관련 기업-메이커, 소매, 상사 등이 대응하고 있는 순환형 패션을 조사하는 동시에 구미의 선진적인 대응에 대한 사례연구를 더욱 늘리고, 세계를 선도하는 구미가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성과 일본의 현황을 비교 분석해 일본의 순환형 패션의 과제·전망을 파악합니다.
◆조사개요
ㆍ조사목적: 본 조사는 어패럴 관련 기업-메이커 소매, 상사 등이 추진하고 있는 순환형 패션의 대응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지속가능성 트렌드, 선진적인 구미기업의 사례연구를 조사함으로써 일본의 순환형 패션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ㆍ조사대상:
(1)일본 주요 어패럴 메이커, 의류 소매업, 도매·상사
(2)구미 브랜드 기업
(3)일본 부처의 순환형 패션을 위한 대처, 방침, 유럽·미국의 법규제
ㆍ조사내용:
(1)세계 패션의 지속가능성 현황
(2)일본 패션 기업의 지속가능성 현황
(3)순환형 패션의 과제와 전망
ㆍ조사방법:
◇대면취재
◇우편설문조사
◇문헌조사
ㆍ조사기간: 2025년 5~2025년 7월
ㆍ기획·조사·편집: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컨슈머마케팅유닛패션&리테일그룹
◆자료 포인트
ㆍ선진적인 구미 기업의 사례연구를 더욱 늘려 향후 일본에 미치는 영향, 일본 기업의 과제를 고찰
ㆍ구미의 법령, 규제 등과 일본을 비교하고, 향후 예상되는 일본의 방향성을 검토
ㆍ섬유제품의 자원순환 로드맵에 제시된 KPI 검증
제1편 세계 패션의 지속가능성 현황
■구미의 섬유·패션의 지속가능성 현황
(1)서스테이너블 패션 인기의 배경
(2)EU가 진행하는 섬유제품 순환형 경제(서큘러 이코노미)
(3)2025년 유럽연합의 패션산업 규제
(4)순환형 섬유 및 패션에 관한 G7 아젠더(G7ACT)
(5)유럽과 미국의 불필요한 의류 회수, 재사용, 재활용에 관한 주제
(6)EU의 비재무적 정보 공개 현황
(7)구미 브랜드 기업의 대처 선진사례
·adidas AG
·Burberry Group Plc
·Chanel Limited
·Gap Inc.
·H&M Group
·INDITEX
·KERING
·LVMH
·Capri Holdings Limited(Michael Kors)
·NIKE, Inc.
·Patagonia, Inc.
·Prada S.p.A
·Compagnie Financiere Richemont SA
·SHEIN
·Stella McCartney LTD
·PVH Corp. (TOMMY HILFIGER)
·Ralph Lauren Corporation
제2편 일본 패션기업의 지속가능성 현황
■정부의 지속가능성 과제 이해와 방향성
(1)머티리얼 플로우로 보는 섬유제품의 자원순환 현황
(2)수평적 재활용(섬유to섬유)의 필요성
(3)섬유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제와 대처 방향성
(4)섬유제품의 친환경 설계 가이드라인 책정
(5)친환경 정보공개 가이드라인
(6)섬유제품 자원순환 로드맵
(7)주요 어패럴 기업의 대처 현황과 과제
1. 소재 메이커
1) 자원순환의 구체적인 대처내용
2) 환경부하 경감 대처에 관한 과제, 방향성
2. 어패럴(스포츠) 메이커
1) 자원순환의 구체적인 대처내용
2) 환경부하 경감 대처에 관한 과제, 방향성
3. 상사, 도매
1) 자원순환의 구체적인 대처 내용
2) 환경부하 경감 대처에 관한 과제, 방향성
4. 소매업
◇주력 전문점 회수 →재사용·재활용 대책
(양품계획, 퍼스트리테일링, 아다스토리아)
1) 자원순환의 구체적인 대처 내용
2) 환경부하 경감 대처에 관한 과제, 방향성
◇oHOHo CYCLE PROJECT -민관일체형 순환형 모델로
5. 고섬유사업자, 재사용 소매(정맥 기업)
1) 자원순환의 구체적인 대처 내용
2) 환경부하 경감 대처에 관한 과제, 방향성
<개별기업동향>
1. 소재 메이커
①쿠라시키방적
②니케
2. 어패럴(스포츠) 메이커
①아이토스
②아식스
③온워드카시야마
④카이탁패밀리
⑤골드윈
⑥삼양상회
⑦TSI홀딩스
⑧치쿠마
⑨월드
3. 상사, 도매
①초리
②도시마
4. 소매업
①AOKI
②아오야마상사
③유나이티드 애로우즈
5. 고섬유사업자, 재사용 소매(정맥 기업)
①에커밋
②나카노
③파이버시디엠
④FINE
■헌옷의 수출입 상황과 일본 대형 소매 동향
■일본 어패럴 기업의 현황과 과제-설문조사 결과
조사결과 요약
<각론>
1. 불필요 의류 회수 유무
2. 회수 개시 시기
3. 회수를 시작한 목적
4. 회수 상황(회수매장, 회수시기, 회수제품, 혜택유무)
5. 회수 후의 재자원화 상황
6. 재사용과 재활용의 비율
7. 불필요 의류 수거량 증가 여부
8. 불필요한 의류의 회수, 재사용·재활용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
9. 불필요한 의류를 회수하지 아니하는 이유
10. 불필요 의류의 회수를 할 계획의 유무
11. 최종제품의 최종처분방법
12. 불필요 의류의 재자원화를 위해 필요한 것
13. 섬유제품 재자원화 비용부담처
14. 개시하고 있는 환경부하에 관한 지표
15. 실시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친환경 설계
16. 코로나 전 2019년도와 비교한 2025년도 제품 취급량
17. 금년도 매출액 예상(전년도 대비)
제3편 순환형 패션의 과제와 전망
1. 세계의 지속적인 트렌드 조류가 일본에 미치는 영향
2. 구미 글로벌 기업의 대처로 보는 일본 기업에 대한 영향
3. 일본 기업의 순환형 패션 추진과제
4. 섬유제품 자원순환로드맵 KPI 실현성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