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주택산업백서(건자재편)(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본서에서는 주택, 건자재 시장의 조사를 실시해, 시장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건자재에 대해서 목질계 건자재, 요업계 건자재, 금속계 건자재, 플라스틱계 건자재, 단열재, 인테리어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각 시장의 시장규모, 점유율, 사업자 동향, 향후 전망 등을 리포팅했다.
또, 2020년도부터 주택·건자재 시장에서도 환경·탄소중립에 관한 시책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시책이 상품으로 구현한 것은 연구·개발 후의 2024년경부터이며, 현재는 각사의 상품 전략에도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2025년도부터 주택에 대한 에너지 절약 기준 적합 의무화가 시작되어 더욱 구체적인 시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주택과 건자재에 관한 친환경과 탄소중립을 향한 동향을 조사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전개 등도 리포트했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본서에서는 주택, 건자재·설비 시장의 조사를 실시해, 주택, 건자재·설비 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일본 경제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 각 주택, 건자재 시장의 시장규모
(2) 각 주택, 건자재 시장의 참가기업별 점유율
(3) 각 주택, 건자재 시장의 기업별 동향
(4) 각 주택, 건자재 시장의 전망과 과제
(5) 각 주택, 건자재 시장의 장래 시장규모 예측
조사대상: 본서에서는 아래와 같은 시장을 조사대상으로 했다.
(1) 주택시장 (2) 목질계 건자재 시장 (3) 요업계 건자재 시장
(4) 금속계 건축자재 시장 (5) 플라스틱계 건축자재 시장 (6) 단열재 시장 (7) 인테리어 시장
조사대상지역: 일본
조사방법:
(1) 당사 연구원이 직접 면접취재
(2) 우편 앙케트조사
(3) 문헌조사, 기타 데이터 수집
조사기간: 2025년 4월~2025년 7월
조사담당: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생활·환경·서비스산업 유닛 생활산업 그룹
◆자료 포인트
• 2024년도 신설 주택 착공 호수는 전년도 대비 2.0% 증가한 약 81.6만호로 2021년도(약 86.6만호) 이래 3년만에 증가했다. 다만, 증가 요인은 2025년 4월의 제도 변경을 앞에 둔 "선수요"인 것으로 보여 2025년도는 그 반동으로 다시 감소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 계속 어려운 건자재 시장, 각 메이커에서는 취급 상품의 고부가가치화와 취사 선택, 사업 체제의 재검토를 도모하는 사업자도 나오고 있다.
• 건자재 시장의 환경에 대한 대응으로 생산공정 중의 재생에너지 전력 활용, 리사이클 자재 활용이 진행되는 뿐만 아니라 EPD(환경성적표지) 취득 등 환경 관련의 각종 인정 취득도 트렌드. 향후는 더욱 가속할 것으로 보인다.
• 주택·건자재 시장의 최근 동향과 함께 건자재 메이커의 친환경 건자재와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대응 등을 특집.
◆리서치 내용
특집 2025년 주택·건자재 시장 주목 동향
(1) 주택 건자재 총 시장규모
2035년도까지의 주택 건자재 총 시장규모와 예측
(2) 주요 건자재 시장규모
2030년도까지의 각 주요 건자재 시장규모와 예측
(3) 주택 업계의 경향과 향후 방향성
(4) 건자재 시장의 시장·제품 동향
제1장 주택 시장의 실태와 전망
(1) 주택 시장의 실태와 전망
(2) 이용관계별 동향
(3) 공법별 동향
(4) 2035년까지 주택착공 에측
제2장 주택 시장
(1) 프리패브주택
(2) 목조주택
(3) 투바이포주택
(4) 디벨로퍼
(5) 맨션 시장
(6) 임대주택
(7) 부동산 유통
(8) 주택 리모델링 시장
제3장 목질계 건자재
(1) 목질보드
(2) 복합플로어링
(3) 목질주기
제4장 요업계 건자재
(1) 유리
(2) 석고보드
(3) 요업계 사이딩
(4) ALC
(5) 타일
(6) 시멘트 기와
제5장 금속계 건자재
(1) 알루미늄 새시
(2) 셔터
(3) 금속 사이딩
(4) 금속 지붕
(5) 현관문
제6장 플라스틱계 건자재
(1) 염화비닐 바닥재
(2) 건자재 다다미(화학 다다미)
(3) 수지 새시
제7장 단열재
(1) 글라스울
(2) 록울
제8장 인테리어
(1) 벽지
(2) 융단·카펫
(3) 커튼
(4) 블라인드·스크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