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방재 DX 시장의 실태와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7107900
발간일
2025/07/31
체재
A4 / 157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57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리스크의 증가와 지자체의 일손 부족을 배경으로 방재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AI·IoT·클라우드를 활용한 시스템을 통한 정보의 가시화 및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은 재해 대응의 고도화에 기여하는 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리포트에서는 이러한 「방재 DX」의 대처를 둘러싼 정책 동향, 참여 사업자의 전개 상황, 지자체·민간에서의 도입 실태를 정리해 향후의 시장 성장성과 과제를 전망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방재 DX와 관련해 주요 사업자 및 지자체의 동향을 조사했다. 또, 동시에 정부가 진행하는 주요 관련 시책이나 업계 동향에 관련되는 시장 동향의 분석을 실시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해당 시장의 관련 사업자 및 관계자의 사업활동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당사가 독자적으로 선정한 방재 DX관 련 사업자 합계 13사

• 조사방법: 대면취재(온라인취재 포함) 조사, 문헌조사

• 조사기간: 2025년 5월~2025년 7월

• 게재 데이터에 대해서: 본 리포트에 기재된 내용 및 데이터는 이번 취재 결과를 토대로 당사에서 추정을 더해 작성한 것이다. 또한 반올림에 따라 수치 합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조사담당: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ICT·금융유닛

◆자료 포인트

• 방재 DX 관련 솔루션 유력 제공 사업자 13개사 직접 취재

• 방재정보시스템의 시장규모 추이를 예측(2024년도~2030년도)

목차
Close

조사결과 포인트

도표1 방재 DX 시장에서의 PEST 분석

도표2 방재정보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1장 방재 DX의 대처

1. 방재 DX란

  1.1 방재 DX의 정의

  1.2 방재 DX 시장 PEST 개관

    도표3 방재 DX 시장에서의 PEST 분석

  1.3 방재정보시스템의 시장규모 추이

    도표4 방재정보시스템 시장규모 추이

2. 방재 DX가 필요한 배경

  2.1 엄청난 재해의 발생

    2.1.1 지진피해

    도표5 지난 10년 동안의 주요 지진 재해

    도표6 중앙방재회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대규모 지진

    2.1.2 광역재해시대에 요구되는 방재체제의 재구축

    2.1.3 지진에서 수해, 그리고 기후 리스크 전반으로

    도표7 지난 10년 동안의 주요 수해

  2.2 지자체 직원 감소

    도표8 지방공공단체의 직원 수 추이(1994년~2024년)

  2.3 취약자의 존재

  2.4 스마트폰 보급

    도표9 스마트폰 가구 보유율 추이

3. 국가의 시책

  3.1 국토강인화

    그림10 국토강인화가 목표로 할 것

  3.2 디지털 사회의 실현을 위한 중점 계획

  3.3 방재 DX 민관공창협의회

  3.4 방재 DX 서비스 맵 / DMP

    도표11 방재 DX 서비스 맵 게재 서비스

    도표12 DMP의 구조

  3.5 방재청

    도표13 방재청의 필요성, 방재청의 목적·역할

    도표14 방재청의 주요 대처사항

  3.6 신물자시스템(B-PLo)

    도표15 B-PLo 개요

  3.7 방재 디지털 플랫폼

    도표16 데이터 유통 이미지도

    도표17 SOBO-WEB의 활용사례

    도표18 SOBO-WEB의 개요도

  3.8 방재분야의 데이터 연계기반

    도표19 방재 분야의 데이터 연계 기반 이미지

    도표20 2024년도의 데이터 연계 기반 실증실험에 대해서

    도표21 실증실험에 이용한 각 방재 애플리케이션과 기능 개요

    도표22 앱 관련 이미지

  3.9 마이넘버카드

    도표23 방재 DX에서 마이넘버카드의 상정 활용 예

    도표24 2023년도 대피자 지원업무 실증실험(제1회)에서의 마이넘버카드 활용

    도표25 마이넘버카드 보유현황

4. 방재 DX 솔루션과 참여사업자

  4.1 방재 DX 솔루션

    도표26 방재 DX 서비스 맵 게재 서비스 수(재게재)

    도표27 클라우드형 이재민 지원 시스템 개요

  4.2 진출 사업자의 특징

2장 방재 DX 시장의 실태와 전망

1. 방재 DX의 현재지

  1.1 시장은 커지고 있지만 증가폭은 작다

  1.2 키워드는 페이즈프리

  1.3 데이터 연계 기반의 실태

  1.4 첨단기술의 활용

    1.4.1 AI

    도표29 멀티모달AI를 통한 토사재해영상 판독결과

    도표30 노토반도지진과 관련된 진위가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확인·정정행동

    도표31 피해정보 수집시스템의 운용 이미지

    도표32 지자체의 AI 도입 상황

    1.4.2 생성AI

    도표33 클라우드형 자동감시시스템의 개념도

    도표34 개인정보·공적정보 등을 안전하게 활용 가능한 이재민 지원 AI 서비스 개발 기반

    1.4.3 IoT

    도표35 클리노폴 NEO를 활용한 사전 방재를 위한 관측 이미지

    1.4.4 XR

    1.4.5 클라우드 활용과 통신 인프라

    1.4.6 디지털 트윈

    도표36 연소 시뮬레이터 이미지

    1.4.7 드론

    도표37 해난·수난 구조 드론 '사쿠라'

2. 사용자 동향

  2.1 방재 DX 투자를 둘러싼 행정과 민간의 동향

  2.2. 도입 사용자의 특징

    도표38 조직이 방재 DX를 촉진하는 요인

  2.3 원하는 기능

    2.3.1 의사결정의 지원

    2.3.2. 요구하는 정보는 민관이나 업종, 지역에서 다르다

  2.4 계발·교육의 중요성

    2.4.1 방재훈련·교육에서의 활용

  2.5. 일시적 관심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

  2.6. 방재 DX에서의 비고객의 3분류

    도표39 방재 DX에서의 비고객 3분류

3. 과제

  3.1 예산 확보를 위해

    3.1.1 민간사업자

    3.1.2 지자체

  3.2 스타트업 진입장벽

  3.3 이용자와 제공자의 갭

  3.4 지자체별 시스템/운용흐름이 상이

4. 장래 전망

  4.1 국가 예산은 계속 확대

    4.1.1 국가시책 가속화

    4.1.2 시장형성의 장벽

  4.2 방재청 설립으로 바뀌는 체제와 우려

  4.3 생태계 형성

    4.3.1 사업자간 연계

    4.3.2 산관학의 연계

  4.4 민간투자 확대가 중요

  4.5 주민이 직접 지불하는 모델의 검토

  4.6 새로운 사업자의 진출

  4.7 글로벌 전개

3장 주요 참여기업의 조사 개표

1. 주식회사 가이아비전

  도표40 Gaia Vision의 사업

  도표41 「Climate Vision」의 화면 이미지와 주요 특징

  도표42 홍수예보솔루션 'Water Vision'의 화면 이미지

2. 주식회사 Spectee

  도표43 Spectee Pro의 특징

  도표44 차량체류를 재현한 이미지

3. 아시아항측 주식회사

  도표45 재해정보시스템의 이미지와 화면 이미지

  도표46 재해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

  도표47 자동운행루트 작성 이미지

4. 주식회사 아스코에파트너스

  도표48 2024년 노토반도지진 지원 정보 탐색기의 이미지도

5. 주식회사 구조계획연구소

  도표49 RiverCast × 공적정보의 이미지

  도표50 RiverCast에서의 고정밀 예측 모델 구축

  도표51 RiverCast의 운용 이미지

6. 국제항업 주식회사

  도표52 국제항업에 의한 다양한 방재 솔루션

  도표53 멀티모달 AI에 의한 토사재해영상 판독결과

  도표54 연소 시뮬레이터의 이미지

7. 주식회사 스페이스타임엔지니어링

  도표55 Scenargie®스마트 재해대책본부 및 스마트 소방본부의 기본구성

  도표56 통신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는 시스템 환경의 이미지

  도표57 Scenargie®스마트 재해대책본부의 주요 기능

  도표58 Scenargie®스마트 소방본부의 주요 기능

8. 주식회사 젠린

  도표59 젠린의 방재 서비스 일람

  도표60 젠린 주택지도 LGWAN 개요

  도표61 젠린 주택지도 LGWAN 이용환경 이미지

9. 주식회사 돈

10. 노미방재 주식회사

  도표62 TASKis의 주요 기능

  도표63 N-HOPS의 주요 기능

11. 주식회사 바칸

  도표64 다양한 체크인 방법

  도표65 디지털 해저드 맵 이미지

  도표66 대피소나 시설 정보의 표시 이미지

  도표67 물자관리기능의 이미지

12. 하쿠야마공업 주식회사

  도표68 VissQ 이미지

  도표69 IoT 지진관측서비스 이미지

  도표70 지진 자브톤 이미지

  도표71 '지진 자브톤'에서 체험할 수 있는 모드

13. 포켓사인 주식회사

  도표72 포켓사인 미니 앱

  도표73 포켓사인 방재의 주요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