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고기능 필름 시장의 전망과 전략(일본어판)

자료코드
C67108100
발간일
2025/07/31
체재
A4 / 23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3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조사개요

• 조사목적: 일본 국내외 고기능 필름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 시책을 철저히 조사하고 주변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세계시장 고기능 필름 시장의 현황과 향후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PET필름, PI필름, MLCC이형필름, 재활용필름(Film to Film), 차세대 시장에서 기대되는 신규 개발 고기능 필름

•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의 대면취재를 바탕으로 문헌조사 병행

• 조사·분석기간: 2025년 4월 28일~2025년 7월 28일

• 기획·제작: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테크놀로지유닛 소재산업그룹

◆자료 포인트

• 광학부재, PI, MLCC이형필름의 로우엔드 영역에서 중국 현지화가 진전, 사업의 필드가 좁아지는 가운데 다음 기둥이 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이 드디어 스타트.

• 6G, 하늘을 나는 자동차, 소프트 로봇 등 차세대 시장에서 요구되는 것은 초고성능과 트레이드오프의 극복, 폴리아 개발 등 브러시 업을 뛰어넘는 제품 개발로 차세대에 다가선다

• PET필름 SKMW와 KOLON의 JV 시동, 생산체제의 정리통합을 계속. 그 외 기업들에서도 라인의 재구축을 추진하여 가동률 개선.

• 2024년의 PI필름 시장은 3년만의 전년대비 플러스, 중량·면적 모두 두 자릿수 성장. ICT 관련 제품 시장 혼란의 영향은 2025년에 불식, 실수요에 맞춘 안정적인 성장으로.

• MLCC이형필름은 2024년에 지난번 피크인 2021년을 웃도는 규모로. 「회복」 「정상화」 단계를 넘어 다음의 성장 트리거 탐색의 단계로. 로엔드 영역에서는 중화계 컨버터의 점유율이 급증.

• MLCC이형필름의 Film to Film 시동으로부터 3년, CR의 활용, 재생 수지의 용도 다양화 등 트레이서빌리티 및 출구 확보의 과제 해결로 이어지는 대응 진전

목차
Close

제1장 고기능 필름 시장 전망

6G, 하늘을 나는 자동차, 소프트 로봇 등 차세대 요구에 부응하다

성능의 실현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다음 사업의 핵심을 창출한다

광학부재, PI, MLCC이형필름의 로우엔드 영역에서 중국 현지화 진전

사업 분야가 좁아지는 가운데 다음 기둥이 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이 드디어 시작되다

  (표) 주요 고기능 필름의 전년 성장률

  (그림) 광학부재용 PET필름의 중국 현지화 상황

  (그림) PI필름의 중국 현지화 상황

  (그림) MLCC이형필름의 중국 현지화 상황

차세대에서 요구되는 것은 초고성능과 트레이드오프의 극복

폴리머 개발 등 브러시 업을 뛰어넘는 제품 개발로 차세대에 다가가라

제2장 PET필름 시장의 철저 분석

SKMW와 KOLON의 JV시동, 생산체제 정리통합 위한 검토 지속

그 외 각 사에서도 라인의 재구축을 추진하여 가동률은 개선에 향한다

  (표) PET필름 주요 메이커 생산체제

  (그림·표) 주요 메이커에 의한 생산거점 지역별 PET필름 공급능력 추이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거쳐 2024년은 전년대비 2자릿수 증가로 급회복

트럼프 관세 영향 등 불확정 요소가 있지만 시장은 연간 3~5%의 안정성장기로

  (그림·표) 공업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주요 8사 합계)

  (표) 주요 메이커에 의한 공업용 PET필름 판매량 및 점유율 추이

광학부재는 「코스모샤인 SRF®」를 가지는 도요보가 PET 편광판의 확대로 높은 점유율을 확보

QD 부재인 TAK, PICS를 전개하는 도레이 등 각 사의 독자적인 고부가 가치품이 주목받다

  (그림·표) 주요 메이커에 의한 광학부재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광학용 부자재는 자사에서 가공거점을 가진 TAK와 미쓰비시케미칼이 시장의 70%를 장악한다

한국 편광판 메이커의 사업매각으로 보호필름 공급망이 변동

  (그림·표) 주요 메이커에 의한 광학부자재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표) 주요 편광판 메이커의 부자재 공급업체

MLCC이형필름 원단 메이커에서는 도레이-미쓰비시화학이 초평활 등급 투입

DFR은 하이엔드를 장악한 도레이, 대만에서 전개하는 南亜가 점유율을 확대

  (그림·표) 주요 메이커의 MLCC 이형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주요 메이커가 점착·이형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MLCC이형+기타)

  (그림·표) 주요 메이커의 DFR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주요 메이커의 전기·전자용 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도요보의 우쓰노미야 인라인코트 설비 2025년 상업생산

2026년에는 TAK, 南亜에서 실리콘 코팅 신설비가 가동 개시 예정

  (표) 주요 PET필름 메이커의 가공체제

  (표) 공업용 PET필름 주요 용도별 수요량 추이(주요 8사 합계)

도레이 주식회사

  폴리머 개질, 제막, 나노제어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니즈에 부응하는 신제품을 속속 개발·투입

  글로벌 오퍼레이션 내에서 각 거점의 생산체제 재구축을 실시하여 가동률을 향상

  PET필름 판매량은 2022년, 2023년으로 연속된 시황 악화에서 회복

  광학 관련 부재, 부자재 모두 고부가가치 하이엔드 영역 특화

  MLCC 이형용은 기후 공장의 설비 개수로 Ra10수 nm의 하이엔드 니즈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

  DFR도 하이엔드 영역에서의 수요에 확실히 부응하여 연간 7~8%의 성장을 전망한다

  PEASUS®는 P편광 광원인 AR-HUD용과 전파를 투과하는 고투명 차열필름 등

  차세대 자동차에서의 채용을 노린 개발이 진전

도요보 주식회사

  편광판, MLCC이형필름을 기둥으로 다양한 용도로 전개

  고투명·고평활 등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에서의 새로운 수요 확보에 힘쓰다

  우츠노미야 공장의 인라인 코팅 신규라인은 2025년 상반기 중 상업생산 개시 예정

  츠루가 필름 공장의 1라인은 '코스모샤인 SRF®' 전용기로 개조 실시

  2024년 판매량은 정점이었던 2021년 초과 실적 확보

  광학부재에서는 '코스모샤인 SRF®'에 이은 기둥으로서 내굴곡 등급에 기대

  MLCC이형필름은 V자 회복의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2자릿수 성장을 실현

  '퓨렉스®Ⅱ'는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으로 전개의 폭을 넓힌다

  PET 합성지 수요는 2023년에 바닥을 찍고 2024년부터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된다

  Film to Film 재활용 원료 100% 사용 ‘레나샤인®’ 개발

  '코스모샤인®'과 동등한 고투명 및 고평활 실현

  PEN필름 '테오넥스®'는 공업·산업 분야에서의 채용을 착실히 늘린다

  향후 FCV 시장의 부상에 대비하여 셀 봉지재용 제안을 계속

미쓰비시케미칼 주식회사

  국내외 생산거점에서 범국가적 생산 최적화 추진

  '화학 메이커'로서의 강점을 살려 경쟁력 높은 제품 개발에 몰두하다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의 생산거점을 일체 운영하여 아시아 지역 수요 대응

  인도네시아, 독일의 새로운 라인을 포함한 총 생산능력은 30만t이 넘는 규모로

  인도네시아 제2라인 가동 시작으로 아시아권 공급여력 확대도

  해외 거점에서 수요지로의 직접판매 확대로 일본에서의 판매량 증가율은 연 5% 내외로 안정

  광학분야, 부재용은 OLED용 등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중후품 공급이 중심

  부자재는 주력 편광판용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채용실적 확대

  MLCC이형필름용으로는 표면 평활성 외에도 이물 관리가 엄격하게 요구된다

  화학 메이커로서의 지견과 기술력을 활용한 솔루션 제공으로 차별화

  원단부터 가공까지의 일관체제에 의한 고부가가치 가공품 개발을 추진하다

TORAY ADVANCED MATERIALS KOLEA Inc.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판 이형, MLCC이형 등 규모와 부가가치 모두 요구되는

  공정재·부자재용을 강점으로 하여 판매량을 늘리다

  2024년은 후반 이후에도 PET필름 수요의 축소가 없어 2025년에도 성장 기조가 지속

  구미 공장 가동라인은 2025년 완전생산 상태로

  공업용 PET필름 2024년 광학용, 일반산업용 모두 전년대비 2자릿수 성장

  전체의 70%를 차지하는 편광판 보호 및 보호분리막, MLCC 출시가 수요를 견인

  구미, 중국 남통 가공거점 풀가동 2026년 신규 가공라인 2개 추가

  능력 증강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2027년 후반 이후로 전망

  MLCC이형필름은 로우엔드 영역에서 중국 로컬업체와의 가격 경쟁에

  Ra 30~80nm 정도의 미들~하이엔드 그레이드로 전환하여 사업 수익성 확보

SK microworks Co., Ltd.

  2024년 10월 KOLON과 JV, SKMW를 존속회사로 하는 새로운 체제 구축

  생산체제와 그레이드의 정리·통합을 계속

  국내에서는 수원, 진천, 김천, 울산 등 4개 거점에서 설비 최적화를 추진한다

  4개 거점 합계 생산능력은 JV화 전 347,500t/년부터 253,000t/년까지 슬림화

  JV화를 계기로 그레이드의 정리 통합과 더불어 비채산 제품으로부터의 철수 추진

  포장용 생산 종료, 공업용도 판매량 10만t을 자르는 수준으로 억제하는 등 수익성 우선 전개

  일반산업용 주력 MLCC이형필름은 Ra100nm 이상의 고평활품에 주력

  PET병 PCR재 유래 재활용 PET필름 제안도 추진

 

南亜塑膠股份有限公司 (NANYA PLASTICS CORPORATION)

  주력 용도인 범용 공정 재료용은 중국 로컬업체와 배팅

  수익성이 높은 미들엔드 이상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다

  공업용, 포장용 모두 2024년 이후에는 전년대비 110% 내외의 성장이 지속

  광학용은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서 당분간은 중국과의 경쟁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

  일반산업은 주력의 점착·이형 관련의 성장 둔화로 당초 예상을 밑도는 성장률에 그쳐

  가공품(이형필름), MLCC용은 Ra100 이하의 평활품 실적 확대를 목표로

  편광판 보호분리막, OCA이형\ 등 광학 관련은 2024년, 2025년으로 크게 성장

新科光電材料股份有限公司 (SHINKONG MATERIALS TECHNOLOGY CO.,LTD.)

  원단~가공품까지의 공급망을 그룹 내에서 억제

  선제적인 사용자 니즈에 대한 대응으로 차별화

  소규모 노후라인 폐쇄로 공장 생산성 향상

  제2, 제3 라인이 완전 가동되면서 제4 라인의 가동률도 90%에 도달한다

  공업용 PET필름 판매량은 2024년에 급회복한 후, 연간 3% 이상의 완만한 성장을 전망

  광학용은 부재, 부자재 모두 Ubright용 공급이 중심

  일반산업용 보호·점착필름은 미들엔드 이상의 소량 다품종 대응으로 중국 로컬업체에 대항

  윈도우필름 원단은 EV의 확대와 함께 성장

  PET병 재활용 수지 유래 필름은 버진재와의 가격차이도 있어 고전 중

제3장 주목받는 고기능 필름 시장의 동향

1. 폴리이미드(PI) 필름

  2025년 7월 기준으로 주요 6개사의 PI필름 생산능력은 35라인 15,830t/년

  필름의 박육화 진전으로 각 사의 중량 기준에서의 능력 증강도 일단락

    (표) PI필름 주요 업체 생산체제

  2024년 PI필름 시장은 3년 만의 플러스 성장으로 무게, 면적 모두 두 자릿수 성장

  ICT 관련 제품 혼란의 영향은 2025년에 불식, 이후 실수요 맞춤형 안정적인 성장으로

    (표) PI필름 주요 애플리케이션별 시장규모 추이(중량 기준)

    (표) PI필름 주요 애플리케이션별 시장규모 추이(면적 기준)

  한국 PIAM이 중량 기준, 면적 기준 모두 시장의 1/3 이상을 누르고 점유율 1위에 등극

  카네카, 듀폰그룹 근소한 차이로 2, 3위 나눠가진다

    (표) 주요 PI필름 메이커 판매량 추이(중량 기준)

    (표) 주요 PI필름 메이커 판매량 추이(면적 기준)

  FPC는 5G 대응 MPI가 당초 기대된 볼륨 확보에는 이르지 못하고

  전기·전자용 절연테이프 등 '기타' 용도가 전체의 14~15%를 차지하는 규모로

  요구 스펙이 높은 소량 다품종에 대한 확실한 대응이 수익 확보로 이어진다

2. MLCC이형필름

  2024년 시장규모는 2021년을 넘어서는 최대 규모로

  '회복' '정상화' 단계를 벗어나 다음 성장 트리거 탐색이 과제

    (그림·표) MLCC용 이형필름 시장규모 추이

  TAK, 구미 공장서 이형필름 설비투자 실시

  가동 개시 예정인 2026년에는 주요 메이커의 총 생산능력은 44,850만㎡/월까지 확대

    (표) 주요 이형필름 메이커 생산체제

    (그림) 주요 이형필름 메이커의 MLCC이형필름 생산능력 추이

  원단 PET필름은 2025년에 10만t/년대를 회복, 이후 연간 5% 정도의 성장 전망

  SK MW, KOLON JV화에 따른 코스모신소재 새 공급업체 탐색 난항

    (그림·표) MLCC용 이형필름 원단(PET필름) 업체별 판매량 추이

    (그림·표) MLCC용 이형필름 원단(PET필름) 시장규모 추이

  중국 로컬 MLCC 메이커 출시 필름 조달 확대

  일, 한국컨버터 미들-하이엔드급 샘플 들여오는 움직임도

    (표) 주요 세라믹 콘덴서 메이커의 이형필름 조달량 추이

  2024년부터 2025년까지 보급형 중국계 컨버터의 점유율이 급증

  SEMCO, 남아는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으로 사업의 축을 전환

    (그림·표) MLCC용 이형필름 메이커별 판매량 추이

    (표) MLCC이형필름 공급망

    (표) MLCC용 이형필름 가격 동향

    (그림·표) MLCC 주요 메이커의 이형필름 메이커 점유율(2023년)

    (그림·표) MLCC 주요 메이커의 이형필름 메이커 점유율 (2024년)

    (그림·표) MLCC 주요 메이커의 이형필름 메이커 점유율 (2025년 전망)

3. Film to Film 재활용 (MLCC이형필름 라벨지)

  MLCC이형필름의 F to F 시작으로부터 3년, CR이나 재생 수지의 용도개발 다양화 등

  트레이서빌리티나 출구 확보 과제 해결로 이어지는 대처가 진전

    (표) MLCC이형필름 재활용의 흐름

    (그림) MLCC이형필름 공급망

    (그림)9사 협업을 통한 PET 제품 케미컬 재활용 이미지

  도레이Ecouse®르미러에 이어 도요보가 레나샤인®으로 F to F를 시동

  라벨지의 수평적 순환을 지향하는 자원순환 프로젝트는 사용자의 의식개혁과 행동변용을 촉진하고

  2024년도에 20t의 폐지 회수 실현

4. 차세대 시장에서의 활용이 기대되는 고기능 필름

  차세대 시장에서는 기존 제품을 훨씬 뛰어넘는 기능·성능 부여 및 트레이드오프 해결이 필수

  기존의 연장이 아닌 새로운 시점에서의 개발이 진행되다

  6G에서는 지금까지와는 레벨이 다른 초저유전·초저흡수가 과제

  COP의 니혼제온, CTE·고강도를 실현한 PI필름을 가진 제노맥스에 주목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으로 실용화가 기대되는 LiDAR 시스템과

  AR-HUD에 초점을 맞춘 필름 개발도 진전

  인공위성,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등 항공우주 관련 시장의 도약에도 기대

  고집적 첨단 패키지 몰딩 공정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은

  PFAS프리 실현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다

    (표) 차세대 시장에서 기대되는 고기능 필름

제4장 공업용 고기능 필름 메이커의 전망과 전략

PI Advanced Materials Co.,Ltd. (PI첨단소재)

  EV 배터리나 FPC용은 기대만큼의 성장을 보이지 않아

  G/S용이 순조롭게 성장

  설비가동률은 G/S 중심의 진천 공장이 70%까지 회복하는 한편 FPC, 배터리용

  구미 공장은 40% 정도, 2개 거점 전체로는 50%에 그쳐

  G/S용 판매가 중량 기준 판매량 확대에 기여, 2024년, 2025년 전망 2자릿수 성장

  커버레이용 박육필름 등 새로운 제품 개발도 진행

도레이듀폰 주식회사

  PI필름 ‘캡톤’은 박육, 소량 다품종 고부가가치 영역 전개에 주력

  주력 용도가 FPC에서 다양한 '기타'로 전환

  소규모 니즈에 대한 확실한 대응을 쌓아 2025년에는 전체의 42%를 넘는 규모로 성장

  커버레이 그레이드, 박육 그레이드 등 부가가치가 높은 그레이드 전개에 강점

COSMO AM&T CO.,LTD. (코스모신소재주식회사)

  볼륨 중시에서 수익성 중시로 방향을 전환하여 고평활품 판매량 확대를 목표로 하다

  새로운 원단 공급업체 선정은 고전 중

  생산성이 낮은 제1공장을 폐쇄, 생산능력은 변함없이 5라인 7,000만㎡/월 체제로

  2025년 가동률은 55% 정도를 전망

  주력 사용자인 SEMCO의 하이엔드 지향에 따라 미들~하이엔드 중심의 전개로

  그린시트 두께 1µm 이하에 대응하는 평활, 고평활 그레이드에 주력

  새로운 원료 공급업체 선정을 위한 샘플워크 테스트도 계속

미츠이화학ICT머테리얼 주식회사

  MLCC이형필름 수요는 2024년 후반 이후 성장 기조로 전환

  고품격 평활 등급 수요 확대

  'SP-PET™'의 MLCC용 판매량 증가율은 2024년이 전년대비 약 5%, 2025년이 동 7%까지 회복

  2026년 이후에는 시장 성숙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전망

  MLCC 이형용 등급을 생산하는 이바라키 공장의 가동률이 완전에 근접

  시장이나 유저의 동향을 보면서 필요에 따라 능력 증강을 검토하는 체제로

도레이 주식회사(차세대 고기능 필름)

  독자적인 폴리머 설계기술과 제막기술을 활용한 온리원 제품으로

  고부가가치 영역, 차세대 영역에서의 수요를 확실하게 캐치

  PPS 필름 트렐리나®는 EV용 유냉식 모터 절연이나 FCV 배터리 연결재 등

  내유성, 내가수분해성을 살릴 수 있는 헤비 듀티 용도로의 채용 확대 기대

  OPP필름 트레펀®은 주요 용도인 필름 콘덴서로 1위 점유율

  차량용 수요 확대에 대응한 라인의 신증설로 2028에는 차량용 생산능력이 현행 대비 배로 증가 예정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등 EV 다음에 오는 전동 모빌리티용으로 고신뢰성과 고내열을 양립

  새로운 고내전압 콘덴서용 필름 창출

  파라계 아라미드 필름 믹트론®은 고용량 자기 기록 테이프용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요 확보

  신축성과 복원성을 겸비한 독자적인 필름 REACTIS®의 용도 개발 진행

  유전체가 함유된 고유전 타입은 소프트 로봇 액츄에이터로서의 채택에 기대

  성형성, 강도 및 평활성, 이형성이 우수한 PFAS프리 반도체 몰드용 이형성 필름

  세라필®PJ, 최첨단 요구를 캐치업한 제안으로 유저로부터 높이 평가받다

제노맥스재팬 주식회사

  기존의 PI와는 다른 ‘차세대 재료’ 제노맥스®로

  유리, 세라믹 등 무기물 영역의 박육, 경량, 플렉시블화 추진

  2025년 조직개혁을 통해 연구개발, 영업, 제조와 각각의 기동력 향상

  고객이 전개하는 최첨단 분야의 니즈에 시의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TFT 기판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나 차량용 디스플레이용 미니 LED로 실적이 확대

  저 CTE, 고내열, 플렉시블 등의 특성으로 센서 기판이나 면 히터에서의 채용도 진행

  항공우주 관련, 6G 등 차세대 시장 활용 위한 샘플워크와 평가도 진전

  6G 기판용으로는 오사카대학과의 공동개발에 대해 일렉트로닉스 실장 학회 우수상을 수상

  화학결합으로 밀착력 컨트롤이 가능한 접합기술 'PITAT' 등

  사용자의 편리한 공장으로 연결되는 기술 제공

니혼제온 주식회사

  COP의 뛰어난 특징과 유연성·밀착성을 겸비한

  신개발소재 ZE필름 차세대 용도 탐색 추진

  고투명, 저흡수, 저유전율, 저유전정접과 더불어

  유연성과 다른 소재로의 높은 밀착성 등 '온리원'의 특성을 나타내는

  가까운 장래의 고주파 사회를 지지하는 접착, 절연필름으로서 채용 확대에 기대

  ZEON NEXT 탐색본부에서 폭넓은 출구를 상정한 용도 탐색을 추진

주식회사 에프피코

  자체 개발한 신OPP로 식품용기에 그치지 않고 자동차를 비롯한 산업분야 개척

  독자적인 소재기술과 Brückner사 LISIM의 최적의 조합으로 두께 150~300µm의

  새 OPP시트 개발, 2028년 상업생산 시작을 목표로 용도개발 추진

  단층의 TOP, 적층의 LOP와 니즈와 사용법에 맞는 제품을 제안

  성형동시가식의 가식층으로서 자동차 내외장 부품의 채용에 기대

도레이주식회사(필름서스테너빌리티·이노베이션사업추진실)

  고객의 환경 KPI에 공헌하는 친환경형 PET필름 Ecouse®르미러®

  환경 대응과 더불어 버진재와 동등한 품질이 높게 평가된다

  포스트 컨슈머재 유래의 일반 그레이드는 각종 프로세스재,

  프리 컨슈머재 유래의 투명 그레이드는 라벨이나 더미캔 등 꾸준히 채용 실적을확 대

  MLCC이형용 PET필름의 회수·재활용의 대응도 계속

도요보 주식회사(자원순환 프로젝트)

  라벨지용 카미샤인®의 공급을 통해

  순환형 사회 확립을 위해 기업의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대처를 추진

  자원 순환 프로젝트를 제5차 순환형사회형성기본계획에서 ‘국가전략’으로

  서큘러 이코노미의 조기 실현으로 이어지는 대처와 전개를 추진

  PET필름 생산거점에서 제품 라벨지를 카미샤인®으로 변경

니치에이신카 주식회사(자원순환 프로젝트)

  미에 RP 공장 가동 개시로부터 1년 경과, 자원순환 프로젝트의 참여기업 확대와

  품질에 대한 높은 평가로 라벨지 수평적 재활용은 순조롭게 진전

  재활용 거점인 미에 RP 공장은 당초 예측보다 빠른 속도로 가동률 향상

  회수품의 품질, 재생품의 비용 등 과제 추출과 해결을 위한 대응을 적극 추진

  2025년에는 WPO 주최의 월드스타 콘테스트에서

  일본 최초 월드스타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