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파인세라믹스 시장의 현황과 장래전망 ~반도체 제조장치편~(일본어판)

자료코드
C67109100
발간일
2025/08/29
체재
A4 / 11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1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반도체 제조장치용 파인세라믹스 시장동향에 주목하여 현황과 장래 전망을 예측.

◆조사개요

• 조사목적: 반도체 제조장치용 제품의 파인 세라믹스 시장에 대응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시책 등을 조사하고, 그 주변 조사를 추가함으로써 동 시장의 현황과 향후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반도체 제조장치용 파인 세라믹스 부재

•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의 대면취재 또는 온라인취재

• 조사·분석기간: 2025년 6월~2025년 8월

• 게재 내용의 문의처: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유닛

◆자료 포인트

• 새로운 가치 제안과 쌓아온 고품질을 무기로 '일제' 브랜드의 위상을 확고히 해 나가다

〇2030년 세계시장 규모는 1.6조 엔으로 2025년부터 150% 이상의 성장을 달성한 AI 등 차세대 주목 분야 효과로 반도체 제조장치 부재에서도 발전이 진전

〇제조장치 제조업체는 반드시 읽어야 할, 경쟁시대 선점 전략기술

〇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지속함으로써 2020년대 후반 실리콘 사이클에 의한 우려도 타파

〇향후에도 파인 세라믹스를 견인하는 알루미나를 필두로 반도체 제조 지원

〇국가적으로도 지원 정책이 추진되어 대상 부재에서도 추가적인 투자가 가속화

 

 

목차
Close

제1장 파인 세라믹스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파인 세라믹스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일본기업이 가진 높은 기술과 품질로 부재에서 제조장치로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

  '일제' 브랜드를 더욱 확고히 해 나가다

  2020년대 초반 코로나 사태와 이로 인한 산업의 변동과 우여곡절이 있었던

  2024년 이후에는 조정 효과가 있어 V자 회복으로 한층 더 성장이 기대

    그림. 2020년 이후 반도체 시장의 변화

  신규 주목 분야의 개발 주력으로 시황과 필요 기술은 복잡화

  제조장치 메이커에서도 시장을 읽고 기기 계획을 발표, 장치 부재에서도 개발이 진행

    표. 도쿄일렉트론과 Lam Research가 제시하고 있는 기술 로드맵 개요

  2030년 세계시장 규모는 1.6조 엔, 2025년부터 150% 이상 성장

  차세대 주목 분야의 성장에 맞추어 반도체 제조장치 부재 분야에서도 발전이 진행

    도표. 세계 반도체 제조장치용 파인 세라믹스 시장규모 예측

    (2024~2030년/사업자 판매액 기준)

  모리무라 그룹과 전 영역을 아우르는 교세라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획득하며 일본 시장을 견인

    그림. 일본 반도체 제조장치용 파인 세라믹스 시장의 기업별 점유율

    (2025년 예측)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고품질 반도체 제조를 뒷받침

    그림. 세계 반도체 제조장치용 파인 세라믹스에 사용되는 원료별 점유율

    (2025년 예측/사업자 판매액 기준)

  중국을 비롯한 타 지역·국가를 의식하면서

  파인 세라믹스의 선두국으로서 일본 기술의 한층 더 신뢰 획득과 발전을 목표

제2장 일본 및 해외 파인세라믹스 시장 동향

북미

  CHIPS법과 AMIC 강화로 미국 반도체의 국내 제조 회귀와 공급망 강인화 가속화

  그림. 미국의 반도체 시장 성장의 지원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정책 일부

  반도체 제조장치 전체의 지원이 부재 개발도 커버해 차세대 분야의 발전으로 이어간다

중국

  성숙 노드 확대와 내제화의 진전으로 수요국에서 공급자로의 전환이 진행

  범국가적으로 전폭적인 지원책을 마련하여 산업기반과 기술혁신을 가속화

  국가 전략으로서 반도체 시장에 관련된 부재 전체를 지원

  타산업과 마찬가지로 리드국을 따라잡고 추월할 기세를 보이다

  몇 년 전부터의 정책으로 시장기반을 구축, 배양한 실장력·경쟁력으로 한층 더 개발력을 높인다

  그림. 2025년 중국 반도체 장치산업을 포함한 정책개요 일부

대만

  첨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국산 장치·재료의 우선 활용으로 해외 의존을 줄이고 내제화 강화에 힘쓴다

  그림. 대만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5대 신뢰산업 추진방안'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의 대만 거점도 포함한 제도를 조정하여 국가가 하나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

  그림. 대만에서 책정된 반도체 제조장치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책 일례

  소재·부재 분야를 포함한 시장 전체의 한층 더 성장을 촉진해 리더십 유지

한국

  수도권~중부권을 연결하는 'K-반도체 벨트'로 설계, 장치, 재료 생태계 구축

  도표. 한국에서 책정된 'K-반도체 벨트 구상'의 각 지역 설비 현황

  장치 기업의 성장 촉진으로 이어지는 제도를 내실화하여 반도체 산업 전체의 활성화를 도모

  표. 한국에서의 반도체 제조장치 관련 기업에 대한 정책

  타국에 의존하기 쉬운 파인 세라믹스 부재의 국산화를 의식하여

  반도체 후공정 분야도 착수, 전 공정 경쟁력 제고

유럽

  공급 감시와 위기대응 메커니즘 확립으로 의존 탈피, 반도체 시장점유율 10%→20%로

  그림. 유럽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럽반도체법 개요

일본

  일본의 반도체 산업력 재검토 정책으로 ‘산업의 쌀’ 재흥에 도전

  그림. 세계 반도체 제조장치 시장의 성장요인이 되는 사례와 일본의 동 시장 상정

  국내 유수의 세라믹 메이커에서는 고성능 제품이 전개되어,

  국가에서는 최첨단 제품에 초점을 맞춘 지원이 진행

  그림. 니혼가이시가 개발하는 세라믹 히터를 사용한

  웨이퍼의 균일 온도 분석(왼쪽)과 정전 척(오른쪽)

  필수공정 절감과 저비용화에도 도움이 되는 신기술로 반도체 제조공정 병목현상 해결

  소재·원료 개발의 세계적 수준 유지와 성장을 촉진하고 시장 전체를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그림. 반도체 산업을 위해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 등

제3장 관련 기업 동향

<해외기업>

①미국 기업

  Entegris, Inc.

  Materion Corporation

  CeramTec North America, LLC

②중국 기업

  표. 중국 주요 반도체 제조장치 메이커 6사 비교표

  三環集団股份有限公司(CCTC:Chaozhou Three Circle Group Co.,Ltd.)

  宜兴泰格精密陶瓷有限公司(Yixing Tigar Precision Ceramics Co.,Ltd.)

  东莞市诺一精密陶瓷科技有限公司

  (DongGuan Nuoyi Precision Ceramics Technology Co.,Ltd)

  钧杰陶瓷科技有限公司(Jundro Ceramics Technology (Dongguan) Co.,Ltd.)

  中科金瓷(宁波)新材料技术有限公司(Zhongke Jinci New Material Technology Co.,Ltd.)

  그림. 中科金瓷新材料技术이 전개하고 있는 반도체 제조장치용 제품 일부

③대만 기업

  Yeedex Ceratec Corporation(YCC: 誼特科技股份有限公司)

  그림. YCC가 취급하는 파인 세라믹스 부재 일부

  Forcera Materials Co.,Ltd. (台灣精材股份有限公司)

  그림. Forcera Materials의 2030년까지의 사업 목표

  Touch-Down Technology Co.,Ltd(達陣科技股份有限公司)

  그림. Touch‑Down Technology가 취급하는 반도체 공정 장치용 파인 세라믹스 부재

  LONGYI Precision Technology Co.,Ltd.( 龍燡企業有限公司)

  UCOME Tech Co. , Ltd.(聿光科技有限公司)

  표. 대만에서 파인 세라믹스를 취급하는 기업 5사

④한국 기업

  Wonik QnC Corporation

  그림. Wonik QnC Corporation이 취급하는 파인 세라믹스 부재 일부

  MiCo Ltd.

  그림. MiCo가 취급하는 파인 세라믹스 부재 일부

  dandan Co.,Ltd.

⑤유럽 기업

  Schunk Holding GmbH

  Morgan Advanced Materials plc

  Kyocera Fineceramics Europe GmbH

니혼가이시 주식회사

  타사에서는 어려운 고정밀·고성능을 추구한 개발력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을 지원

  혁신을 뒷받침하는 세라믹 기술의 글로벌 리더

  그림. 니혼가이시가 전개하는 3가지 사업

  독자적 기술을 구사하여 반도체 프로세스의 핵심을 담당해 기여하고 있는 AlN 제품

  그림. 니혼가이시가 개발하는 세라믹 히터를 사용한

  웨이퍼의 균일 온도 분석(왼쪽)과 정전 척(오른쪽)

  고객에 따른 개발력으로 1위 공급업체로서 반도체 시장을 지탱해 나가다

TOTO 주식회사

  주력 사업으로 얻은 기술을 응용하여 디지털 사회에 기여

  누구나 알고 있는 위생도기와 이것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세라믹 제품을 세계로 전개

  그림. TOTO 3대 사업 개요

  다종다양한 세라믹 제품에서 여러 종류의 주력 제품으로

  소재와 형성 기술에 주시하여 기존 방법을 뒤엎는 제품을 만들어 내다

  그림. TOTO가 취급하는 내플라즈마 고순도 알루미나와 일반적인 고순도 알루미나 비교

  그림. TOTO가 개발, 전개하고 있는 AD(에어로졸 데 포지션)법

  단순한 부재 공급업체가 아닌 가치 제안을 하는 파트너로서 고객 신뢰를 획득

  그림. TOTO 세라믹 사업부 비즈니스 모델

  제품의 균질과 안정적 공급을 위해 생산의 스마트 팩토리화 실현

스미토모전기공업 주식회사

  고기능 특화 차별화 전략으로 경쟁력 확보, 부재 공급업체로서의 입지 구축

  전선 제조 기술 추구와 신규 분야 도전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나가다

  그림. 스미토모전기공업의 사업발전

  프린터용으로 세라믹스 히터 기술을 확립하여 반도체 제조장치용으로 전개

  그림. 성막 공정에서의 배치식과 매엽식 비교도

  독자성이 높은 다존화 면내 균열 기술로 매엽식 성능 향상에 기여

  그림. 기존의 최대 3존 구획을 가진 성막장치 히터(왼쪽)와

  스미토모전기공업이 개발한 6존 구획을 가진 SumiTune(오른쪽)

  추가 버전 업그레이드로 기존을 포함한 장치 제조업체에 안정적으로 제품을 전개

미쓰비시머티리얼 주식회사

  오랜 금속 기술을 무기로 반도체 제조장치 등의 과제 클리어에 도전

  금속과 그 가공, 재활용과 제품의 순환을 의식한 사업을 전개

  그림. 미쓰비시머티리얼이 착수한 사업(홈페이지상)

  기본 제법의 과제를 해결하는 분말 야금 기술로 배반하는 특성을 양립시킨 복합재료 실현

  그림. 미쓰비시머티리얼이 개발한 알루미늄 실리콘 카바이드(왼쪽)와

  기존의 동 부재(오른쪽) 이미지 비교

  반도체 제조장치 등의 분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열과제'에 재료로부터 접근하다

주식회사 MARUWA

  환경 변화가 심한 반도체 제조 분야에 노하우와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을 전개

  다년간 쌓아 온 세라믹 기술로 다방면에 걸친 제품 개발력을 창출

  그림. MARUWA가 추진하는 사업

  재료 선정부터 가공까지 일관, 니즈에 맞춘 제품 제조로 반도체 시장에 기여

  세계 전체 시장 움직임 예측, 반도체 제조장비용 제품을 무기로

  니즈에 맞춘 기술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가다

CoorsTek 합동회사

  다년간의 세라믹 기술을 신장시켜 반도체 수요에 기여

  세계를 향해 독자 기술로 세라믹을 개발, 제공하는

  그림. 동사가 제품을 전개하고 있는 분야

  400개 이상의 세라믹 부재를 생산하여 현대 디지털 기술로 전개

  그림. 동사가 제조 및 시제작 프로세스에 사용하고 있는 3가지 성형방법과

  각 배리에이션

  앞으로의 시대를 더욱 지탱해 나가기 위해 연구소를 신설해 기술을 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