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직원몰입(Employee Engagement) 시장(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2023년 3월기 결산 이후 유가증권보고서 등에서 인적자본 공개가 의무화됨에 따라 '직원몰입(Employee Engagement)'이라는 단어의 인지도는 점차 환산해지고 관련 서비스에도 주목되고 있다. 더불어 인적자본경영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도입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직원몰입에 대한 접근방법은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인게이지먼트 향상」을 주장하는 서비스·툴도 증가해, 도입 기업에서 어떤 서비스·툴을 선택하고 어떻게 활용하면 실제 성과로 이어질지 점점 알기 어려워지고 있는 것도 과제가 되고 있다. 또, 도입 기업측에서는 이직 방지, 조직의 생산성 향상, 우수인재의 획득과 같은 임박한 과제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어 직원몰입의 중요성과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치가 그러한 과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지에 대한 이해·계발도 여전히 필요한 단계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웰빙 등 키워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향후 인적자본경영을 생각할 때 주목해야 할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는 이러한 「직원몰입」를 둘러싼 기업과 시장의 최신 동향, 과제를 정리·분석했다.
◆자료 포인트
조사목적: 본 리포트에서는 일본국내에서 직원몰입에 관한 조사를 실시해, 다음을 분명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①직원몰입 시장의 현상과 장래 전망
②직원몰입 관련 기업 동향
③직원몰입 관련 상품 동향
조사대상: 본 리포트에서는 일본국내에서 직원몰입 향상과 관련된 상품,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는 기업을 조사대상으로 했다.
①직원몰입 진단·서베이 툴/서비스
②심리적 안전성 진단·서베이 툴/서비스
③직원 경험 관련 툴/서비스
④1on1 운용 지원 툴/서비스
⑤사내 SNS 관련 툴/서비스
⑥평가 지원 툴/서비스
⑦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⑧기타 조직 변혁 툴/서비스
⑨데이터 분석 툴/서비스
조사방법:
①당사 연구원이 면접취재, 전화취재
②공적 데이터 수집 등 문헌조사
③앙케트조사
조사·편집기간: 2025년 5월~2025년 8월
기획·제작: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컨슈머 마케팅 유닛
'2025 직원몰입 시장' 프로젝트팀
◆자료 포인트
• 마켓 트렌드를 해설하는 정보가 가득!
· Engagement 스코어 개선의 대응이 본격화. 향상 시책이 더욱 중요하게
· 대화의 '질'과 '계속성'이 중요시되는 시대로, 다양화되는 커뮤니케이션 툴
· 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멈추지 않는 다기능화.
• 2024년판과의 차이
· 서베이, 1on1, 탤런트 매니지먼트 등 관련 업계에서 전개하는 기업의 개인표를 새롭게 추가
· 기업 개별표에 'AI 활용' 항목을 새롭게 추가
· 2024년~2025년 최신 동향 게재
◆리서치 내용
제1장 직원몰입 시장의 현황과 전망
1. 직원몰입의 정의
(1)다양한 인게이지먼트
(2)인게이지먼트와 노동 생산성의 관계
(그림)노동 생산성(1인당) 추이 G7 각국 비교
(그림)직원의 업무에 대한 열의(G7국가)
(3)직원몰입을 높이는 접근법
(4)직원 만족도와의 차이
2. 직원몰입 시장이 주목되는 배경
(1)노동력인구 감소, 고용 유동화
(그림)생산연령인구(15~64세 인구) 추이
(그림)노동력인구 추이(연평균치)
(그림)유효구인배율 추이(연평균치)
(그림)인력 부족 상황
(그림)연령대별 이직자 수 추이
(그림)산업별 입직률·이직률
(2)성장 기회를 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Z세대의 노동관
(그림)밀레니얼 세대·Z세대 노동력인구 구성비
(3)하이브리드 워크가 계속, 커뮤니케이션 과제도 남는다
(그림)코로나19 방지를 위한 재택근무·리모트워크 실시 동향
(그림)도쿄도 내 기업의 텔레워크 실시율 추이
(그림)텔레워크 실시 의향과 실시 희망 빈도
(4)SDGs ESG 영향으로 '일하는 보람'에 눈길
(5)인적자본의 정보 공개가 의무화되어 주요 KPI로 거론
(그림)공개사항의 예
(그림)업종별 유가증권 보고서 '인게이지먼트' 기재기업 비율 추이
(6)인재판 이토리포트에서 인재 전략의 중요 요소로 평가
(그림)인재 전략에 요구되는 3가지 시점·5가지 공통 요소(3P·5F 모델)
(7)「인생 100년 시대」, 「리스킬링(reskilling)」 등 "다시 학습"에 대한 주목
(8)멤버십형에서 직무형으로 전환
(표)직무형 고용제도 도입 사례
(표)직무형 고용이 주목받게 된 배경
3. 직원몰입 시장의 현황과 전망
(1)HR테크놀로지 시장의 직원몰입 시장
ⅰ. 직원몰입 시장의 범위
ⅱ. HR테크놀로지 시장 현황
(표)연별 상장 HR 기업 일람
(그림)HR관련 기업 상장 기업 수 추이(각 연도말 시점)
(도표)HR관련 서비스 계약수 추이(각 연도말 시점)
(표)주요 HR 서비스 기업에 대한 출자 상황
ⅲ. HR테크놀로지 시장에서의 직원몰입의 포지셔닝
(그림)HR테크놀로지 시장의 영역
(2)직원몰입 시장의 현황과 전망
ⅰ. '측정'에서 '움직이는' 단계로의 본격 전환
ⅱ. 인게이지먼트는 인사의 과제에서 현장의 과제로
ⅲ. 지방·중소기업으로의 전개가 본격화
ⅳ AI로 고도화되는 매니지먼트 지원
ⅴ 정보공개 본격화로 도입 니즈 확대
ⅵ 중소기업에도 확산되는 인게이지먼트 시책
ⅶ 채용난과 인재정착이 촉진되는 인게이지먼트 시책의 확대
ⅷ 실적 향상과 인게이지먼트의 상관과제
ⅸ. 인게이지먼트 향상에는 채용부터 퇴직 후까지의 다방면에 걸친 접근도 필요
ⅹ. 논데스크 워커에도 대응이 진행되는 인게이지먼트 시책의 확대
ⅺ. '조용한 퇴직'에 대한 간접적 접근으로서 인게이지먼트 시책
ⅻ. 인게이지먼트와 Succession Plan의 관련성
xii. 일본 최초 인게이지먼트 지원 툴 해외 진출
(3)주목 서비스 사업자의 분석
①인공지능 활용
(표)분야별 AI 활용 경향
②사업에 있어서의 과제
③시장의 장래 전망
제2장 분야별 직원몰입 서비스 동향
1. 직원몰입 진단·서베이 클라우드/서비스
(1)시장 동향
(도표)직원몰입 진단·서베이 클라우드 시장규모
(그림)직원몰입 서베이 도입 상황
(그림)직원몰입 서베이 도입 서비스명
(2)플레이어 동향
(표)서베이 가시화 대상
①직원몰입 진단·서베이를 메인 서비스로서 클라우드로 제공하고,
또한 연간 계약 등에 의한 계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도표)직원몰입 진단·서베이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2024년)
(그림)직원몰입 진단 및 서베이 툴의 서비스 제공 범위
Point1: 점수 요인의 상세한 가시화가 개선 시책의 출발점으로
Point2: 개선지원의 제공방법 및 실효성이 경쟁축으로
Point3: 중소·지방시장 획득 경쟁이 가속
Point 4: AI 활용과 기능 연계를 통해 경영지원 툴로 진화
②직원몰입 진단·서베이를 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속
일부 기능으로서 제공하는 기업
③직원몰입 진단·서베이를 단발성 서비스로 제공하는 기업
기타: 직원 경험 기능을 제공하는 기업
기타: 심리적 안전성 진단 서베이를 제공하는 기업
2. 커뮤니케이션 지원 툴/서비스
(1)시장 동향
Point 1: 소구축의 다층화와 기능 확장의 진전
Point 2: AI 기술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및 수익 확대
Point 3: 자금조달을 통한 사업확장과 상품 전략 심화
Point4: 중소기업 보급 확대에 따른 시장 저변 확대
(2)플레이어 동향
1.1 on1 운영지원 툴/서비스
①1on1 운영 지원 툴/서비스만 제공
②1on1 운용 지원 기능을 메인으로 한 서비스 내에서 다른 기능도 제공
③탤런트 매니지먼트(평가) 시스템 내에서 1on1 운용 지원 기능도 제공
④기타
2. 사내 SNS
3. 인사 평가 시스템
(1)시장 동향
Point 1: 적절한 인사평가 운용이 인게이지먼트 향상으로 이어진다
Point2: 기업이 안고 있는 과제는 인사평가의 "설계"와 "운용"으로 둘로 나눔
(2)플레이어 동향
①평가 클라우드 시스템
②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부대 기능
4. 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기간 시스템·스킬 매니지먼트 포함)
(1)시장 동향
(도표)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시장규모
(2)플레이어 동향
①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도표)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시장 점유율(2024년)
Point1: 데이터 축적에서 데이터 활용 단계로
Point2: 인재획득 경쟁 격화를 배경으로 사내 매칭 기능 확충이 진행
Point 3: 주요 플레이어는 멀티 상품화를 한층 강화
(표)주요 탤런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 일람
②인사 기간 시스템·ERP
③스킬 관리 시스템
제3장 주목 서비스 사업자의 대응
· 기업 개요
· 실적 추이
· 도입 실적의 추이
· 서비스별 매출금액 비율
· 주요 서비스의 플랜별 매출금액 비율
· 업종별 매출금액비율
· 유저기업 직원 수 규모별 매출금액 비율
· 주요 파트너(대리점 기업·협업 기업 등)
· 서비스의 사업화 배경
· 서비스의 특징, 차별화 포인트
· 2024~2025년 신규 서비스, 기능 등
· AI의 활용
· 프로모션 전략
· 실적 및 전망(2024년 실적, 2025년 예측)
· 고객 특성(업계별, 기업규모별 등)
· 사업 체제
· 사업의 과제
· 시장의 장래 전망
※일부를 제외하고 각 기업 공통
≪게재기업 일람≫
주식회사 ASHITA-TEAM
주식회사 AgileHR
주식회사 Atrae
주식회사 HRBrain
Yell 주식회사
주식회사 O:
주식회사 kaonavi
주식회사 KAKEAI
Qualtrics 합동회사
주식회사 CAC identity
주식회사 CBASE
주식회사 Cingulate
jinjer 주식회사
주식회사 스타멘
주식회사 SmartHR
주식회사 ZENTech
TeamUp 주식회사
주식회사 Take Action
주식회사 BizReach
주식회사 Plus Alpha Consulting
주식회사 mitsucari
Unipos 주식회사
Recruit Management Solutions 주식회사
주식회사 Link and Motivation
주식회사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