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예정] 2025년판 건강진단·종합건강검진(Human Dock) 시장의 실태와 전망(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2008년부터 시행한 특정건강진단·특정보건지도는 해마다 진찰률은 향상되고 있지만, 2021년도의 진찰률은 특정건강진단 56.5%, 특정보건지도 24.6%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국가가 내건 특정건강진단 70% 이상, 보건지도 45% 이상이라는 목표와는 여전히 괴리가 있습니다. 또 2024년도부터 시작되는 제4기 특정건강진단·특정보건지도를 위해 제도, 보건지도방법, 목표 등이 재검토되었습니다. 건강진단 데이터 수집, 데이터 헬스 계획 운용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향후 동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종합건강검진 시장은 다른 시설과의 차별화를 목적으로 옵션 검사로서의 신규 검사 항목 도입 등 곳곳에서 모색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주민건강진단, 정기건강진단, 모자보건법·학교보건법 등에 근거하는 건강진단, 특정건강진단등의 「법정건강진단」과 종합건강검진(Human Dock) 등의 「임의건강진단」을 대상으로 시장을 전체적으로 파악·조사해 향후 시장을 전망합니다.
◆자료 포인트
ㆍ변화하는 건강진단·종합건강검진(Human Dock) 니즈를 숫자와 전략으로 분석
ㆍ보고서 개요
·시장규모 9,440억 엔: 일본 건강진단·종합건강검진(Human Dock) 시장규모(2023년도)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로 추이. 최신 동향을 추계
·특정 건강진단 검사율 56.5%: 목표 70%를 위한 과제와 대책 분석
·건강검진 사업 수익 131개 법인: 건강검진 공익재단법인(131개)의 건강검진 사업 수익 분석
ㆍ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공익재단법인의 수익분석 갱신(건강검진·검진을 실시하는 공익재단법인의 2019년도 이후 검진사업 수익 갱신)
·건강검진시설용 설문조사에 건강검진 DX 관련 설문을 추가(일하는 방식 개혁이나 AI·ICT 도입 상황에 대해 분석)
리서치 내용
※게재 예정 내용, 발간 예정일 등 일부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게재예정 내용
제1장 건강진단·종합건강검진 시장의 실태와 전망
1 법정검진·암검진을 둘러싼 시장환경
(1) 건강진단을 정하는 법 제도
①법정검진의 종류
②라이프 스테이지에 따른 적응 구분
③특정건강진단·특정보건지도의 최근 동향
④암검진의 지금까지의 흐름과 현재
⑤보험자의 동향
(2) 검진현황
①국민의 검진 진찰율
②특정건강진단·특정보건지도 실시율은 해마다 향상되지만 목표와는 크게 괴리
(3) 건강진단·건강검사 시장에 변화를 가져오는 움직임
①건강진단 시장의 코로나로 인한 침체로부터의 회복 조짐
②건보조합·협회건강보험 재정위기는 코로나19 사태로 더욱 가속화
③행동과학, 넛지, 소셜마케팅을 접목한 진료 권장
④건강경영과 데이터 헬스를 일괄적으로 진행하는 컬래버레이션 헬스 시너지 효과
⑤검진 데이터를 집약·분석하기 위한 체제 정비가 진행
⑥새로운 건강진단방법으로서 온라인 건강진단의 위상
2 보험자별로 보는 건강진단 실시 상황
(1) 보험자에 따라 다른 검사 항목
(2) 지자체의 건강진단 상황
①특정건강진단의 개인 부담
②도도부현별 특정건강진단·보건지도진찰 상황
(3) 협회건강보험과 건강보험조합의 정기검진
①특정건강진단과의 관계·피부양자의 진찰 동향
②협회건강보험의 생활습관병 예방검진
③건보조합의 정기검진
3 암검진 동향
(1) 5대 암검진율 추이
①암검진의 진찰 상황
②담당자가 불명확한 암검진
③직역에서의 암검진 실태 파악을 위한 움직임이 보인다
④암검진을 통한 코로나19로 인한 진료율 저하로부터의 회복
⑤암 대책을 통한 경제부담 경감 기대
4 종합건강검진·전문검진의 실태
(1) 종합건강검진의 현황
①종합건강검진의 정의
②종합건강검진의 진찰자 동향
③특정건강진단과 암검진을 조합한 '종합검진'과 옵션검사의 증가
(2)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건강검진의 차별화 전략
①옵션검사의 충실함
②여성을 배려한 검사항목 및 환경정비
③단시간화 수요 증가로 퀵 Dock과 뇌 Dock 실시
④부유층을 위한 종합건강검진
5 건강진단·건강검사 시장의 과제
(1) 계약대행기관과의 계약 확대. 계약 수는 증가, 단가는 인하
(2) 특정건강진단·특정보건지도 과제
①검사항목
②개호예방·쇠약 대책 등 후기 고령자의 특성에 맞는 건강진단방식
③특정보건지도에서 행동변용으로 연결하기 위해 노력
④감염증 대책으로 진료인원 제한
⑤업무 효율화를 위한 ICT 활용
(3) 검진실시기관의 배려로 건강진단·건강검사진료에 효과
6 검진시설의 실태
(1) 검진 실시기관의 구분
(2) 대형 검진센터
(3) 검진사업을 실시하는 주요 공익재단법인 동향
7 특정건강진단에 의한 아웃소싱 비즈니스
(1) 건강진단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IT 데이터 비즈니스 및 플랫폼 구축이 진행
8 건강진단 시장의 전망
(1) 특정검진
(2) 암검진·전문검진
(3) 종합건강검진
9 검진 시장규모 추이 고찰
(1) 특정건강진단 시장규모 추이
(2) 특정보건지도 시장 추이
(3) 건강진단 시장 추이
제2장 건강진단 시설용 설문조사
1 조사 요강
2 조사 취지
3 설문지 회수처 속성
4 설문조사 결과 개략
5 설문조사 결과
(1) 시설 형태
(2) 검진의 진찰자 수·경향·전년대비
(3) 특정보건지도의 실시 상황, 진찰자 수
(4)전 문검진의 진찰자 수·경향·전년대비
(5) 임의검진(종합검진·전문검진) 실시상 황
(6) 코로나19에 따른 영향
(7) 광열비·물가 급등에 따른 영향
(8) 검진시설에서의 설비 상황 및 운영 상황
(9) 검진시설에서 인원 상황
(10) 인재 채용을 위한 대응
(11) 직원의 확보·정착(일하는 방식 개혁)으로서 실시하고 있는 시책
(12) 검진·종합건강검진에 관한 다른 병원과의 차별화 전략
(13) 검진업무에 관한 과제
(14) 건강진단·건강검사 중 앞으로 힘써 나갈 분야
(15) 건강진단 전반에 대해 의견(자유기술)
제3장 전국 검진시설 개표(106개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