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코드결제 시장의 실태와 전망(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일본에서의 코드결제는 2018년경부터 침투하기 시작한 이후 확대를 계속하고 있다. 당초에는 실점포에서의 대면결제를 중심으로 이용이 확대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온라인을 시작으로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급여의 디지털 지급이 해제되어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가 시장에 진출하는 등 시장은 변화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 결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실태를 분석하고 코드결제 시장의 미래를 전망한다.
◆조사개요
• 조사목적: 본 조사는 코드결제 사업자 및 관련 사업자에 대한 취재 등을 통해 일본의 코드결제 시장의 실태를 밝히는 동시에 코드결제의 장래성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일본 내 코드결제 사업자 및 관련 사업자
• 조사범위:
·코드결제 사업자(PayPay, 라쿠텐 페이먼트, NTT 도코모, au, 페이먼트 등)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캐널페이먼트서비스, 인컴재팬, 넷스타즈, 리크루트 등)
·급여 디지털 지급 도입 지원 사업자(인사노무·급여관리시스템 사업자)(오빅비즈니스컨설턴트 등)
• 조사방법: 전문연구원의 대면취재를 중심으로 문헌조사 등도 병용
• 조사기간: 2025년 5월~2025년 7월
• 조사담당: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ICT·금융 유닛
◆자료 포인트
• 일본 코드결제 시장의 시장규모 추이 및 점유율 추계
•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결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 동향 분석
• 급여 디지털 지불에 관한 코드결제 사업자의 대응을 분석
제1장 총론
1. 시장개황 및 동향
1.1 코드결제
1.1.1 시장개황
1.1.2 주요 대책 동향
1.2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1.2.1 시장개황
1.2.2 주요 대책 동향
2. 외부환경
2.1 신용카드 부정이용 증가
2.2 근로기준법 일부개정에 따른 급여 디지털 지급 해금
3. 코드결제 시장규모 추이
4. 장래전망
4.1 코드결제 시장예측
4.2 전망
4.2.1 온라인에서의 안전성 높은 결제 수단으로서의 이용 확대
4.2.2 새로운 영역으로의 진출·이용 확대
4.2.3 슈퍼 앱화 진전 등에 따른 코드결제 사업자의 수익기반 다변화
제Ⅱ장 코드결제 사업자의 동향
1. 시장개황
2. 주요 결제 서비스 개요
2.1 제공 사업자·제공 개시시기
2.2 충전 및 지불방법
3.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현황
3.1 PayPay
3.2 라쿠텐페이먼트
3.3 NTT도코모
3.4 au페이먼트
4. 코드결제 시장규모 추이, 점유율
4.1 시장규모 추이(취급액 기준: 2020년도~2025년도 전망)
4.2 시장규모 추이(오프/온라인 내역: 2020년도~2025년도 전망)
4.3 주요 코드결제 서비스 점유율
5.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실적/실적 추이
5.1 업적
5.1.1 매출액
5.1.2 영업이익
5.2 사업실적
5.2.1 회원 수
5.2.2 이용 가능한 장소 수
6.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
6.1 비즈니스 모델
6.2 사업전략
7.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사업 강화를 위한 대응
7.1 사용자의 이용 확대를 위한 활동
7.2 가맹점 확대를 위한 대응
7.3 앱의 기능 확충에 관한 활동
7.4 다른 사업자와의 제휴에 관한 대응
7.5 데이터 활용에 관한 대책
8.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부정이용 대책에 관한 대응
9. 주요 코드결제 사업자의 과제와 전망
9.1 과제
9.2 전망
9.2.1 슈퍼 앱화·금융 서비스와의 교차 사용
9.2.2 수익기반 다변화
10. 코드결제 시장예측
10.1 시장예측(취급액 기준: 2024년도~2029년도 예측)
10.2 시장예측(오프/온라인 내역 : 2024년도~2029년도 예측)
11. 급여 디지털 지급에 관한 동향
11.1 제도개요
11.2 급여 디지털 지급의 장점
11.3 급여 디지털 지불의 도입 프로세스·전체상
11.3.1 사전 준비
11.3.2 급여 지불 스킴
11.4 참여 사업자
11.5 참여 사업자의 대응 동향
11.5.1 PayPay
11.5.2 리크루트MUFG비즈니스
11.5.3 라쿠텐Edy (라쿠텐페이먼트)
11.5.4 au페이먼트
11.6 인사노무·급여관리 시스템 사업자의 대응 동향
11.6.1 인사노무·급여관리시스템 사업자의 급여 디지털 지급 대응 상황
11.6.2 급여 디지털 지불 대응 사업자의 대처 동향·견해
11.7 급여 디지털 지급의 향후 전망
제III장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동향
1. 시장개황
2.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개요
3.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 현황
3.1 캐널페이먼트서비스
3.2 인컴재팬
3.3 넷스타즈
3.4 리크루트
4.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결제처리금액 추이
5.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실적 추이
6.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비즈니스 모델, 전략, 실적
6.1 비즈니스 모델
6.2 사업전략
6.3 사업실적
7.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가맹점 확대를 위한 대응
8. 주요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의 과제와 전망
8.1 과제
8.2 전망
8.2.1 게이트웨이 서비스 고도화
8.2.2 새 영역에서의 도입 확대
8.2.3 인바운드 이용 확대
제Ⅳ장 개별기업 실태
[코드결제 사업자]
1.PayPay
2. 라쿠텐페이먼트
3. NTT도코모
4. au페이먼트
[멀티코드 결제 서비스 사업자]
5. 캐널페이먼츠서비스
6. 인컴재팬
7. 넷스타즈
[급여 디지털 지불 도입 지원 사업자]
8. 오빅비즈니스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