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냉동빵 생지, 냉동빵 시장실태와 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7114200
발간일
2025/09/29
체재
A4 / 348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348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냉동빵 시장의 최신 동향을 망라한 본 자료는 업무용부터 가정용까지 폭넓은 판로로의 확대를 철저 분석.

호텔·외식·카페에서는 소성 후 냉동이나 반소성이 견조하게 채용, 특히 인바운드 회복을 배경으로 호텔 조식에서는 20~30g의 소형 주류화.

학교·병원·고령자시설에서는 위생성이 뛰어난 개별 포장의 소성 후 냉동이 정착하고, 반찬 매장이나 레저시설에서는 RTB·소성 후 상품의 신규 채널 전개가 진행되고 있다.

또, 내점 회복에 의해 성형 후 냉동이 재신장해, 패스트푸드나 커피 체인에서의 활용도 확대.

성인화·원가 대책으로서 생지가 정착하는 한편, 대기업은 돌가마 라인 증설 등에서 소성 후를 강화, 중견은 OEM·PB나 소롯트 대응으로 기동력을 발휘한다.

엔화 약세로 수입품은 어려운 환경에 있지만, 차별화 아이템으로서 채용은 계속.

본 자료는 제품별, 가공도별, 채널별 시장규모를 망라하여 냉동빵 비즈니스의 전략 입안에 필수적인 한 권.

◆조사개요

• 조사목적: 냉동빵 생지와 냉동빵에 대해서 일본 제조업체와 수입상사의 취급 상황과 각 사의 시장 전략에 대해 조사하고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시장 실태와 향후 시장 전망을 실시하는 것을 본 조사의 목적으로 한다.

• 조사대상 제품:

·냉동빵 냉동빵 생지(냉동생지, 냉동성형생지, 냉동발효생지)

·냉동빵(반소성 냉동, 소성 후 냉동[제품냉동]))

• 조사대상 기업:

·일본 냉동빵 생지와 냉동빵 제조사 및 수입상사

·상세 내용은 목차 참조

• 조사방법: 당사 전문 연구원의 대면취재

• 조사기간: 2025년 7월~2025년 9월

• 프로젝트 담당: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오사카지사 푸드&라이프사이언스유닛

◆자료 포인트

• 냉동빵 생지, 냉동빵 시장은 2,028억 엔으로

• 일손부족과 관광수요 확대로 업무용 회복

• 참여 각 사는 업무용으로 다음 수를 탐색

• 생협택배와 인터넷쇼핑몰이 가정 수요 개척

• 관광과 외식이 끌어올리는 소형 식탁빵 시장

• 생력화 수요가 뒷받침하는 과자빵 시장

• 생지는 원가율 저감 대책으로 베이커리가 사용

• 편의점 가격 인상으로 성형 후 냉동이 고전

• 반소성 및 소성 냉동은 다양한 채널에 침투하여 두 자릿수 성장

• 호텔 수요 회복과 신판로 개척이 외판 시장을 견인

• 수입 냉동생지는 최종발효 후 냉동이 고전

• 대형 홀세일이 RTB와 소성 후 강화

• 중견 전업 메이커가 대규모 수요가의 PB에게 적극 대응

• 제품별, 가공도별, 채널별 5년 게재

• 최종채널 구성비 추계

• 주목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

• 2029년 시장규모, 업계지도 예측

• 【지난 리포트와의 차이】

·제조업체, 상사의 원재료 급등 대응과 인력 부족 대응을 연구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최종채널 구성비 추계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Ⅰ장 마켓 현황 분석과 전망

1. 냉동빵 생지, 냉동빵 시장 개황

  (1)빵 시장의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위치

  (2)일손부족이 시장 확대의 순풍

  (3)냉동빵 생지, 냉동빵 주요 업체

  (4)진출 패턴별 유통경로

  (5)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최종채널 구성비(2024년도)

  (6)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판매채널 동향

  (7)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수입 동향(해외 동향)

  (8)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주요 제품

  (9)인스토어 베이커리 인건비 절감에 기여

  (10)여행수요 회복과 함께 진행되는 호텔 수요 확대

  (11)카페, 레스토랑, 어뮤즈먼트에서의 사용 확대

  (12)소매 유통에서의 향후 가능성

  (13)세븐일레븐 오리지널 빵의 현황

  (14)새로운 수요를 발굴하는 급식 시장

  (15)참여기업의 인터넷 판매(업무용, 일반용)

  (16)식품 배달은 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로 정착

  (17)원자재 급등 대응과 인력 부족 대응

  (18)냉동빵 생지용 밀가루 사용량 추이(2016~2024년)

  (19)베이커리 제품 수입 추이(2016~2024년) ~수입액은 회복세~

2.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현황과 전망

  (1)가공도별 시장 동향

  (2)판매채널별 시장 동향

  (3)냉동빵 생지, 냉동빵 시장의 문제점과 과제

  (4)냉동빵 생지, 냉동빵 시장 확대 요인

3.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시장규모 추이(2020~2024년도)

  (1)냉동빵 생지 전체 ~2024년도는 2,028억 엔으로~

  (2)식빵, 식탁빵 ~관광·외식 수요가 끌어올리는 소형 식탁빵~

  (3)과자빵류 ~관광 수요 회복과 생력화 니즈가 뒷받침되는 과자빵 시장~

  (4)생지 냉동 ~비용절감하에서 재평가받는 생지 냉동~

  (5)성형 후 냉동 ~일손부족 대응으로 수요 안정~

  (6)최종발표 후 냉동 ~축소세가 계속되어도 일부 수요는 견조~

  (7)반소성 냉동빵, 소성 후 냉동빵(냉동빵) ~다양한 채널 침투~

  (8)외부판매분~ 호텔 수요 회복과 신판로 개척이 견인~

  (9)내부사용분 ~점포망 축소의 영향으로 계속해서 소폭 증가에 머물러~

  (10)수입 냉동빵 생지, 냉동빵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호텔이 재성장~

  (11)일본산 냉동빵 생지, 냉동빵 ~일손부족으로 소성 후 냉동이 존재감 더해진다~

4.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제조사 점유율(2024년도)

  (1)전체 ~톱은 야마자키제빵~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2)식빵, 식탁빵 ~ 시키시마제빵이 톱~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3)과자빵류 ~야마자키제빵이 톱~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4)생지냉동 ~체인베이커리의 채용 정착으로 홀세일 계열이 상위~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5)성형 후 냉동 ~세븐일레븐용이 시장을 리드~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6)최종발효 후 냉동 ~외국계 수입상사 중심으로 점유율 형성~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7)반소성 냉동빵, 소성 후 냉동빵 ~안데르센 그룹이 견인~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8)외부판매분 ~홀세일 대기업이 외판 시장을 견인~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9)내부사용분 ~세븐일레븐용과 홀세일계가 주도~

    ①메이커 점유율

    ②매출액 랭킹 일람

5.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향후 시장 전망

6.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시장규모 예측(2025~2029년도)

  (1)냉동빵 생지 전체 ~2029년도는 2,329억 엔으로~

  (2)식빵, 식탁빵 ~신규 채널 개척과 고품질 수요로 시장 확대~

  (3)과자빵류 ~상품 개발 경쟁이 활발해져 최대 주력 분야로~

  (4)생지 냉동 ~비용 중시가 뒷받침되어 소폭 증가~

  (5)성형 후 냉동 ~주력 카테고리에서 반소성 및 소성 후 밀려~

  (6)최종발효 후 냉동 ~수입품 중심으로 향후도 횡보~

  (7)반소성 냉동빵, 소성 후 냉동빵(냉동빵) ~생력화 니즈를 배경으로 확대~

  (8)외부판매분 ~신규 채널 개척으로 연 2~3% 성장~

  (9)내부사용분 ~자사/FC베이커리의 부진으로 소폭 증가~

  (10)수입 냉동빵 생지, 냉동빵 ~2029년도 시장규모는 241억 엔으로~

  (11)일본산 냉동빵 생지, 냉동빵 ~2029년도 시장규모는 2,088억 엔으로~

7. 냉동빵 생지, 냉동빵의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 일람(2020~2029년도)

제Ⅱ장 빵 시장의 현황 분석과 전망

1. 시장 개황 - 새로운 시대의 빵 업계~

2. 상품 동향 ~2025년의 상품 트렌드~

3. 기업 동향 ~ 원자재 급등의 영향과 대응~

4. 채널 동향 ~20년 만에 채널 구성비는 크게 변화~

5. 홀세일 업체의 고비용 대응

6. PB가 고전하는 편의점 빵 코너

7. 리테일 베이커리의 차별화 전략

8. 확대 트렌드가 멈추는 드러그스토어

9. 빵 판매 시 인터넷 쇼핑몰

10. 고급 식빵 열풍의 종언

11. BCP 용도로 주목받는 롱라이프빵, 통조림빵

12. 완전영양식이 빵 시장에 보급, 현재 약간 주춤

13. 빵 개호식, 병자식, 알레르기 대응식

14. 저출산 고령사회와 빵 수요의 향후

15. 빵 업계에서 진행되는 'SDGs' 대처

16. 원자재의 급등과 가격개정

17. 수입 밀 정부매도가격은 제자리걸음

18. 빵의 총 시장규모 추이(2019~2023년도) ~가격 조정도 있어 1조 6,629억 엔 시장~

19. 상품별 시장구성비(2023년도) ~식탁빵과 과자빵의 점유율 확대~

20. 최종채널별 시장구성비(2023년도) ~베이커리가 회복되어 점유율 확대~

21. 지역별 시장구성비(2023년도) ~간토는 39.9%, 긴키는 18.0%~

22. 메이커 점유율(2023년도) ~상위 3사의 점유율은 50% 미만~

23. 빵 시장의 확대요인·저해요인과 2028년 전망

24. 빵의 총 시장규모 예측(2024~2028년도) ~2028년도는 1조 9,000억 엔에 육박~

제III장 유력 냉동빵 생지·냉동빵 메이커, 상사의 시장 전략 분석

1. 진출경위 및 방법

2. 주력 상품의 경향과 상품개발 동향

3. 생산·수입 동향

4. 판매 동향

5. 판매촉진책

6. 원자재 폭등 대책

7. 물류대책

8. 앞으로의 시장전략

제Ⅳ장 주목 기업 개별실태조사(17개사)

□ 아리스타푸드솔루션즈재팬(주)

  ~호텔 시장을 중심으로 지지받는 글로벌 베이커리~

□ (주)안데르센 빵생활문화연구소

  ~인스토어 베이커리용으로 소성 후 냉동빵이 견조~

□ (주)이즘

  ~츄러스 수요 확대에 맞춰 증산라인을 가동하여 공급력 강화~

□ (주)오이시스

  ~식사용 생지가 외부판매로 신장~

□ 오카노식품

  ~'진심 시리즈'용 냉동빵 생지가 호조~

□ (주)고베야

  ~신업태 출점이 냉동빵 생지 사업에도 좋은 영향~

□ (주)산프레쎄

  ~대기업이 대응할 수 없는 수고를 더한 상품화와 소로트 생산에 대응~

□ 시키시마제빵(주)

  ~일손부족을 배경으로 소성 후 냉동 신장~

□ (주)신신도

  ~수요 확대로 소성 후 냉동 신장~

□ 테이블마크(주)

  ~식물 유래로 비건이 가능한 소성 냉동 크로와상 전개~

□ 톱트레이딩(주)

  ~호텔 수요에 힘입어 최종발효 후 냉동이 성장~

□ ㈜팡포유

  ~여름철의 매출 감소에 냉동빵 도입이 안정적인 판매에 기여~

□ 후지빵그룹본사(주)

  ~냉동빵 생지에서도 기본과 효율성을 중시~

□ (주)프랑수아

  ~홀세일 사업의 냉동빵 생지가 호조세~

□ 미요시유지(주)

  ~PB품이 냉동빵 생지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견인~

□ 야마자키제빵(주)

  ~일손부족에 힘입어 최종발효 불필요 · RTB 채용이 확대~

□ (주)료유팡~

  베이커리, 편의점, 호텔 등 외부판매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