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폴리프로필렌 시장의 철저 분석(일본어판)
조사자료 상세정보(調査資料詳細データ)
일본 PP 각 메이커의 동향·사업 시책을 철저 조사.
2030~2035년의 환경 대응 PP의 시작을 향해서 각사의 대응에 주목.
◆조사개요
조사목적: 일본 폴리프로필렌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 시책을 철저히 조사하는 동시에 용도별 수요 동향과 생산설비 동향 등을 분석.
조사대상: 폴리프로필렌
조사방법: 폐사 전문조사원이 직접 면접취재를 기본으로 문헌조사를 병용.
조사·분석기간: 2025년 5월~2025년 7월
게재 내용의 문의처: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유닛 소재산업그룹
◆자료 포인트
• 2023년판 자료와의 차이: 바이오·재활용에 관한 각사의 동향을 확충, 2040년까지 지속가능한 PP·PE의 시장규모 추계
◆리서치 내용
제1장 폴리프로필렌 시장 전망
독자적인 강점을 가진 지속가능한 제품을 창출하는 것이,
향후 PP·PE 시장에서 진가를 발휘
2022년~2024년 최근 3년간 일본 수요량의 17% 수준인 40만t 규모의 해외 PP가 유입
중국이 수입 포지션에서 수출 포지션으로 바뀌면서 수입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그림·표) PP, HDPE, LDPE 일본 수요량 추이
(표) PP·PE 메이커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위한 대응
PP는 메이커 수가 4사로, 생산로트도 크기 때문에 PE에 비해 고가동률 유지
Prime Polymer, JPP/JPE, SUMITOMO CHEMICAL에서는 CN/CE에 공헌하는 제품 브랜드 전개
(표) PP·HDPE·LDPE 가동률
(표) 지속가능한 PP·PE 제품, 브랜드 라인업
2030년 지속가능한 PP·PE의 시장규모를 293,103t으로 예측
자동차 분야를 기점으로 한 수요 확대에 대해 MR-PP의 부족분을 CR-PP가 보완
(표) MR·CR·바이오 유래품 과제와 평가
(표) 지속가능한 PP·PE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지속가능한 PP·PE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지속가능한 PP 시장규모 추이(유래별)
(그림·표) 지속가능한 PP 시장규모 추이(수요 분야별)
(그림·표) 지속가능한 PE 시장규모 추이(유래별)
(표) 자동차용 리사이클 PP 시장규모 추계의 전제 조건
최근 지속가능한 시장은 관망 분위기이지만,
2030년에는 규제 적용을 감안해 식품 포장과 자동차 분야에서의 수요 확대가 전망된다
제2장 폴리프로필렌 시장의 동향
【1】각사의 생산 체제
2025년 일본 PP 생산능력은 2,740천t/년
Prime Polymer·JPP S&B 완수, 생산 최적화 일단락
(그림·표) 일본PP 생산능력 추이
2022년 이후 PP 플랜트 가동률 70%대로 추이
개인소비 침체와 함께 2024년 자동차 인증 부정에 따른 생산·출하 정지가 PP 수요를 끌어내림
(그림·표) 일본 PP 가동률 추이
(표) PP 메이커 생산능력 및 점유율
(표) PP 메이커 플랜트 체제
(표) PP 메이커의 생산능력 추이
(그림) 메이커별 PP 생산능력 추이
【2】 수요 분야별 동향과 전망
1. 총 출하량
2024년 출하량은 개인소비 침체와 자동차 인증 부정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96.9%인 200천t/년
해외제품 유입 진행되었지만 일본 PP 메이커에서는 고부가가치 전환을 통한 차별화 추진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2. 일본수요
고기능화와 함께 CN/CE에 대한 공헌이 경쟁 영역
Prime Polymer, JPP, SUMITOMO CHEMICAL 등 친환경 제품 브랜드 론칭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일본)
3. 사출분야
2023년은 반도체 부족 완화에서 회복되었지만,
2024년은 인증 부정 문제에 따른 생산 중단으로 전년 미달
경량화와 CO2 배출량 절감과 함께 ELV 규칙안에 대한 대응으로
재활용PP니즈 확대
(표) PP메이커 점유율 추이(자동차)
팔레트·컨테이너, 일용잡화 등 용도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제품 유입은 일단락될 전망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가전)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사출 기타)
4. 필름분야
OPP에서는 제품 수입도 증가하고, 라미네이트용 OP, 잡화, 흐림방지 그레이드 등으로
해외제품의 채용이 진행
박육화·감용화와 함께 모노머티리얼 대응품과
바이오매스 그레이드 개발도 추진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OPP)
(표) OPP필름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표) PP메이커 점유율 추이(CPP)
(표) CPP 필름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5. 압출분야
SunAllomer에서는 냉식 수요 증가에 대해,
qualia®와 V시리즈의 새로운 그레이드 개발에 착수
JPP에서는 Novatec™의 인젝션 블로우 그레이드를 출시하고,
라인업 확충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누출)
(표) PPF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표) 발포 PP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표) 투명 PP 용기 메이커별 출하량 추이
6. 섬유분야
섬유용으로는 해외 메이커의 품질 향상과 국산 지향으로 해외제품에 대한 전환이 진행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섬유)
7. 중공분야
중공 분야에서는 공업용, 자동차용, 일용잡화 등 각종 보틀용이 중심
토일리트리 관련해서는 바이오매스 재활용에 주목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중공)
8. 수출분야
JPP에서는 고기능PP의 해외전개를 추진하여 2035년도에 해외 매출액 비율 15%가 목표로
SunAllomer는 독자적인 특징과 일본에서의 실적이 있다
일본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율을 높이다
(표)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수출)
(표) 각 메이커의 폴리프로필렌 용도별 판매 동향(2022년)
(표) 각 메이커의 폴리프로필렌 용도별 판매 동향(2023년)
(표) 각 메이커의 폴리프로필렌 용도별 판매 동향(2024년)
(표) 각 메이커의 폴리프로필렌 용도별 판매 동향(2025년 전망)
(표) 각 메이커의 폴리프로필렌 용도별 판매 동향(2026년 예측)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그림) PP 메이커 점유율 추이(일본)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사출계)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자동차)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필름계)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OPP)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CPP)
(그림) PP메이커 점유율 추이(누출)
【3】 PP컴파운드의 동향
인라인 컴파운드를 병설한 Prime Polyme r신계열 2024년 11월 완공
(표) PP 메이커별 일본 컴파운드 거점 일람
Prime Polymer는 인도에서, JPC는 북미·인도에서 능력 증강을 실시
SUMITOMO CHEMICAL은 중국에서의 경쟁 격화로 현지 컴파운더에 사업 거점을 양도, 생산능력을 축소
(표) 일본 PP 메이커 해외지역별 컴파운드 생산능력 및 점유율 추이
(표) 메이커별 해외 컴파운드 거점 일람
(표) 지역별 해외 컴파운드 거점 일람
(그림) 일본 PP메이커 해외 컴파운드 생산능력 및 지역별 능력 점유율 추이
【4】 고기능 PP 동향
1. 유리장 섬유 강화 PP
JPP와 Prime Polymer는 일본 국내외 유리장 섬유 강화PP 생산체제 구축
SUMITOMO CHEMICAL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유리 단섬유 강화 PP 'THERMOFIL®'를 전개
2. 메탈로센 PP
JPP에서는 생산설비의 일부 이관과 메탈로센 촉매 투입설비의 추가로
고기능PP 주력종목인 'wintec™', 'waymax™' 확대 가속
수출입
(표) 폴리프로필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폴리프로필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제3장 폴리프로필렌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주식회사 Prime Polymer
고기능화와 재구축을 추진하고,
자본 효율이 높은 고기능의 폴리올레핀 사업을 목표로 한다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 클린성, 고강성, 고유동성, 바이오매스 유래품 등을 전개
바이오매스 PP 'Prasus®'는 식기와 머그컵, 생협 식품 패키지 등에 적용 확대
2024년 11월 이치하라공장 기상법 20만t 라인 완공
고기능 PP의 특성을 활용해 MR 시의 물성 열화를 억제하는 개질제와 자동차 부재 등으로 전개를 상정
북미에서는 리사이클 컴파운드에 주력하고 있으며, 미국 OEM의 EV 등으로 채용이 진행
인도 자동차 시장의 수요 증가에 맞추어 2025년 봄에 인도거점 ACI에서 능력 증강을 실시
자동차 분야에서는 OEM과 협력하여 각종 개발을 추진
투명 증착 필름에 적합한 고탄성·고강성 PP 그레이드 개발에 착수
Japan Polypropylene 주식회사
자동차·식품·의료 3개 분야를 중점분야로 정하고
고기능 제품과 CN/CE 제품의 개발·판매에 의한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함
2025년 5월 'Purpose·Vision'과 사업 전략 방침 'JPP2035'를 공개
재활용·바이오 등의 환경부하 저감제품 비율 목표치로서 2035년도까지 15%가 목표
미즈시마 wintec™생산 일부를 고이로 이관하여 waymax™ 생산 확대
2024년 11월에 북미에서 12천t/년, 인도에서 7천t/년 컴파운드 생산능력 증강 발표
중점분야에 대한 주력과 메탈로센 PP의 확대판매를 통해 2035년도에 고부가가치품 비율 65%가 목표
압출 분야에서는 발포 PP와 인젝션 블로우 그레이드 등 라인업을 확충
SunAllomer 주식회사
자동차, 식품용기, 고기능필름 등 3분야에 주력
타 소재 대체 등을 통한 신규 수요 창출하며, 사업 확대가 목표
식품 용기용의 적극적인 확대 판매 방침을 내걸어 2030년까지 자동차용을 웃도는 주력 분야로 육성
LyondellBasell사의 바이오PP와 함께 자사에서도 바이오너프타 유래 PP 제조에 착수
푸드로스 절감과 개별 식품화 니즈 증가를 배경으로 냉동식품 수요가 증가
'qualia®' 'SunAllomer® V시리즈'의 새로운 그레이드를 개발하고, 다른 소재의 대체가 목표
2025년 자동차용은 인증 부정 문제의 영향에서 회복하면서 2023년 수준을 전망
일용잡화를 중심으로 저렴한 해외제품의 유입이 진행
SUMITOMO CHEMICAL 주식회사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으로
자동차 업계에서 높아지는 재활용 니즈에 대한 대응이 목표
REVER와 주력하는 머티리얼 리사이클 사업에서는 조기 공급체제 구축을 위한 준비가 진전
Meguri®에서는 에탄올 유래 폴리올레핀 외에 PP, PMMA 등의 라인업 전개
기상법 PP 프로세스 라이선스 사업에서는 중국과 ASEAN 등 글로벌 사우스용으로 전개
TPC에서는 배터리 용도 PP 등 고수익 그레이드로 전환을 통한 수익력 강화 추진
중국 시장에서 현지 컴파운드 사업자의 점유율 급확대 및 경쟁격화를 배경으로
2024년 12월에 중국 PP컴파운드 사업회사 2사를 Guangzhou Suptech Material Technology(仕天材料科技)에 양도
자동차 인증 부정의 영향으로부터 회복 및 소비 침체 회복으로 2025년은 전년도를
웃돌 전망
자동차 분야에서는 ELV 규칙안에 대한 대응을 우선 과제로 하면서도 경량화 등 테마도 중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