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폴리에틸렌 시장의 철저 분석(일본어판)

자료코드
C67108000
발간일
2025/07/31
체재
A4 / 212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212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일본 국내 PE 메이커의 동향과 사업 시책을 철저히 조사.

아시아 기업들의 신증설이 진행, 더욱 어려워지는 사업 환경 속에서 각 PE 메이커의 전략을 살핀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일본 폴리에틸렌 메이커의 현재 동향과 향후 사업 시책을 철저하게 조사하는 동시에 용도별 수요 동향과 생산설비 동향 등을 분석.

조사대상: HDPE, LDPE, EVA, 에틸렌계 공중합체, L-LDPE, V-LDPE, 플라스토머

조사방법: 폐사 전문조사원이 직접 면접취재를 기본으로 문헌조사를 병용.

조사·분석기간: 2025년 5월~2025년 7월

게재 내용의 문의처: 주식회사 야노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유닛 소재산업그룹

 

◆자료 포인트

• 2023년판 자료와의 차이: 바이오·재활용에 관한 각사의 동향을 확충, 2040년까지 지속가능한 PE·PP 시장규모 추계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폴리에틸렌시장의 전망

 

독자적인 강점을 가진 지속가능한 제품을 창출하는 것이,

향후 PE·PP 시장에서 진가를 발휘

HDPE는 범용 용도 중심으로 해외제품 유입이 가속화, 2024년 수입 비율은 26.4%까지 상승

소로트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그레이드를 가진 LDPE의 수입비율은 5%미만으로 추이

  (그림·표) HDPE, LDPE, PP 일본 수요량 추이

  (표) PP·PE 메이커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위한 대응

2023년 기준 설비가동률은 HDPE: 62.1%, LDPE: 55.6%로 침체

Prime Polymer, JPP/JPE, SUMITOMO CHEMICAL에서는 CN/CE에 공헌하는 제품 브랜드 전개

  (표) HDPE·LDPE·PP 가동률

  (표) 지속가능한 PE·PP 제품·브랜드 라인업

2030년 지속가능한 PE·PP 시장규모를 293,103t으로 예측

지속가능한 PE는 MR-PE와 바이오-PE를 중심으로 한 수요 확대가 전망된다

  (표) MR·CR·바이오 유래품 과제와 평가

  (표) 지속가능한 PE, PP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지속가능한 PE·PP 시장규모 추이

  (그림·표) 지속가능한 PE 시장규모 추이(유래별)

  (그림·표) 지속가능한 PP 시장규모 추이(유래별)

  (그림·표) 지속가능한 PP 시장규모 추이(수요 분야별)

  (표) 자동차용 리사이클 PP 시장규모 추계의 전제 조건

최근 지속가능한 시장은 관망 분위기이지만,

2030년에는 규제 적용을 감안해 식품 포장과 자동차 분야에서의 수요 확대가 전망된다

 

제2장 종류별 폴리에틸렌시장의 동향

 

1. HDPE시장

  2024년 일본 HDPE 시장은 해외 상품 유입 증가로 전년 대비 97.5% 감소

  2025년 이후에는 각 회사가 중공 폴린에틸렌을 비롯한 주력 분야로 전환

    (그림·표) HDPE 수요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일본 HDPE 생산능력은 1,034천t/년

  2025년 5월에는 Japan Polyethylene이 생산 최적화를 목적으로 미즈시마의 제조 설비 1계열을 정지

    (표) HDPE 메이커의 플랜트 체제

  2024년 생성 AI 관련 수요 확대에 따라 Tosoh에서는 중공 폴리에틸렌 분야 판매량 증가

  수지 메이커 각사에서는 고기능 PE 개발을 통해 차별화를 추진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해외제품 유입이 진행되어 필름용 HDPE 시장 전체적으로 축소경향

  해외제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제품과 차별화하기 쉬운 분야로 개발을 추진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

  중공 성형 분야에서는 경량화 및 바이오매스 유래 PE 라인업과

  재활용 적성이 높은 제품 등 친환경 제품 개발이 진행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중공 성형)

  사출 성형 분야에서는 해외제품과 재활용품의 사용이 진행

  한편 물성이 필요한 용도에서는 일본제품을 계속 사용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사출 성형)

  파이프 분야의 시장규모는 공사 건수 감소와 해외제품 유입에 따라 축소경향

  향후 배수관 용도에서 주철관의 PE관 대체가 기대된다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파이프)

  섬유분야에서는 일본제품을 사용한 위생재료용 부직포용이 중심

    (표)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섬유)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중공 성형)

    (그림) HDPE메이커별점유율추이(사출 성형)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파이프)

    (그림) H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섬유)

    (표) 각 메이커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3년)

    (표) 각 메이커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4년)

    (표) 각 메이커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5년 전망)

    (표) 각 메이커의 H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6년 예측)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2. LDPE 시장

  2024년 LDPE 시장은 전년대비 98.4%인 566천t/년

  해외제품 유입과 개인소비 부진으로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지만 2024년에 바닥을 친 전망

    (그림·표) LDPE 수요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표) LDPE 메이커의 플랜트 체제

  ENEOS NUC는 가교 절연용 PE의 컴파운드 생산 능력을 증강하여 수요 증가에 대응

  친환경제품으로 JPE는 'NOVAORBIS™', SUMITOMO CHEMICAL은 'Meguri®'를 전개

    (표)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표)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2024년 필름분야는 전년대비 98.2%로 계속 소폭감소 경향

  푸드로스의 관점에서 식품 포장재용 수요가 침체

    (표)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

  Tosoh에서는 저취·저이미성이 평가되어 식품·음료용지 용기용으로 채택 진행

  가공지 분야를 주력 분야 중 하나로 생각해 2025년 이후에도 플러스 성장을 전망

    (표)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가공지)

  전력전선은 재생가능에어지 관련,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등 수요로 2025년도에는 플러스 성장

  ENEOS NUC는 차별화 영역인 HVDC 케이블용 가교 PE의 확대판매에 주력

    (표)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전선 피복)

    (그림)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그림)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그림)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

    (그림)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가공지)

    (그림) 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전선 피복)

    (표) 각 메이커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3년)

    (표) 각 메이커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4년)

    (표) 각 메이커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5년 전망)

    (표) 각 메이커의 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6년 예측)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대비

    (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3. EVA, 에틸렌계 공중합체 시장

  2024년 EVA 시장은 전년 대비 64.4%인 50천t/년

  중국용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에서 현지제품의 본격적인 채택으로 수출이 대폭 감소

    (그림·표) EVA 수요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표) EVA, 에틸렌계 공중합체 플랜트 체제

  중국용 수출은 2025년 이후에도 회복 전망이 어려워

  동 용도용으로 전개하고 있던 일본계 메이커는 LDPE·특수품으로 생산 전환과 용도 개척을 추진

    (표)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표)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필름 분야에서는 산업 자재와 식품 포장 등 실란트 필름용으로 전개

  기기 내 배선에서는 EV화와 자율주행 등을 배경으로 한 케이블 사용량 증가로 수요가 확대

    (표)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시트)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특정 용도용으로 안정된 수요

    (그림)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그림)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그림) EVA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필름 시트)

    (표) 각 메이커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2023년)

    (표) 각 메이커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 (2024년)

    (표) 각 메이커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 (2025년 전망)

    (표) 각 메이커의 EVA 용도별 판매 동향 (2026년 예측)

    (표) EVA 수출 추이(2021년~2024년) ※ 전년 대비

    (표) EVA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EVA 수입 추이(2021년~2024년) ※ 전년 대비

    (표) EVA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4. L-LDPE 시장

  2024년 L-LDPE 시장은 전년대비 96.0%인 641천t/년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발생한 대폭적인 수요 감소는 일단 멈춤, 2025년은 보합세 유지 전망

    (그림·표) L-LDPE 수요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표) L-LDPE 메이커의 플랜트 체제

  Prime Polymer, JPE, SUMITOMO CHEMICAL의 상위 3사에서 80% 정도의 점유율을 확보

  Prime Polymer에서는 'Evolue®E’, JPE에서는 'symphotek™' 개발 추진

    (표)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표)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표) HAO-L-LDPE 주요 제품 일람

  첩합 필름 분야에서는 식품 포장재의 레인지 업 대응 등의 개발을 추진

  Tosoh는 의료용 수액백용 그레이드 등 특수제품 용도로 전개

    (표)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부착 필름)

  Prime Polymer에서는 첩합 필름으로 쌓인 기술을 활용하여,

  모노머티리얼 포재용 재활용성이 뛰어난 그레이드 개발 등에 착수

    (표)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반 필름)

  가공지 분야는 종이용기와 연포장 등 압출 래미네이트 용도 채용이 중심

  비교적 안정적인 수요 추이를 보이지만 고물가에 따른 개인소비 침체로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표)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가공지)

    (그림)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총 출하량)

    (그림)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본 판매량)

    (그림)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부착 필름)

    (그림)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일반 필름)

    (그림) L-LDPE 메이커별 점유율 추이(가공지)

    (표) 각 메이커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3년)

    (표) 각 메이커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4년)

    (표) 각 메이커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5년 전망)

    (표) 각 메이커의 L-LDPE 용도별 판매 동향(2026년 예측)

5. V-LDPE, 플라스토머 시장

  플라스토머에서는 Mitsui Chemicals 'TAFMER®'나 DOW 'ENGAGE™'가 존재감을 나타냄

  JPE 'kernel™'도 판매량을 늘리고 있어 설비 개수에 따른 생산능력 향상을 실시

    (표) 각 메이커의 V-LDPE, 플라스토머의 주요 라인업

    (표) 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출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출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표) 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입 추이(2021년~2024년) ※전년 대비

    (표) 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입 추이(2021년~2024년) ※구성비

 

제3장 폴리에틸렌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Japan Polyethylene 주식회사

  고기능 제품과 환경 부하 저감 제품 등

  전방향에서 개발을 추진하여 폭넓은 유저 니즈에 대응

  kernel™·rexpearl™의 생산능력 인상과 함께 신규 아이오노머 개발에도 착수

  2025년 1월 환경부하 저감 PE의 새로운 브랜드 'NOVAORBIS™' 론칭을 발표

  2025년 이후의 중공 분야는 자동차, 반도체 시장의 회복에 따라 전년대비 105~106%를 전망

  한편, 해외제품 유입이 진행되는 필름 분야 외에 수출용 등에서도 판매량은 감소경향

  LDPE 필름은 푸드로스 절감 등의 영향을 받아 저조한 추이

  'rexpearl™'는 니즈에 따른 각종 제품을 전개

  사출 성형에서는 조미료 사이즈 라인업이 증가함에 따라 캡 사이즈도 다양화

  재료 물성과 가공성을 양립하는 'symphotek™' 개발도 추진

 

주식회사 Prime Polymer

  환경 대응 브랜드인 Re'PRM®/Prasus®을 전개하여,

  원재료의 바이오매스화와 수평재활용의 양립을 목표로

  Re'PRM®에서는 수지 봉투와 PET병 캡의 수평 재활용 등에 공헌

  Prasus®는 바이오매스 PP의 채택이 선행되었지만, PE에서는 자사 제품 포장용 수지 봉투에 적용

  필름 분야에서는 수지 봉투의 수평 재활용에 주력

  사출 성형에서는 PET병 캡의 리사이클과 함께 박육화에 공헌하는 종목의 개발에도 착수

  L-LDPE에서는 첩합 필름과 가공지용 등을 주축으로 전개

  물성과 가공성을 양립한 HAO-L-LDPE 'Evolue®E’는 계속 개발을 추진

 

SUMITOMO CHEMICAL 주식회사

  섬세한 Grade 라인업으로 기존 니즈에 대응하며

  고기능화 및 재활용 브랜드를 통한 신규 수요 획득을 목표로 하다

  Meguri®에서는 에탄올 유래 폴리올레핀 외에 PP, PMMA 등 라인업 전개

  고강성 PE '스미클®'에서는 PET 기재의 대체를 목표로 모노머티리얼화에 공헌

  2024년 11월 지바공장 LDPE 제조설비 1계열 정지

  원료 경쟁력 강화책과 잔존계열의 고정비 절감책 등에도 주력하며 사업 재구축을 가속화

  필름용으로는 식품 포장재와 프로텍트 필름으로 실적

  LDPE, L-LDPE, EPPE 라인업으로 다양한 유저 니즈에 대응

  2024년 이후에는 EVA 생산 및 판매를 종료하고 LDPE 및 특수품으로 전환

 

주식회사 ENEOS NUC

  컴파운드 능력증강을 실시하여 수요에 맞는 공급체제 구축

  글로벌하게 초고압·고압 전선 절연용 가교 PE의 전개를 도모

  2024년 7월부터 새로운 컴파운드 제품 상용화를 시작하여 초고전압 분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도모

  송전설비의 고전압화에 대해 높은 내열성을 활용한 차별화를 추진

  주력인 'HFDJ-4201SSR'을 기반으로 롱런성을 높인 제품 개발

  ISCC PLUS 인증(국제 지속가능성 카본 인증) 획득

  와세다대학과 공동으로 가역적인 가교구조를 가진 PE 재료를 개발하여 수평 재활용에 기여

  전선 피복용 LDPE는 아시아, 인도, 중동용 등으로의 전개를 도모

  L-LDPE에서는 범용 필름을 중심으로 사출 성형, 파이프, 전선 피복 등으로 채택

 

Tosoh 주식회사

  반도체, 메디컬, 친환경 재료 등 차별화 그레이드 확대판매에 주력

  PE의 안정적 공급을 목표로 2024년 9월 난요사업소 1계열의 리액터 갱신

  해외 수요 증가를 배경으로 "melthene®M" 판매를 강화하여 최적의 공급체제를 모색

  HDPE의 고순도 약품 용기용은 반도체 시장의 회복에 따라 증가경향 전망

  LDPE에서는 가공지 분야와 메디컬에 주력

  2024년 봄경부터 중국 메이커의 본격적인 채용이 진행되어, 태양전지 봉지재로의 수출은 대폭 감소

  EVA의 방침으로서 틈새 특수 시장용 용도 개척을 추진

  의료용 수액 백용 그레이드 전개에 주력

  121℃ 및 126℃의 멸균 대응 그레이드의 개발·투입을 추진

 

Asahi Kasei 주식회사

  그린 소재·솔루션 제공과 함께

  수익성·자본효율이 높은 사업구조가 목표

  바이오에탄올을 통한 바이오 기초화학품 제조기술 'Revolefin™' 개발 추진

  2028년도를 목표로 생산능력 4~5만t/년 규모의 실증설비 건설 검토

  HDPE에서는 파이프와 중공의 폐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 완료

  메탈로센 HDPE "creolex™"는 광학용 프로텍트 필름과 가교 파이프용으로 전개

  LDPE에서는 가공지 분야와 필름 분야를 중심으로 전개

  중공 분야에서는 간장 용기로 신선도 유지 가능한 LDPE병 수요를 확보

 

KEIYO POLYETHYLENE 주식회사

  중공, 압출 연신, 사출, 섬유 분야로 전환 추진

  필름 중심의 판매 구성을 재검토하여 경쟁력 강화를 도모

  2025년 4월 ISCC PLUS 인증을 획득하여 바이오매스·재생유래제품 공급체제를 구축

  환경 대응에서는 재활용에 공헌하는 재료 개발도 추진

  사출 분야에서는 우유등 용기용 새로운 그레이드 'MX355'를 투입하여 라인업 확충을 도모

  시트 그레이드에서는 2024년도에 저온에서의 고충격성이 특징인 'EX011'을 출시

 

DOW-MITSUI POLYCHEMICALS 주식회사

  고VA 그레이드와 독자적인 특수품을 무기로 사업을 전개

  2024년 5월 지바공장에서 ISCC PLUS 인증을 획득하여,

  EVA 'EVAFLEX®', LDPE 'mirason®' 친환경 제품 공급체제를 구축

  ‘Himilan®’의 스킨팩 포장은 유자의 인지도가 높아져 채용 아이템이 증가

  접착제 프리, 논 톨루엔 대응 패키지 니즈를 배경으로 'AN4228C'에 주목

  EVA에서는 차별화하기 쉬운 고VA Grade 전개에 주력

  할로겐 프리 케이블의 니즈는 관공서와 자동차 분야에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