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판 연료전지 시스템・부재 시장의 현황과 장래전망(일본어판)

자료코드
C66121000
발간일
2025/03/28
체재
A4 / 137페이지
상품형태
상품종류(이용범위)
가격(엔)
서적
A4 / 137페이지
세트
PDF서적

※세트 가격은 동일 구입자가 서적과 PDF를 동시에 구입할 경우 적용되는 금액입니다.

※구매 신청 시 환율 적용하여 원화 금액으로 견적 내드립니다.

※본 보고서는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이며, PDF의 경우 번역기 사용 가능한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 PDF 파일은 인쇄, 편집, 가공 불가합니다

조사자료 상세정보

리서치 내용
Close

본 조사 리포트에서는 연료전지시스템·부재의 개발 트렌드와 수요 동향, 보급을 위한 과제, 참가기업의 사업전략을 분석하는 동시에 2032년까지의 세계 시장규모를 예측했다.

◆조사개요

조사목적: 본 조사보고서에서는 연료전지시스템·부재의 개발 트렌드와 수요동향, 보급을 위한 과제, 참가기업의 사업전략을 분석함과 동시에 2032년까지의 세계 시장규모를 예측했다.

조사대상: 연료전지시스템: 자동차용, 주택용, 업무·산업용, 기타(산업기계, 휴대용 발전기, 건설기계, 농기계, 드론, 항공기, 선박, 철도, 자동차)

· 연료전지부재: PEFC(전해질막, 촉매층, GDL, 분리막), SOFC(전해질, 연료극, 공기극, 분리막)

※세계 시장규모는 자동차용, 주택용, 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만 산출했다.

조사방법: 당사 전문조사원이 직접 면접취재 및 문헌조사

사·분석기간: 2024년 11월 1일~2025년 3월 25일

◆자료 포인트

• '2030년 연료전지시스템 및 관련 부재 산업'과의 차이:

 자동차용, 주택용, 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을 대상으로 2032년까지 세계 시장규모 예측

목차
Close

리서치 내용

제1장 연료전지시스템·부재 시장의 장래 전망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의 새로운 성장을 위해

재생에너지 및 수소 제조와 결합한 비즈니스모델 구축 움직임이 부상

  (그림)'히메지 지구를 기점으로 한 그린수소의 대규모 수송·활용을 위한 조사' 이미지도

  (그림)AISIN의 에너지 밸류체인 비즈니스 개념도

상용차를 비롯한 적용 영역 확대를 위해

인재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기반 강화가 중요

  (표)FCV용 연료전지시스템/스택 목표치의 해외와의 비교

제2장 세계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2-1. 일본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그림)수소 관련 전략 책정 상황

  (그림)2050년을 향해 성장이 기대되는 14개 중점분야와 목표

2-2. 유럽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그림)'RE Power EU' 이미지

2-3. 미국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그림)수소허브로 선정된 7지역

  (표)「U.S. National Clean Hydrogen Strategy and Roadmap」의 중점 프로그램의 목표

2-4. 중국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표)'에너지 절약·신에너지 자동차 기술 로드맵 2.0'의 주요 수소·연료전지 관련 목표

2-5. 한국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표)'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의 수소·연료전지 관련 주요 목표

  (표)'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의 주요 이정표

  (표)'3UP 성장전략'의 주요 목표

2-6. 독일 수소·연료전지 관련 정책

제3장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의 현황과 장래 전망

3-1. 자동차용 연료전지시스템 시장 동향

  2024년은 승용차 수요 급감했지만 2025년 회복세로 돌아설 전망

    (그림·표)자동차용 연료전지시스템 세계 시장규모 추이(2024년~2032년 예측: 대수)

    (표)일본 승용차에 대한 보조금

    (표)일본 수소 스테이션 정비 상황

    (표)발매 중 및 발매 예정인 FCV

  상용차용은 중국시장 둔화로 주춤했지만

  트럭과 상용 밴용 개발이 활발화

  중국에서는 SinoHytec, Shanghai REFIRE, Guangdong Sino-Synergy Hydrogen Technology 등 3사가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

    (그림)자동차용 연료전지시스템 세계시장의 메이커 점유율(2024년: 대수)

    (표)Shanghai REFIRE 연료전지시스템 라인업

    (표)Guangdong Sino-Synergy Hydrogen Technology 연료전지시스템 라인업

    (표)SYMBIO 연료전지시스템 라인업

    (표)Ballard Power Systems 연료전지시스템(상용차용) 라인업

3-2. 주택용 연료전지시스템 시장 동향

  2024년에는 수요가 부진했지만

  친환경 주택 증가에 힘입어 시장 성장 속도 가속

    (그림·표)주택용 연료전지시스템 세계 시장규모 추이

    (2023년~2028년 예측, 2032년 예측: 대수)

    (그림)주택용 연료전지시스템 수요지별 점유율(2024년: 대수)

  AISIN, Panasonic이 세계시장을 견인

    (표)일본 기업 3사의 'ENE・FARM' 기본 사양

    (표)달성 성능 레벨(가정용 연료전지)

    (그림)원통 평판형 셀의 외관 및 개념도

3-3. 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 시장 동향

  데이터센터 등에서의 전력수요 증가가 기여하여 시장규모는 확대되는 경향

    (그림·표)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 세계 시장규모 추이

    (2023년~2028년 예측, 2032년 예측: 용량)

  Bloom, Doosan이 호조

    (표)주요 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 메이커

    (그림)업무·산업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종류별 점유율(2024년: 용량 기준)

3-4. 기타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의 동향

  지게차용 수요가 호조

  휴대용 발전기용으로는 AISIN이 공랭식 콘셉트 모델을 발표

    (표)기타 용도의 주요 연료전지시스템 메이커

    (그림)주요 선박용 연료전지시스템

제4장 연료전지 관련 부재 시장 동향

4-1. PEFC 관련 부재시장 동향

  (그림)PEFC 단셀의 주요 구성 이미지

  (표)PEFC 단셀의 주요 부재와 주요 역할

  【전해질막】

    전해질막에서는 Nafion막이 표준재로서의 포지션을 유지했지만

    탄화수소계의 개발이 착실히 진전

    (표)GORE-SELECT®. Membrane: 핵심 라인업

  【촉매층】

    촉매층에서는 Pt의 사용량 삭감이 진행되었지만

    새로운 저비용화를 위한 개발이 테마로 내걸리다

  【GDL】

    공급실적 및 제품품질의 균일화 등이 평가되어 TORAY가 GDL 시장에서 선행

  【분리막】

    Schaeffler와 SYMBIO 합작회사가 금속 BPP 시장 진출

4-2. SOFC 관련 부재시장 동향

  (그림)SOFC 셀 구성 이미지 (평판형/원통형)

  (표)달성 성능 레벨 (업무, 산업용: SOFC)

  (그림)각종 SOFC의 단면 구조

  전해질용은 ScCeSZ, ScSZ, YSZ 등 스탠다드 재료가 안정적으로 추이

  공기극, 연료극의 재료에도 큰 변화는 생기지 않고

  (표)SOFC 단셀의 주요 부재와 주요 역할

  【전해질(고체 산화물)】

  【연료극】

  【공기극】

  【분리막 (인터커넥터)】

제5장 연료전지시스템 및 관련 부재 메이커의 동향과 전략

국립대학법인 야마나시대학

  연료전지의 고효율·고내구·고출력을 실현

  혁신적 재료 연구개발로 세계를 선도

  수소·연료전지 나노재료 연구센터에서

  촉매·전해질막 합성부터 각종 셀 조립, 평가까지 단번에 대응

  ECCEED'30-FC 프로젝트로 Pt 나노로드/Nb-SnO2 촉매, OMC 촉매 개발

  전해질막에서는 SPP-QP막의 기계 강도 개선을 목표로 한 보강막 검토를 진행

  야마나시대학이 보유한 세계 최첨단 연구seeds(큰 성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연구)를 활용

  산학관 연계를 통한 '야마나시 수소·연료전지 밸리' 창생의 노력이 계속

도요타자동차 주식회사

  지속가능한 수소사회 실현을 위해

  제조부터 저장, 운반, 이용·활용까지의 폭넓은 영역에서 공헌

  2025년 2월에 제3세대 FC 시스템을 발표

  대형 상용차와 정치식 발전기, 선박 등에 적용 확대를 목표로 하다

  BMW-FC시스템 공동개발, 인프라 구축으로 협업 강화

  중국에서 베이징 FC시스템 연구개발·생산거점 가동

Honda Motor 주식회사

  FCEV, 상용차, 정치용 발전기, 건설기계를 핵심 도메인으로 설정

  연료전지시스템의 외판을 강화하고 수소사업을 새로운 기둥으로 육성

  2024년 7월 제2세대 연료전지시스템 탑재 신형 연료전지차 'CR-VE: FCEV' 출시

  2025년 2월에 제3세대 연료전지 모듈을 발표

  모오카 신공장에서 2027년도 양산 개시를 계획

SinoHytec(北京億華通科技股份有限公司)

  수많은 채용 실적이 뒷받침되는 높은 기술력으로

  중국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을 선도

  2024년 8월 베이징의 새로운 연구개발·생산 거점이 가동을 시작

Bloom Energy Japan 주식회사

  고효율·크린·안정적인 베이스로드 전원으로

  혁신적인 분산형 에너지 기술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

  2024년 봄에 최신 기종 "Bloom Energy Server 6.5" 출시

  미국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용 수요가 확대경향

  일본에서도 재해에 강한 지속적인 분산형 전원 보급에 공헌

Panasonic 주식회사

  탈탄소 사회에 공헌하는 신규사업 창출을 위해

  수소를 활용한 에너지 솔루션 'Panasonic HX'를 전개

  2024년 10월 ‘ENE・FARM’ 누계 생산대수 26만대 돌파

  2024년 12월 최대 발전출력 9.9kW 타입의 순수 수소형 연료전지 'PH3' 출시

  순수 수소형 연료전지·태양전지·축전지의 연계 제어에 의한

  실증설비 운용을 영국, 독일에서 계획

주식회사 AISIN

  자사의 다양한 상품·서비스를 조합한

  에너지 밸류체인 비즈니스 확대 및 변혁을 추진

  2025년 2월에 가반형 FC발전기를 발표, 소출력대에서의 용도개척을 목표로 한다

  ENE・FARM type S 세계 정상급 발전효율 55.0%(LHV 기준) 달성

  산학 연계를 통해 고효율, 고내구성 순수 수소/암모니아 SOFC 개발 가속화

TORAY 주식회사

  제조부터 수송·저장, 이용까지의 수소 공급망 전체에

  독자적인 첨단소재 개발·제안

  CP·GDL은 지금까지의 실적과 품질 균일화 등이 평가되어

  승용차, 상용차용을 중심으로 수요 확보

Schaeffler Japan 주식회사

  시스템 통합 노하우와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니즈에 맞는 부품·서브시스템 개발 추진

  SYMBIO와의 절반 출자로 INNOPLATE를 설립하여

  2024년 1분기에 고효율 스택을 구현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생산을 시작

DAIICHI KIGENSO KAGAKU KOGYO 주식회사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스 재료의 선도 기업으로

  SOFC 전해질 시장에서 존재감 발휘

  옥시염화 지르코늄을 생산하는 베트남 공장 가동

  지르코늄 광석의 분해·정제부터 고기능 재료까지의 일관 생산 체제 정비

  해외를 중심으로 스칸디아 dope 안정화 지르코니아 수요가 안정하게 추이

KCM 주식회사

  NORITAKE 그룹의 종합력과 축적해온 기술력을 융합하여

  고품질의 세라믹 원재료를 고객에게 제공

  전해질, 연료극, 공기극, 인터커넥터에 사용되는

  SOFC용 재료 분말을 폭넓게 전개